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벌써 300만 넘은 '극한직업', 관객들은 이런 웃음을 원했다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벌써 300만 넘은 '극한직업', 관객들은 이런 웃음을 원했다

D.H.Jung 2019. 1. 31. 10:56
728x90

65억 들인 '극한직업', 코미디의 진수이지 진수성찬

제작비 65억을 들인 영화 <극한직업>이 157억을 투입한 <스윙키즈>나 160억을 쏟아 부은 <마약왕>보다 더 잘 나간다. <스윙키즈>는 기대와 달리 140만 관객에 머물렀고, <마약왕>도 180만 관객에 그쳤다. 하지만 <극한직업>은 단 6일 만에 3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항간에서는 1천만 관객 영화가 탄생하는 거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사실 영화의 완성도로 흥행이 갈렸다고 말하긴 어렵다. 장르 자체가 다르고 흥행에서는 저조했지만 <스윙키즈>나 <마약왕>도 꽤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었기 때문이다. 다만 다른 건 지금의 관객들이 원하는 코드가 무엇인가다. 관객들은 웃음을 원했고, <극한직업>은 말 그대로 웃음을 주기 위해 대본, 연출, 연기 모두가 혼신의 힘을 다한 면이 있었다. 그러니 잘 될 수밖에.

<극한직업>은 일단 마약반 5인방으로 등장하는 캐릭터들부터가 예사롭지 않은 웃음기를 머금고 있다. 어딘지 짠내 나는 가장 고반장(류승룡)은 뭘 해도 잘 안되는 그 현실감으로 웃음을 주고, 뭐 하나 잘 하는 것 없어 보이지만 의외로 다방면에 능력이 좋은 마형사(진선규)는 그 반전매력의 웃음을 준다. 미모 따위는 신경조차 쓰지 않는 망가짐으로 지금까지 봤던 모습을 모두 잊게 만드는 이하늬가 연기하는 장형사 캐릭터나, 항상 진지한 모습으로 이 엉뚱한 팀원들을 황당해하며 바라보는 영호(이동휘) 그리고 열정만 좋은 막내 재훈(공명) 모두 웃음 폭탄이 준비된 인물들이다.

게다가 재기발랄하기로 이미 유명한 각본가이자 연출자인 이병헌 감독은 잠복수사를 위해 인수한 치킨집이 의외의 대박을 친다는 상황으로 빵빵 터지는 웃음을 제공한다. 마약반 형사로서 별 능력을 발휘하지 못했던 그들이 마형사의 집안 레시피라는 갈비양념을 더한 치킨으로 대박을 내는 상황이 벌어지고, 그래서 형사인지 치킨집 종업원들인지 헷갈리게 되는 그 반전의 코미디를 그려낸 것.

수원의 왕갈비 레시피와 통닭을 섞어 ‘수원왕갈비통닭’이 탄생하는 것처럼, 영화는 언뜻 비슷한 듯 다른 것들을 섞음으로써 만들어지는 재미와 흥미를 뽑아낸다. 마약반이 등장하는 형사물에 치킨집을 소재로 하는 창업 성공담을 더함으로써 잠복근무하는 형사들이 가진 긴장감과 진지함은 번번이 이를 배반하는 멘트와 행동, 상황들로 반전의 코미디를 연출한다. 치킨집 프랜차이즈를 통해 마약을 전국적으로 운반하려는 이야기는 황당하지만, 그것이 우리가 맛있는 음식에 ‘마약 치킨’ 같은 표현을 쓰는 것의 풍자적 코드라는 걸 알아차리면 웃음이 나는 식이다.

빵빵 터지는 웃음에 후반으로 가면 액션이 더해져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 <극한직업>은 무엇보다 이 코미디 연기에 마치 목숨을 건 듯한 연기자들의 명연기가 더해져 엄청난 시너지를 만들어낸다. 코미디 연기란 울면서 웃길 수 있어야 한다는 걸 정확히 보여주는 류승룡이나, 웃길 수 있다면 미모 따위는 던져버린 이하늬, 무엇보다 이 작품을 통해 그 다양한 진가를 발견하게 만든 진선규, 진지한 실제 형사 연기로 웃음을 만드는 이동휘와 과장된 캐릭터를 선보인 공명이 그 주인공들이다.

참 웃을 일 없는 현실이라, 진지하기보다는 한 두 시간 정도 아무 생각 없이 웃고픈 관객들이 많았던 모양이다. <극한직업>은 이런 관객들의 정서를 정확하게 짚어냄으로써 남다른 ‘웃음의 강도’로 승부한 것이 주효했다고 보인다. 물론 영화 전편에 깔려있는 소상공인들의 ‘목숨 걸고 영업하는 절박함’이 경제도 어려운 지금 같은 시기의 관객들에게 따뜻한 공감대를 주고 있다는 사실도 빼놓을 수 없는 성공의 이유가 아닐 수 없다.(사진:영화'극한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