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호평 일색 '선녀들', 다크 투어리즘으로 '무도' 계보 이어가나

728x90

‘선녀들’, 최희서 울린 일본 시민단체 봉선화 그 먹먹함의 실체

“1923년 관동대지진 때 일본의 군대와 경찰, 유언비어를 믿은 민중들에 의해 많은 조선인이 살해당했다. 이 역사를 마음에 새기고 희생자들을... 추도하고... 인권의 회복과 양민족의 화해를 염원하며 이 비를 건립한다.” 어느 조용한 주택가에서 찾은 추도비의 문구를 읽어나가던 최희서는 갑자기 울컥하는 마음에 목소리가 떨리더니 결국은 눈물을 흘렸다. 

그 눈물에는 많은 의미들이 담겨있을 터였다. 영화 <박열>에서 가네코 후미코의 역할을 연기하며 당시 관동대지진 때 벌어졌던 조선인 학살과 이에 항거했던 청년들의 삶 속으로 들어갔던 그였기에 이 자그마한 공간에 마련된 추도비의 의미는 남달랐을 거였다. 게다가 그건 우리가 아닌 ‘봉선화’라 불리는 뜻이 있는 일본 시민단체가 사유지를 사서 마련한 추도비였다. 역사왜곡을 일삼는 일본 정부의 행보를 볼 때마다 느꼈던 분노와 답답함이, 모든 일본인들이 다 그렇지만은 않다는 걸 말해주는 추도비를 통해 발견되는 순간, 먹먹해질 수밖에 없었을 터다.

MBC 예능 <선을 넘는 녀석들>이 ‘한반도편’을 하면서 일본까지 날아간 이유는 결국 거기서 다시 발견하게 되는 우리네 역사 때문이었다. 결국 문근영을 뜨겁게 눈물 흘리게 만든 제주 4.3사건의 이야기에 이어 일본으로 간 <선을 넘는 녀석들>은 이른바 ‘의거로드’를 걸으며 일본의 심장부에서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초개처럼 목숨을 던졌던 독립투사들의 숭고한 이야기를 전해주었다. 

영친왕의 저택이었던 아카사카 프린스 호텔을 찾아가 그 안내판에 단 한 줄도 남아있지 않은 영친왕에 대한 이야기에 분노하고, 히비야 공원에서 벌어졌던 3.1운동의 도화선이 되었던 조선유학생들의 2.8 독립선언 이야기에 먹먹해졌다. 설민석이 현장에서 생생하게 전해주는 김원봉과 김지섭 의사, 이봉창 의사의 이야기는 역사책에서 벗어나 실제 되살아난 듯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역사란 결국 현재 다시 들여다보고 기억해내는 것으로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닌가. 
이른바 ‘다크 투어리즘(재해지역이나 전쟁 철거지 등 인류의 죽음이나 슬픔을 대상으로 한 관광)’을 표방하며 우리네 아픈 역사의 현장을 직접 찾아가 그 삶을 느껴보는 <선을 넘는 녀석들>이 토요일 저녁 <무한도전>의 빈자리를 조금씩 채워나가고 있다. 물론 <무한도전>과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어찌 보면 <선을 넘는 녀석들>의 이러한 역사 소재 예능은 <무한도전>이 해왔던 그 계보를 잇는 느낌이다.
설민석이 출연해 우리네 역사를 되돌아봤던 <무한도전> ‘위대한 유산’ 특집이나 ‘배달의 무도’편에서 유재석과 하하가 찾아갔던 하시마섬 이야기의 감동이 <선을 넘는 녀석들>을 통해 다시금 이어지는 듯하다. <무한도전> 이후 토요일 저녁에 볼 예능 프로그램이 없다는 시청자들의 볼멘소리가 그나마 그 계보를 잇는 듯한 <선을 넘는 녀석들>로 채워지고 있는 것.
반드시 기억해야할 아픈 역사를 직접 찾아가 들여다보고 그 의미를 되새긴다는 점에서 <선을 넘는 녀석들>은 확실한 명분과 의미 그리고 여정이 갖는 재미까지 담아내며 호평이 쏟아지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성취는 그래서 그간 <무한도전>이 만들어냈던 수많은 아이템들과 기획들이 MBC 예능에는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물론 팬들은 여전히 <무한도전>이 돌아오길 바라지만, 그게 여의치 않다면 그 계보를 잇는 프로그램들이라도 만날 수 있다면 좋지 않을까. <선을 넘는 녀석들>은 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사진:M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