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S도 주목해야할 ‘폭싹’ 임상춘의 가족 시대극대중문화 비평 2025. 3. 28. 11:28728x90
‘폭싹’의 가족 시대극은 KBS의 가족극과 뭐가 다를까
폭싹 속았수다 이런 상상을 해본다. 만일 넷플릭스에서 현재 방영되고 있는 <폭싹 속았수다>가 KBS에서 방영됐다면 어땠을까. 상상만으로도 시청률과 화제성이 폭발했을 결과들이 떠오른다. 물론 방송의 결과란 해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일이므로, 상상으로 이런 예상을 해보는 일이 별 의미 없을 수는 있다. 하지만 굳이 이런 상상까지 동원해 보는 건, 그간 KBS가 유일하게 지속해온 가족드라마가 갈수록 고꾸라지고 시청층을 잃어가고 있는 현실이 안타까워서다.
<폭싹 속았수다>를 써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기 시작한 임상춘 작가는 사실상 KBS가 낳은 작가다. MBC 단막극 <내 인생의 혹>과 SBS 단막극 <도도하라>를 쓰며 2014년에 데뷔했지만 본격 데뷔작이라 여겨지는 건 차영훈 감독과 함께했던 KBS 4부작 <백희가 돌아왔다>다. 그 후 <쌈, 마이웨이>로 대중들의 주목을 받은 임상춘 작가는 차영훈 감독과 함께 <동백꽃 필 무렵>으로 신드롬을 불러 일으켰다. 2019년 시청률이 뚝뚝 떨어지기 시작했던 그 시기에도 <동백꽃 필 무렵>은 무려 23.8% 최고시청률을 기록하며 세간에 화제작으로 떠올랐다.
이제 KBS가 끌어안기에는 너무 사이즈가 커진 임상춘 작가가 올해 새로 가져온 <폭싹 속았수다>는 그래서 넷플릭스에서 방영됐다. 600억짜리 대작이고 스타 드라마 감독인 김원석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캐스팅도 아이유에 박보검은 물론이고 문소리, 박해준에 나문희, 김용림, 염혜란, 정해균, 오정세, 엄지원, 백지원 등등 한 마디로 미친 존재감 아닌 연기자들이 없다. 사이즈가 커졌다는 말이 딱 실감나는 작품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 작품의 알맹이를 들여다보면 임상춘 작가의 세계가 얼마나 가족 서사를 깊이있게 바라보고 있는가를 실감하게 된다. 게다가 <폭싹 속았수다>는 그 가족 서사에 6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시대의 흐름을 애순의 어머니 광례(염혜란), 애순(아이유, 문소리), 그리고 애순의 딸 금명(아이유)으로 이어지는 3대의 이야기로 풀었다. 시대극의 요소가 들어간 것이다.
시대극과 가족드라마는 사실 과거 지상파 드라마의 대표적인 장르들이었다. 하지만 가족에서 개인 서사에 더 관심을 갖게 된 시대의 변화와, 미디어의 변화, 지상파의 제작환경 변화 등과 맞물려 이들 장르들은 서서히 힘을 잃었던 게 사실이다. 여전히 KBS만 가족드라마(주말드라마)와 시대극(<오아시스>나 <오월의 청춘> 같은)을 시도하고 있지만 반향만 예전만 못하다.
그런데 그 이유가 그저 시대가 바뀌었기 때문이라고 치부할 수만은 없다. 바뀐 시대에 맞는 시대극과 가족서사가 뒷받침해주지 못했다는 게 더 정확한 표현이다. <폭싹 속았수다>를 보면 우리 시대에 맞는 가족서사와 시대극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고, 또 그 힘 또한 강력할 수 있다는 걸 실감하게 한다.
실제로 넷플릭스는 <폭싹 속았수다>를 통해 중장년 구독자층의 시청 시간이 늘어났다고 한다. 이제 구독료만이 아니라 광고 수익을 목표로도 하고 있는 넷플릭스로서는 이러한 시청 세대의 폭이 늘고 있는 건 고무적인 일이다. KBS 같은 지상파가 가족서사와 시대극 같은 어찌 보면 공영방송에 어울리면서도 지금의 트렌드에 맞는 서사들을 발굴해내는 일이 OTT를 흉내내 장르물에 뛰어든다거나 하는 것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는 걸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대중들이 가족드라마를 점점 외면하는 건, 가족서사 자체가 시대에 뒤떨어져서가 아니다. 그보다는 여전히 시대에 뒤떨어진 가족서사만을 적당한 클리셰로 범벅해 보여주는 가족드라마들에 질렸기 때문이다. 얼마든지 새롭고 참신하며 감동도 주는 가족서사가 가능할 수 있다는 걸 <폭싹 속았수다>의 임상춘 작가는 일련의 작품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런 작가와 서사를 발굴하려는 노력, 어쩌면 여기에 현 지상파들이 가진 딜레마를 풀 열쇠가 있지 않을까. (사진:넷플릭스)
'대중문화 비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싹 속았수다’, 임상춘이라는 세계의 따뜻함 (0) 2025.03.27 ‘하얼빈’이 현 시국에 읽히는 방식 (0) 2025.01.18 ‘오징어 게임2’, 자본의 방식과 민주주의의 방식 (0) 2025.01.09 가족 바깥에서 가족을 찾다 (0) 2025.01.06 탄핵 정국에 다시 보이는 K콘텐츠의 진면목 (0) 2024.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