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좋아하면 울리는', 청춘멜로의 아주 신박한 확장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좋아하면 울리는', 청춘멜로의 아주 신박한 확장

D.H.Jung 2019. 8. 30. 09:52
728x90

‘좋아하면 울리는’, 우리가 ‘좋아요’ 시대를 살아간다는 것

 

천계영 작가의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좋아하면 울리는>은, 좋아하는 사람이 반경 10미터 안에 들어오면 알람이 울리는 이른바 ‘좋알람’이라는 어플이 개발되면서 생기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시즌1에 해당하는 8부작 중 5부까지 학교를 배경으로 하고 있고, 김조조(김소현), 이혜영(정가람), 황선오(송강) 같은 풋풋한 청춘들의 달달하면서도 아프고 가슴시린 사랑이야기를 담고 있어 이 드라마가 ‘청춘 멜로’라는 분명한 색깔을 드러낸다.

 

하지만 우리네 드라마에서 청춘 멜로라고 하면 어딘가 얕고 낮게 보는 경향이 있다. 폄하까지는 아니지만 소품 정도로 여기는 면이 있는 것. 하지만 <좋아하면 울리는>은 그런 선입견을 기분 좋게 깨주는 청춘멜로다. 그것은 ‘좋알람’이라는 어플이자, 이 드라마의 색깔을 좀 더 사회성 짙게 만들어주는 장치가 있어서다.

 

물론 김조조, 황선오, 이혜영 같은 청춘들이 처한 짠내 가득한 상황들과 그래서 더더욱 갈망하게 되는 누군가의 관심과 애정은 청춘멜로가 자주 그려내던 방식 그대로다. 이모네집에서 갖은 구박을 받으며 살아가는 김조조와, 그의 앞에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나 ‘좋알람’을 켜지게 만든 황선오, 그리고 김조조를 좋아하지만 절친인 선오 때문에 마음의 표현을 하지 못하고 망설이기만 하는 선오네 가정부의 아들 이혜영. 그 구도는 삼각멜로에 계급적 상황까지 겹쳐놓았다.

 

어린 시절 동반자살을 기도했던 부모들 사이에서 간신히 생존해 이모네집에 얹혀사는 김조조의 상황이나, 잘 생긴데다 부잣집 아들이긴 하지만 부모님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황선오 그리고 그 누구보다 밝고 건강하지만 선오네 집에서 눈치를 보며 살아야 하는 이혜영 모두 현실적인 결핍과 아픔들이 존재한다. 그래서 그들은 ‘좋알람’이라는 어플에 누군가의 마음이 표현되는 일에 예민해진다.

 

이처럼 청춘멜로의 틀을 갖고 있지만, 드라마는 6부에 들어가면서 이야기를 사회적으로 확장시킨다. 좋알람 어플이 나온 지 몇 년이 지나고 고등학생이던 이들이 모두 사회인이 된 시점. 좋알람은 사람들의 일상이 되어버리고, 그것은 또한 많은 부작용들을 만들어낸다. 한강 고수부지에서 누군가의 선택을 받지 못한 이들이 벌인 집단 자살은 ‘좋알람’이 울리는 시대에 울리지 않는 이들의 고통을 보여준다. 외로움이나 쓸쓸함을 이제는 숨길 수도 없는 시대가 열리게 되었고, 누군가는 4000개가 넘는 알람이 울리지만 누군가는 한 개의 알람도 없는 호감의 격차는 심각한 사회문제로까지 등장한다.

 

<좋아하면 울리는>은 그래서 페이스북의 ‘좋아요’를 누르는 시대의 사랑이 무엇인가에 대한 진중한 질문을 던진다. 마음과 마음이 조심스럽게 만나고 그 마음을 전할까 말까 고민하며 때론 숨기기도 하는 그런 아날로그적인 사랑의 풍경들을 ‘좋알람’은 디지털 기기를 통해 단박에 깨버린다. 좋아하는 사람 앞에 마음을 숨길 수 없고, 그렇게 전달된 마음은 상대방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기에 오히려 불편함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끄고 살면 되지 않겠냐 하지만 모두가 켜놓고 살아가는 그 알람을 혼자만 끄고 고립되는 일이 쉬운 건 아니다. 우리가 스마트폰의 피로함을 느끼면서도 선뜻 치워버리지 못하는 것처럼.

 

<좋아하면 울리는>은 청춘멜로의 달달함과 아픔 같은 것들이 주조를 이루면서도 ‘좋알람’이라는 장치를 활용해 사회적 의미 같은 걸 탐구해낸다는 점에서 신박하다. 흔히 멜로라는 장르는 이제 틀에 박혀 더 이상 새로운 걸 찾기가 어렵다고 말한다. 하지만 <좋아하면 울리는>은 그것이 어떤 편견일 수 있다는 걸 확인하게 해준다. 새로운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시대의 풍경은 같은 사랑이야기라도 또 다른 의미와 해석이 가능할 테니 말이다.(사진:넷플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