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올과 유아인, 어디로 튈지 알 수 없어 흥미로운
도올 김용옥과 유아인의 조합. 누가 봐도 이질적이고, 과연 이 조합이 어떤 그림을 그려낼 것인가를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철학가이자 사상가로서 고전을 현재적 의미로 들여다보는 작업에 탁월한 식견을 보여주는 도올 김용옥. 가끔 엉뚱한 진지함을 보여 대중들을 깜짝 놀라게도 만들지만 거침없이 자기 생각을 드러내는 모습에 박수를 받기도 하는 유아인. 두 사람이 한 자리에 섰다. 도대체 이들은 무엇을 위해 이런 만남을 기획했던 걸까.
KBS <도올아인 오방간다>는 도올과 유아인의 만남이 그러한 것처럼, 너무나 달라 잘 어우러지지 않을 것 같은 요소들을 한 자리에 올려놓고 그것이 어떤 어우러짐을 보이는가를 들여다보는 신개념 ‘하이브리드 버라이어티쇼’라고 지칭된다. 그 거창해 보이는 지칭이 그저 요란한 수식어만이 아니라는 걸 이 프로그램은 첫 회부터 보여준다.
올해가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라는 걸로 이야기의 문을 연 이 프로그램은 “그런데 왜 그게 지금 중요한가”라는 유아인의 도발적인 질문으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는 게 바로 그 임시정부 수립과 함께 시작됐다는 도올의 답변으로 이어진다. 지금의 우리의 체제가 그 때를 뿌리로 두고 있다는 것.
하지만 유아인은 여기서 또 다소 엉뚱한 질문을 던진다. 트럼프가 남북관계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현 정세에서 “우리는 과연 자주인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 당혹스런 유아인의 질문에 도올은 우리가 군사 강국은 아니지만 “문화 강국”이라는 걸 강조하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찬란한 문화를 만들어왔다”는 말로 답변을 가름했다.
<도올아인 오방간다>에서 특히 큰 역할을 해내는 건 유아인이다. 평상 시에도 SNS를 종종 뜨겁게 만드는 그는 여기서도 의외의 도발적인 질문들을 던진다. 우리가 도올의 강의들을 방송을 통해 볼 때 늘 ‘경청’하는 자세로만 봤던 것과는 너무나 다른 포인트를 유아인이 만들어낸다.
통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통일은 손해”라고 보는 관점도 있다는 얘기를 던진 것도 유아인이었다. 경제적 관점으로 보는 통일에 대한 이야기. 하지만 유아인은 다른 걸 다 떠나서 “내 가족과 떨어지게 된다면 내 가족 다시 만나고 싶은 건” 당연한 일이라며 통일은 “회복”이라고 말해 보는 이들을 공감하게 만들었다.
‘편 가르기’에 대한 솔직한 심경은 아마도 유아인이 직접 SNS를 통해 겪은 경험이 묻어난 것처럼 보였다. 어떤 의견을 내면 자신과 다르다는 이유로 ‘편 가르기’를 하는 것에 대해 그는 “우리는 사실 한편”이라며 “대한민국 국민이지 않느냐”고 말하기도 했다. 편 가르기에 대한 이야기는 ‘빨갱이’라는 말이 탄생한 과정을 통해 도올에 의해 설명됐다. 그것이 가져온 비극적인 현대사의 결과들까지.
유아인의 역할이 돋보인 건 역사적 사실과 현재의 연관관계를 끊임없이 들여다보려는 질문들 때문이었다. 지금 이 프로그램이 다시 역사를 들여다보려 하는 건, 그것이 현재에 어떤 의미를 던지기 때문이라는 것. 지금 우리나라가 왜 이렇게 ‘헬조선’으로까지 불리게 됐는가에 대한 질문에 한 관객이 그 연원으로서 친일파 청산을 제대로 하지 못해 사라진 정의와 공정성이 만든 결과라는 지적은 날카로운 면이 있었다. 친일파 청산의 문제가 지금의 현실과 어떻게 맞닿아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친일파 청산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다소 당혹스런 질문에 대해 도올은 재치 있고 의미 있는 답변을 던졌다. 가만 놔둬도 그들의 죽음은 임박했다는 것. 다만 중요한 건 지금의 세대가 그 역사를 잊지 않고 깨인 의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말 속에는 이 프로그램이 지금 왜 역사를 들여다보려 하는가를 잘 말해주는 그 기획의도가 들어 있었다.
<도올아인 오방간다>는 그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조합의 하이브리드가 사실은 가장 중요한 메시지일 수 있다. 역사를 통해 과거와 현재가 만나고, 도올과 유아인 같은 전혀 다른 개성과 세대와 생각이 만난다. 여기에 오방신으로 자리한 소리군 이희문의 말 그대로 하이브리드한 민요가락이 더해진다. ‘어디로 튈지 알 수 없는’의 의미를 가진 ‘오방간다’가 유아인이 말하는 “뿅간다”는 의미와 합쳐지는 지점. 전혀 새로운 어떤 생각과 색깔들의 소통을 우리는 여기서 만나게 될 지도 모르겠다.(사진:KBS)
'옛글들 > 네모난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널리즘토크쇼J' KBS가 저지른 참혹한 잘못, 그리고 반성 (0) | 2019.04.17 |
---|---|
수신료 안 아깝다는 '거리의 만찬', 대체 어떻기에 (0) | 2019.01.26 |
'동네 한 바퀴' 김영철이 눈물 글썽이자 내 마음도 짠해졌다 (0) | 2018.11.27 |
식상한 예능·자극적 드라마, 주말 TV 앞 시청자는 지루하다 (0) | 2018.11.06 |
전세계를 어깨춤 추게 만드는 방탄소년단 신드롬의 실체 (0) | 2018.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