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타인은 지옥이다', 임시완이 겪는 소름끼치는 지옥의 정체

728x90

‘타인은 지옥이다’, 경계 없는 침범이 주는 공포에 대하여

 

워낙 유명한 웹툰 원작을 갖고 있다는 건 장점이면서 단점이 된다. OCN 드라마틱 시네마 <타인은 지옥이다>가 그렇다. 이 드라마는 마니아들이 있을 정도로 화제가 됐던 웹툰 원작을 가져왔지만, 원작과는 살짝 다른 결을 보여주고 있다. 원작이 에덴고시원 자체가 주는 공포와 거기 사는 사람들의 이상함을 전면에 깔아놓았던 것과는 달리, 드라마는 훨씬 더 이 고시원에서 살인행각을 벌이는 살인마들의 존재를 드러낸다.

 

사실 이렇게 조금 직설적으로 칼과 도끼, 망치 등을 일찍 꺼내놓는 방식이 효과적인지는 의문이다. <타인은 지옥이다>가 하려는 에덴고시원이라는 지옥의 실감을 높여줄 수는 있을 게다. 아무래도 드라마의 속도감을 높이기 위한 선택일 수 있지만, 원작이 주는 윤종우(임시완)가 겪는 분위기의 공포는 상대적으로 줄어든 느낌이다.

 

그래도 <타인은 지옥이다>는 그 소름끼치는 에덴고시원이라는 공간을 통해 전하려는 공포의 정체가 분명한 어떤 메시지를 가진 작품이다. 도대체 이 에덴고시원이 주는 공포의 정체는 무엇일까. 그건 타인과의 경계가 허물어진 우리네 사회가 주는 공포다. ‘이웃’이라고 불리지만, 상대방의 경계를 지켜주지 않고 훌쩍 침범해 들어오는데서 느껴지는 공포.

 

고시원이라는 공간 자체가 그렇다. 작은 판때기 같은 벽을 사이에 두고 있어 옆방에서 하는 미세한 소리까지 들려오는 이 공간은 경계가 지켜지지 않는다. 좁은 복도는 지날 때 서로 피해주지 않으면 어깨가 부딪치지만 처음 이 곳에 들어온 윤종우와 맞닥뜨린 조폭 아저씨 안희중(현봉식)은 그의 어깨를 치고는 오히려 신경질을 낸다. 전화 받는 소리에 문을 두드려 “여기서 전화하지 말라”고 말하는 대목에서 이 고시원이 얼마나 자신의 공간이 지켜지지 않는가가 드러난다.

 

그렇게 사생활 자체가 지켜지지 않는 공간에서 살아간다는 것만으로도 불편한 일이지만, 그 곳에 함께 사는 이들이 모두 정신적으로 이상해 보이는 사람들이라는 건 그 불편함을 공포로 바꿔놓는다. 다리에 전자발찌를 찬 채 대놓고 윤종우를 쳐다보는 변태 홍남복(이중옥)이나, 말을 더듬으며 계속 웃는 변득종(박종환)과 그 쌍둥이, 이상한 가방을 들고 다니며 괴력을 가진 유기혁(이현욱), 심지어 삶은 계란을 자꾸 먹으라는 주인아주머니 엄복순(이정은)까지 이상하지 않은 사람들이 없다.

 

하지만 경계가 지켜지지 않는 건 고시원만이 아니다. 대학 선배 형인 신재호(차래형)는 자신의 회사에 취직시켜줬다는 이유로 윤종우를 제 맘대로 부리려 한다. 함께 술을 마시며 제멋대로 윤종우의 여자친구 이야기를 마구 해대고, 집에 가겠다는 윤종우를 위압적으로 불러세워 2차 가자고 종용한다. 그 회사 사람들도 이상하긴 마찬가지다. 사수가 된 박병민(김한종)은 열등감이 가득한 인물로 회사 동료들의 관심을 받는 윤종우에게 회사 대표랑 형 동생 사이라고 “나대지 말라”며 욕을 한다.

 

심지어 집으로 가는 택시에서도 경계를 침범해 들어오는 목소리가 있다. 택시 기사다. 우리가 무시로 겪는 이런 일들이 사실은 무례이며 나아가 사회를 불안하게 만드는 요소라는 걸 이 드라마는 은연 중에 드러낸다. 에덴고시원이라는 공간의 공포는 그래서 우리네 사회가 가진 불안감과 공포의 상징 그 자체로 보이는 면이 있다.

 

<타인은 지옥이다>는 그래서 결코 기분 좋을 수 없는 공포를 그려낸다. 보면 볼수록 섬뜩하고, 끔찍하다. 하지만 그 공포가 어떻게 해서 만들어지는가를 잘 들여다보면 우리네 사회가 가진 불안감이 어디서 비롯되고 있는가를 보게 된다. 우리가 길거리에서나 혹은 공공시설에서 벌어진 사건들의 이야기를 뉴스를 통해 볼 때 느끼는 그 불안은 결국 서로의 공간이 존중되지 못하는 삶의 환경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것. 그래서 때로는 그 불안감은 분노로 바뀌어 누군가를 공격하게 되기도 한다. 윤종우가 보여주는 공포감과 분노가 그러하듯이.(사진:O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