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저 하녀 아닌데요"..섬뜩한데 짠한 '품위녀' 김선아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저 하녀 아닌데요"..섬뜩한데 짠한 '품위녀' 김선아

D.H.Jung 2017. 6. 26. 11:02
728x90

웃긴데 섬뜩하고 짠하기까지, ‘품위녀’의 정체가 궁금하다

제목은 <품위 있는 그녀>인데, 거기 등장하는 이들은 그다지 품위 있어 보이지 않는다. 강남의 부유층으로 살아가는 그녀들은 한정판 명품백에 패션모델이나 입을 듯한 옷을 입고 브런치를 즐기거나 요가를 하고 마음수련 모임을 갖기도 한다. 그건 멀리서 보면 꽤 있어 보인다. 심지어 품위까지.

'품위있는 그녀(사진출처:JTBC)'

하지만 가까이 다가가서 그들이 살아가는 진면목을 들여다보면 품위는커녕 돈이면 다 된다는 천민자본주의의 천박함이 묻어난다. 앞에서는 언니 동생 살갑게 굴지만 뒤에서는 그 언니의 남편과 바람이 나고, 꽤 그럴 듯한 레지던스를 갖고 있지만 대담하게도 그 곳에서 내연남과 불륜에 빠진다. 사장 직함을 갖고 있는 남자들은 골프를 치며 바람 필 궁리나 하고 있고, 그 남자들의 아내들 역시 성형외과에서 보톡스를 맞거나 요트를 빌려 젊은 남자들과 한바탕 질퍽한 술판을 벌인다. 이들에게서 품위를 찾기는 어렵다. 

그들과는 조금 다른 것처럼 보이는 우아진(김희선)도 크게 보면 그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디자인을 전공해 스스로 악세사리를 만들어 달고 다니지만 그건 예술에 대한 허영에 지나지 않는다. 예술가를 발굴해 키우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것은 예술을 사랑해서가 아니라 그 가치를 높여 더 비싼 값에 작품을 소유하려는 투자의 의미가 더 강하다. 자신이 그렇게 키운 팝아트 화가가 남편과 바람이 나는 줄도 모르고. 

시아버지인 안태동(김용건) 회장의 생신파티에서 그 우아해 보이는 우아진이 걸맞지 않게 구성진 트로트를 부르며 우스꽝스런 춤을 추는 장면은 그래서 멀리서 그럴 듯하게 보이는 이들의 삶이 가까이서 보면 코미디에 가깝다는 걸 제대로 그려낸다. 그들의 삶이 위악스럽게 여겨지고 나아가 어딘가 섬뜩한 느낌을 주는 건 그 전혀 다른 이중성 때문이다. 

그 저택으로 안태동의 간병인으로 들어온 박복자(김선아)는 품위하고는 전혀 상관없는 인물이다. 구성진 사투리를 쓰는 모습에 뽀글 파마를 하고 명품백과는 전혀 인연이 없어, 안태동이 명품백을 사주자 화장실에서 소리 내어 눈물까지 흘리는 인물이다. 애초부터 그저 간병인이 아니라 이 저택의 안주인을 노리고 들어온 그녀는 절실하다. 온 몸을 던져 자신을 내보내려는 이들과 대항하고, 저택의 안주인이 되려 제 몸을 다치게 하는 자작극을 벌이기까지 한다. 

허술한 듯 보이는 인물이 어느 순간 정색을 하고 눈을 똑바로 쳐다보며 “저는 하녀가 아닌데요”라고 말하는 모습은 섬뜩하다. 그것은 간병인이라는 위장이 벗겨지는 순간이면서 동시에 늘 상명하복으로 체계화되어 있던 이 저택의 시스템이 위협을 받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자신을 내쫓으려는 이 저택의 며느리들 앞에서, 그녀는 안태동 회장을 온 몸을 던져 구하는 자작극을 벌인 끝에 회장의 마음을 돌린다. 얼굴에 멍투성이인 그녀가 병원을 박차고 나와 저택으로 돌아온 후 그 곳을 활보하고 다니는 장면은 그래서 공포영화의 한 장면처럼 느껴진다.

그런데 부유층 그녀들이 그 위악스런 모습으로 웃음을 주면서도 동시에 어떤 불편한 섬뜩함을 주는 반면, 이 가난하고 처절한 박복한 여인의 모습은 정반대의 느낌으로 다가온다. 겉으로 보면 섬뜩한 미저리의 이미지지만 어딘지 이 절박함에서 짠한 무언가가 느껴진다. 도대체 이 짠함의 정체는 뭘까. 

그것은 이 저택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사실은 우리가 사회에서 맞닥뜨리는 많은 현실들을 거의 축소해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저택의 권력 시스템을 보라. 가진 자들과 못 가진 자들의 경계가 명확하고,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신봉건주의적 세계가 그 안에 펼쳐져 있다. 태생적으로 부자의 자식으로 태어난 이는 회사에서는 잠이나 자고 내연녀와 바람이나 피면서도 잘 살아간다. 반면 그 못가진 채 태어나 신분을 뛰어 넘으려 하는 자는 몸은 물론 심지어 영혼까지 팔아야 한다. 

<품위 있는 그녀>는 그 장르가 그래서 복합적으로 걸쳐져 있다. 이 강남의 부유층들이 하는 짓들은 풍자적인 의미로 웃음이 터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극의 한 편을 본 것마냥 마음이 불편해지고, 그 세계로 뛰어든 박복자는 공포영화의 한 인물처럼 섬뜩하지만 또 그 절박함에서 짠한 비극의 기운이 느껴진다. 그러고 보면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의 현실이 딱 그렇다는 걸 새삼 확인하게 된다. 웃기지만 불편하고 섬뜩하지만 짠한 그 현실이 <품위 있는 그녀>를 자꾸만 들여다보게 만드는 힘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