주간 정덕현

'7일의 왕비' 박민영, 이토록 슬픈 비운의 인물 있을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7일의 왕비' 박민영, 이토록 슬픈 비운의 인물 있을까

D.H.Jung 2017. 6. 23. 09:16
728x90

‘7일의 왕비’, 연산군이나 중종 아닌 폐비 신씨를 다룬 까닭

이토록 슬픈 비운의 인물이 있을까. 진성대군 이역(연우진)과 연산군 이융(이동건) 사이에 서게 됨으로써 비극적인 운명을 받아 들여야 하는 인물. KBS 수목드라마 <7일의 왕비>는 역사적으로 중종의 정비였지만 단 7일 간만 왕비로 있다 폐위된 단경왕후 신씨, 채경(박민영)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7일의 왕비(사진출처:KBS)'

실제 역사 속의 단경왕후는 연산군을 밀어내고 중종이 보위에 오르지만 아버지 신수근도 잃고 남편 중종도 잃었던 비운의 인물이다. 중종반정을 주도했던 세력들이 신수근을 끌어 들이려 했으나 이에 반대하자 그를 죽였고, 이것이 후환이 될 것을 두려워한 반정의 실세들이 그녀를 폐위시켜버린 것. 

<7일의 왕비>는 이 역사적인 비운의 주인공을 소재로 절절한 비극적 운명의 사랑이야기를 덧입혔다. 연산군 이융과 진성대군 이역 그리고 채경은 사적으로는 형제(이융과 이역), 연인(이역과 채경), 그리고 오누이(이융과 채경) 같은 관계를 갖고 있지만 왕좌를 두고 벌어지는 역사의 소용돌이는 이들의 사적인 관계를 용납하지 않는다. 이역과 이융은 대립하게 되고, 죽을 위기에 수차례 처하게 되는 이역을 채경은 돕게 되며 그로 인해 그녀는 붙잡혀 이역을 잡기 위한 볼모가 되어버린다. 

옥사에서 이제 모든 죄를 뒤집어쓸 위기에 처한 채경이지만 그녀는 오히려 이역이 자신을 구하기 위해 오지 않기를 바란다. 그러면서도 사랑하는 그가 그립다. 그에게 절대로 다시는 보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지만 그게 말처럼 쉽지는 않다. <7일의 왕비>가 담고 있는 건 그래서 사적인 관계와 공적인 관계 사이에서 또 감정과 이성 사이에서 갈등하고 번민하며 스스로 희생의 길로 걸어간 채경의 눈물겨운 사랑을 담고 있다. 

지금껏 연산군을 다루는 사극들을 무수히 쏟아져 나왔다. 또 중종 역시 사극의 주된 소재로 다뤄진 바 있다. 하지만 어째서 <7일의 왕비>는 이 역사적 사실에서 연산군도 중종도 아닌 폐비 신씨의 이야기에 초점을 맞췄을까. 그것도 단 7일 간 왕비로 살다 폐위되어 평생을 중종을 그리워하며 살다 외롭게 죽음을 맞이했던 인물을. 

이 부분은 아마도 현재의 시각이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다고 보인다. 역사라고 하면 왕들의 역사가 대부분이지만 그 틈바구니에서 피 흘리며 쓰러져간 무수한 인물들은 잘 보이지 않기 마련이다. 역사가 그저 조연으로 취급했던 폐비 신씨의 이야기를 애써 주인공으로 담아내려 한 건 대중의 시대가 바라보는 새로운 역사관이 깔려 있다. 

그리고 이런 역사를 보는 다른 관점의 이야기를 <7일의 왕비>는 멜로라는 장르적 틀을 엮어 해나간다는 점에서 절절한 비극의 성격을 부여한다. 사실 최근 드라마에서 운명적인 비극의 이야기는 잘 다뤄지지 않은 부분이다. 사랑을 바라보는 시대적 정서가 달라짐에 따라 가벼운 로맨틱 코미디가 멜로의 주류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일 것이다. 오랜만에 보게 된 <7일의 왕비>라는 비극의 비장함이 남다르게 다가오는 것은. 물론 그 무게감이 아직까지 대중적인 호응으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7일의 왕비>가 그런 비극으로 꺼내놓은, 실제로 역사를 만들어간 인물이지만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인물을 드라마를 통해 재조명한 부분은 충분히 가치 있는 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