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상극과 상생 본문

이주의 영화 대사

상극과 상생

D.H.Jung 2024. 4. 8. 17:18
728x90

“물은 불을 이기고 젖은 나무는 쇠보다 질기다”-‘파묘’

파묘

“불과 물은 상극이다. 쇠의 상극은 나무다. 그러니까 불타는 칼의 상극은 물에 젖은 나무다. 물은 불을 이기고 젖은 나무는 쇠보다 질기다.” 장재현 감독의 영화 ‘파묘’에는 풍수사 상덕(최민식)이 ‘험한 것’과 마주해 사투를 벌이는 장면에서 그런 말을 한다. 풍수사답게 음양오행의 불, 물, 쇠, 나무에 대한 해석으로 흙에서 튀어나온 험한 것과 대적하는 모습이다. 

 

상덕이 말하듯 음양오행에서는 이들 요소들의 관계를 상극과 상생으로 표현한다. 즉 물은 나무를 키워주고 나무는 불의 연료가 되며 불은 흙을 만들고 흙에서 쇠가 만들어지며 쇠는 물을 담을 수 있게 한다. 즉 상생 관계다. 반면 물은 불을 꺼주고 불은 쇠를 녹이며 쇠는 나무를 베어버리고 나무는 흙의 양분을 가져가며 흙은 물을 빨아들이는 상극 관계다. 오행의 관계로 부면 쇠는 나무를 베어버리고 약화시키는 관계지만, 상덕은 이 나무에 물이라는 상생 요소를 더함으로써 ‘쇠보다 질긴’ 젖은 나무를 탄생시킨다. 두 요소의 상생이 상극을 이기는 것. 

 

물론 여기서 ‘불타는 칼’과 ‘젖은 나무’는 군국주의 시절의 일제와 우리나라를 상징한다. 장재현 감독은 “충격을 많이 받아도 참고야 말지 부러지지 않는 나무의 성향이 우리나라와 닮았다”고 말한 바 있다. 그 나무 중에서도 물(피)에 젖은 나무가 더 질기다는 말은 그래서 이러한 질긴 역사를 온전히 담고 있는 우리 땅의 민초(民草)들을 떠올리게 하는 대사다. 반도 국가의 운명이기도 하지만, 외세의 침략이 끝이지 않았던 우리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무수한 불타는 칼들이 그 땅을 불타게 하고 피를 흘리게 했지만 그럴수록 더 질겨졌던 민초들의 저력이 있어 저들을 물리칠 수 있었다. 

 

음양오행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관계를 통해 상극보다 상생이 힘이 세다는 걸 알고 있다. 제아무리 강한 이들이 함께 한다고 해도 그것이 상생이 아니라 상극일 때는 오히려 힘이 약해진다. 반대로 약하게 보여도 상생의 관계라면 더 강한 것도 이겨낸다. 이는 대결과 타협이 그 성질인 정치권이 귀담아 들어야 하는 대목이다. 의료계와의 갈등이나 훌쩍 다가온 4.10 총선의 향방 또한 이 상생과 상극에서 판가름 날 수 있을 테니. (글:동아일보, 사진:영화'파묘')

'이주의 영화 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영화의 가치  (0) 2024.04.29
변화를 받아들이는 마음  (0) 2024.04.22
자격과 권리  (0) 2024.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