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매회가 쫀쫀, '스토브리그' 남궁민 리더십에 따를 수밖에 없다

728x90

‘스토브리그’ 파괴력의 원천은 그 리더십에 있다

 

매회가 쫀쫀하다. 스토리에 빈 구석이 없고 버릴 것도 없다. 게다가 그 스토리를 200% 몰입하게 만드는 연기와 연출이 있다. SBS 금토드라마 <스토브리그>를 보다 보면 작금의 달라진 드라마의 성공방정식이 느껴진다. 무엇보다 성공방정식의 정점은 야구라는 구체적인 세계에서 가져온 리얼한 이야기를 지극히 보편적인 이야기로 풀어내는 바로 그 지점이 아닐까 싶다. 그걸 가능하게 해준 건 백승수(남궁민)라는 개혁가 리더십을 갖춘 인물이다.

 

<스토브리그>가 주목되는 건 현실감이 느껴지는 스토리다. 그 스토리는 당연히 철저한 취재를 통해 가능한 일이다. 실제로 이 작품을 쓴 이신화 작가는 꽤 오래도록 사전 취재를 했다고 한다. 공개된 자문위원만 18명에 이른단다. 물론 실제 자문을 받은 인물들은 더 많았을 게다. 야구라는 특정 전문적 영역을 다루면서 정확한 사전 정보는 필수일 수밖에 없다. 꼼꼼한 취재 덕분인지 <스토브리그>는 실제 현장에서 벌어지기도 하는 리얼한 사건들을 순차적으로 다루며 시청자들을 몰입시켰다.

 

첫 번째 스토리는 프랜차이즈 스타의 트레이드를 다뤘고, 두 번째 스토리는 스카우트 과정에서 벌어지는 비리를 다뤘다. 그리고 세 번째 스토리는 용병 스카우트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치열한 경쟁과 그 과정에서 병역을 기피하고 미국으로 귀화해 스타 메이저리거가 됐지만 부상으로 오도 가도 못하게 된 선수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더 중요한 건 취재를 통해 가져온 야구계에서 벌어지는 사건 소재들을 작가가 보다 보편적인 이야기로 풀어냈다는 점이다. 이 작품은 프로야구 팀 드림즈를 소재로 다루고 있지만 야구드라마이면서 동시에 오피스드라마에 가깝다. 야구를 잘 아는 시청자들은 좀 더 깊게 이야기를 즐길 수 있지만, 모르는 시청자라도 보편적인 오피스드라마로 충분히 즐길 수 있게 구성해 놓았다.

 

오피스드라마의 관점으로 보면 작가가 이 야구소재의 드라마를 통해 현실의 문제를 건드리려는 의도가 역력히 드러난다. 백승수(남궁민)라는 새로운 단장이 만년 꼴찌팀인 드림즈에 부임해 개혁을 통해 팀을 성장시키는 이야기. 부진한 성적은 단지 선수들의 실력만이 문제가 아니라 팀 전체가 굴러가는 시스템의 고질적 병폐 때문이라는 걸 전제로 깔고 있다. 백승수라는 시스템 개혁가는 그래서 우리네 사회의 어떤 조직에서도 통용되는 보편적인 현실과 리더십을 담아낸다.

 

백승수라는 리더십에 대해 시청자들이 몰입하는 건, 우리네 사회 현실에서 느껴지는 고질적 병폐들에 대한 개혁에 대한 갈증 때문이다. 드림즈라는 팀 안을 들여다보면 임동규(조한선) 같은 팀 전체가 아닌 개인의 이득만을 추구하는 선수도 있고, 고세혁(이준혁) 같은 스카웃 비리를 저지르는 팀장도 있다. 구단주의 조카인 권경민(오정세)은 적자가 누적된 팀을 은밀하게 해체시키려 한다. 이철민 수석코치(김민상)와 최용구 투수코치(손광업)는 팀을 위해 화합하기보다는 헤게모니를 잡기 위한 파벌싸움의 각을 세운다. 이러니 잘 될 턱이 없다.

 

드림즈를 우리네 사회나 특정 집단의 축소판으로 본다면 이 드라마는 어째서 그 사회나 집단이 바람직한 모습을 갖지 못하는가를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사적인 감정을 최대한 배제하고 단장이라는 그 위치에서 공정한 시선으로 문제를 들여다보며 어느 쪽에 치우치지 않는 판관의 역할을 하는 백승수는 그래서 우리네 사회에서 어쩌면 가장 필요한 존재처럼 여겨지는 면이 있다.

 

최근 들어 검찰 개혁이니 적폐청산이니 하는 이야기들이 그 어느 때보다 많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건 그런 시스템의 병폐를 이제는 일소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파벌 없이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반대에도 불구하고 논리와 데이터로서 설득해가며 시스템을 개혁하는 존재로서의 백승수. 그 리더십에 시청자들이 몰입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로 보인다.(사진: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