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그란 세상

이러다 10%도 돌파?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건드린 정서의 정체

728x90

부끄럽습니다... 박은빈의 한 마디 그 어떤 일침보다 아프다(‘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미친 상승세다. ENA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5회 시청률이 9.1%(닐슨 코리아)를 기록했다. 첫 회 0.9%로 시작했던 드라마가 5회 만에 9%대라니. 이런 흐름이라면 10%도 돌파도 시간문제다. 현실과 판타지를 잘 엮어 장애를 바라보는 균형 잡힌 시선과 희망 섞인 비전을 전하고 있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그래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내고 있는 건 고개가 끄덕여지는 일이지만, 이 정도면 신드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드라마의 무엇이 대중들의 정서를 건드린 걸까. 

 

그 단서는 5회에서 다뤄진 ‘법의 딜레마’라는 소재에서 찾아진다. 이화와 금강 두 ATM 회사가 저작권 문제로 소송을 벌이는 상황. 이화는 자신들의 ATM 기술을 독자 개발한 것으로 금강이 이를 무단으로 도용했다며 판매 금지 가처분 소송을 냈다. 이화를 변호를 맡게 된 우영우(박은빈)는 이 사건을 함께 맡은 권민우(주종혁)의 도발로 점점 경쟁심을 갖게 되고 어떻게든 이겨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려 한다. 급기야 이화가 그 기술을 독자 개발한 것이 아니라는 진실을 알아 차렸지만 승소를 위해 참고인을 연습까지 시켜 법정에 세운다. 

 

결국 가처분 소송에서 이화가 이기고 이로써 금강은 은행 거래처 계약이 대거 이화로 넘어가는 치명적인 타격을 입는다. 하지만 금강에서 가까스로 찾아낸 증거로 인해, 소송은 뒤집어진다. 이화의 기술이 독자적인 게 아니라, 미국에서 소개된 오픈 소스를 가져와 만든 거라는 진실이 밝혀진다. 결국 진실은 밝혀졌고 소송도 뒤집어졌지만 이화의 대표는 별로 놀라지도 않고 오히려 득의만만한 표정이다. 그 사이 이미 계약을 다 했다는 것. 우영우는 자신이 한 짓이 승소를 위해 진실을 왜곡하고 한 회사를 나락에 빠뜨렸다는 사실에 절망한다. 

 

“결국 저는 이화 ATM이 법을 이용하도록 도와준 셈입니다. 실용신안권 출원도 가처분 신청도 모두 계약을 독접하기 위한 거짓된 행동이었는데 저는 그 행동을 말리지 못하고 오히려 도왔습니다. 게다가 저는 그걸 이미 알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우영우는 이화 ATM을 함께 방문했던 이준호(강태오)에게 이렇게 말하면서 그에게도 묻는다. “이화 ATM에 방문했을 때 이준호씨는 황두용 부장님과 배성철 팀장님이 진실을 말한다고 생각했습니까?” 

 

그 질문에 이준호도 선뜻 답을 못한다. 실제로 당시 팀장은 잔뜩 긴장해 있었고 손으로 허벅지를 쓸어내리면서 코끝을 긁는 등 드러나게 거짓말을 하는 모습이었다. 우영우는 아프지만 자신의 잘못을 있는 그대로 꺼내놓는다. “결국 저는 진실을 알면서도 모르는 척 저 자신을 속였던 겁니다. 이기고 싶어서요.” 그러면서 울먹이며 말한다. “부끄럽습니다.”

 

이 장면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그리고 있는 세계의 특징을 잘 드러낸다. 즉 누구든 잘못을 저지를 수 있지만 중요한 건 그 다음이라는 것. 이화 ATM이 한바다 로펌의 의뢰인이고 그래서 직업인으로서 의뢰인이 이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 당연하다 치부하는 권민우는 자신이 한 행동들을 합리화한다. “사실이라고 생각했든 안 했든 의뢰인을 믿기로 했으면 끝까지 믿어요. 그게 변호사가 의뢰인한테 지켜야 되는 예의잖아요.”

 

이건 직업인의 딜레마이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그런 합리화로 모든 게 용서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그래서 이 로펌의 변호사들이 하는 일은 순간 ‘이상하게’ 느껴진다. 법은 정의와 진실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 믿고 있지만, 로펌이 의뢰인을 통해 하게 되는 법 활용은 저들의 이익을 위한 것이 되기도 한다. 우영우의 질문과 자성은 그래서 결코 작지 않은 울림을 만든다. 누가 이상한가? 저들이 이상한가 아니면 잘못한 일을 깨닫고 후회하고 반성하는 우영우가 이상한가. 

 

자폐 스펙트럼을 가진 변호사가 주인공이고 그래서 자폐라는 장애에 대한 결코 얕지 않은 무게감으로 접근하고 있지만,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지목하고 있는 건 그래서 오히려 장애에 빠져버린 세상이다. 진실이 통하지 않고 권모술수가 통하기도 하며 진실이 밝혀져도 거짓을 말한 자들이 이익을 보는 우리 사회의 장애. 게다가 가장 큰 장애는 이런 잘못을 저지르고도 ‘부끄럽게 조차’ 느끼지 않는 사회의 불감증이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지금의 대중들의 정서를 건드린 부분은 아마도 이것이 아닐까. 우리는 의식하지 않으면 그것이 무슨 잘못이 되는가도 모른 채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스스로를 돌아보고 그것이 잘못이었다면 그걸 최소한 부끄럽게 여기고 그래서 반성함으로써 바꿔나가려는 노력을 하는 것. 그것만이 이상한 사회를 되돌릴 수 있는 길이라고 드라마는 말하고 있다. 

 

그러고 보면 첫 회에 우영우가 한바다 로펌에 처음 왔을 때 상사인 정명석(강기영) 변호사가 툭 던져 놓은 대사에 이미 이 작품이 가진 이러한 시각이 담겨 있었다는 걸 알 수 있다. “아, 저기 그, 병원 가야 되지? 직원 붙여 줄 테니까 같이 갔다 와. 외부에서 피고인 피해자 만나는 거 어려워. 그냥 보통 변호사들한테도 어려운 일이야.” 그래도 우영우를 생각해준답시고 이렇게 별 생각 없이 툭 던진 말을 곰곰이 생각하던 정명석은 금세 그게 어딘가 잘못됐다는 걸 알고는 이렇게 말한다. “하, 미안해요. 그냥 보통 변호사라는 말은 좀 실례인 거 같다.” 누구나 저도 모르는 사이 잘못을 할 수 있다. 그걸 바꿔나갈 수 있는가가 중요할 뿐.(사진:E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