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조선왕조실록도 한낱 지라시? '철인왕후' 과격한 표현 도마에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조선왕조실록도 한낱 지라시? '철인왕후' 과격한 표현 도마에

D.H.Jung 2020. 12. 29. 11:26
728x90

'철인왕후'에 쏟아진 논란, 패러디나 풍자가 선을 넘을 때

 

"주색으로 유명한 왕의 실체가... 조선왕조실록도 한낱 지라시네. 괜히 쫄았어." tvN 토일드라마 <철인왕후>에서 조선시대로 타임리프되어 왕후인 김소용(신혜선)의 몸으로 들어간 장봉환(최진혁)은 그렇게 말한다. 애써 철종(김정현)과의 첫날밤을 피하려 안간힘을 썼지만 도리어 그가 피곤하다며 혼자 잠자리에 들자 안도하며 툭 내뱉는 말이다. 

 

이 말의 의미는 자신이 조선왕조실록의 역사를 통해 알고 있던 철종의 모습과 그의 앞에 마주한 철종이 다르다는 걸 드러내는 말이다. 역사는 철종이 세도정치 속에서 주색에 빠진 왕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래서 기록과 다른 철종의 행동에 장봉환이라는 바람둥이의 목소리로 그런 대사가 담긴 것. 

 

그런 의미라고는 하지만, 이런 과격한 표현은 분명 문제의 소지를 낳을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첫 회에 등장했던 "여기가 무슨 조선시대야?"라고 김소용이 왕에게 묻고 왕이 "조선시대요"라고 말하는 대목은 그저 웃어넘길 수 있는 수위의 표현이다. 그건 비하라기보다는 우리가 현재에도 시대착오적 상황을 말할 때 "무슨 조선시대야?"라고 하는 그 비판적 뉘앙스를 담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이라는 구체적인 문화유산을 가져와 '지라시' 운운하는 건 제아무리 패러디나 풍자라고 해도 선을 넘는 표현이 아닐 수 없다. 이런 문제는 김소용이 술자리 게임에서 어깨춤을 추며 던진 "언제까지 종묘제례악을 추게 할 거야" 같은 대사에서도 똑같이 생겨나는 문제다. 굳이 구체적인 '종묘제례악'을 가져와 웃음을 만들려 할 필요가 있었을까. 

 

물론 <철인왕후>는 조선시대로 상정되는 엄숙한 권위들을 뒤틀어 만들어내는 카타르시스가 힘을 발휘하는 드라마다. 하지만 그것이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지 않고 모두를 웃게 만들려면 표현에 있어서 적당한 거리가 필요하다. 극중 실존인물인 신정왕후의 후손인 풍양 조씨가 <철인왕후>가 그려낸 신정왕후의 희화화에 대해 강력대응 하겠다 나선 건 이처럼 파격적인 이야기를 다루면서 드라마 속 인물을 굳이 실존인물의 이름 그대로 담아낸 데서 발생한 일이다. 

 

만일 철종이나 신정왕후 그리고 풍양 조씨, 안동 김씨 같은 실제 역사 속 인물군을 끌어오지 않고 아예 조선시대라는 시공간만 가져와 가상의 인물들로 이야기를 풀어냈다면 어땠을까. 이런 논란을 애초에 발생하지도 않았을 게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조선왕조실록'이나 '종묘제례악' 같은 구체적인 문화유산을 소재로 끌어와 희화화할 정도로 과격한 길을 선택했다. 이런 표현이 논란이 될 거라는 걸 전혀 예측하지 못했던 걸까.

 

"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인물, 단체, 사건 등은 역사적 사실과 무관하며 창작에 의한 허구임을 알려드립니다." 물론 드라마는 이렇게 사전고지를 함으로써 여기 등장하는 이야기들이 창작자의 허구라는 걸 분명히 한다. 하지만 그 허구 속에도 구체적인 실제 역사 속 인물이나 유산들이 그 이름 그대로 지칭되고 있는 건 이런 고지를 무색하게 만든다. 

 

또한 이렇게 철종 같은 역사 속 실제 인물의 이름을 그대로 가져옴으로써 발생하는 논란은 단지 표현의 문제에만 머물지 않는다. 결국 드라마는 역사에서 다뤄진 철종과는 너무나 다른 철종의 모습을 그려낼 가능성이 높아졌다. 겉으로는 주색에 빠진 듯하고 별 강단도 없어 보이는 인물처럼 꾸미고 있지만 밤이 되면 궁을 빠져나가 마치 협객처럼 무언가를 도모하고 있는 인물이다. 허구라는 걸 밝혔지만 철종의 이름을 가진 인물이 역사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그려지는 건 과연 괜찮은 걸까. 

 

만일 실제 역사와는 다른 완전한 허구의 세계로 그려졌다면 <철인왕후>는 충분히 웃음과 카타르시스를 전할 수 있는 작품일 수 있다. 하지만 거기 등장하는 구체적인 인물과 유산을 담은 표현들은 허구라고 해도 웃기 힘든 지점들을 발생시킨다. 다소 파격적이지만 괜찮은 시도일 수 있었던 <철인왕후>. 너무 과격하고 과감했던 '표현의 문제'가 그 발목을 잡고 있다.(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