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토로 마을 찾은 <무도>, 유재석이 사과한 까닭

 

죄송합니다. 너무 늦게 왔습니다. 우리가.” 유재석은 더 이상 말을 잇지 못했다. 참고 참으며 누르고 눌렀던 감정이 터져 나왔다. 우토로 마을에 1세대로서는 이제 혼자 남은 강경남 할머니는 눈물을 보이는 하하와 유재석에게 오히려 울지 말라며 다독였다. 일제 강점기에 강제징용 되어 이주한 우리네 동포들이 지금껏 살아가는 곳 우토로 마을. 그곳에 따뜻한 한식을 들고 찾은 <무한도전>의 하하와 유재석은 그렇게 강경남 할머니 앞에서 한없이 고개를 떨궜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사실 하하와 유재석이 무슨 잘못이 있을까. 하지만 그들이 강경남 할머니 앞에서 고개를 떨구고 눈물을 흘리며 죄송하다고 말하는 장면에서 시청자들도 똑같이 느꼈을 것이다. 그 분들에게 우리가 너무나 잘못하고 있었다는 것을. 나라가 어려워 그렇게 힘겹게 한 세상을 살게 됐던 우리네 동포들이 아닌가. 도움을 주지는 못할망정, 기억 속에서조차 지워버리고 있었다는 건 크나큰 잘못이었다.

 

우토로 마을이 우리에게 재조명 됐던 건 약 10여 년 전인 2004년이다. 당시 일본의 시민단체인 우토로를 지키는 모임회원과 주민들이 강원도 춘천에서 열린 한중일 거주문제 국제회의에 참여해 했던 애끓는 호소는 여러 민간단체들의 마음을 움직였던 것. 89년 일본정부는 우토로 거주 동포들에게 우토로에서 나가라는 퇴거 명령을 내렸고 2000년 일본 최고재판소는 퇴거명령 확정판결을 내리기도 했다. 강제로 끌려와 강제 노역을 했던 우리 동포들에게 터전을 주기는커녕 아무런 권리가 없다는 이유로 땅을 매각해 이제 강제 퇴거를 명령했다는 것이다.

 

2004년 이 사실이 알려지고 민간단체들이 발 벗고 나섰다. 민간단체와 재단들은 '그까이꺼 사버리자'며 우토로 토지 매입을 위한 모금운동에 나서기도 했다. 이 사연을 접한 서민들은 꾸깃꾸깃 모아뒀던 쌈짓돈을 모아 성금을 보내왔다. 그리고 여론에 의해 국회에서도 우토로 땅 매입을 위한 30억 원 지원이 의결되기도 했다. 2011년 이렇게 모인 기금으로 우토로 지역의 832평을 시민사회의 모금으로 또 1152평을 한국정부의 지원금으로 매입할 수 있었다. 전체 크기의 3분의 1 정도 되는 규모였지만 그렇게라도 터전을 지킬 수 있었다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었다.

 

우토로 마을을 찾은 <무한도전>의 하하와 유재석은 여전히 하수도 시설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그 곳에서 살아가는 그 분들에 대한 우리의 부채감을 마치 대변하는 듯 보였다. 그분들을 위해 <무한도전>이 정성껏 차려낸 한 끼의 밥상과 사라질 집 앞에서 그것을 영원히 잊지 않겠다는 듯 사진을 찍어두는 장면에는 그래서 시청자들의 마음이 얹어지지 않을 수 없었다. 고향의 음식을 맛있게 드시는 모습을 보며 한없이 행복해지고, 이별을 아쉬워하는 할머니 앞에서 결국 눈물을 터트리는 하하와 유재석의 마음은 그래서 우리들의 마음 그대로였다.

 

죄송합니다. 너무 늦게 왔습니다.” 유재석의 이 말 속에 모든 게 들어 있었다. 이제 1세대로서는 단 한 분 남아있는 강경남 할머니. 그 할머니의 연세는 91세였다. 여덟 살의 어린 나이에 이 곳으로 와서 벌써 80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 오래도록 흘렸을 눈물로 더 이상 말라버렸을 것만 같은 할머니의 두 눈에서는 여전히 눈물이 흘렀다. 그렇게라도 찾아준 그들에게 할머니는 연실 고마움을 표했다. 잊지 않는다는 것. 그것이 그분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다. 유재석의 사과는 같은 동포로서 아마도 그 최소한의 예의도 지키지 못했다는 것에 대한 자책이었을 것이다. 그걸 바라보는 우리들이 그러하듯이.



<오피스>가 겨눈 회사의 경쟁 시스템에 대한 칼날

 

회사의 경쟁 시스템은 도대체 누구를 위한 것인가. 승진과 과락, 인턴과 정식사원. 밥줄을 쥐고 있는 회사는 트레이닝과 선발 과정이라는 명분으로 몇 개월씩 싸게 부려먹고는 입맛에 맞지 않고 내치기도 한다. 또 성실하게 일해 온 사원을 실적이 조금 안 나온다고 무능하다며 하루아침에 해고통보를 하기도 한다. 그렇게 밀려난 인물들이 심지어 죽음 같은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고 해도 회사는 눈 하나 까닥 하지 않는다. <오피스>가 웬만한 공포물보다 더 무섭게 다가오는 건 그래서일 게다.

 


사진출처:영화<오피스>

영화 <오피스>는 회사를 배경으로 벌어지는 살인사건을 다룬다. 워낙 진중한 사회적 의미를 갖는 질문들이 담겨져 있기 때문에 사회극에 가깝지만 영화는 웬만한 공포물을 뛰어넘는다. <미생> 같은 작품이 회사생활이 가진 비애를 휴먼드라마에 가깝게 그려낸다면 <오피스>는 그 비애의 차원을 넘어선 분노와 그 분노가 만들어내는 공포를 담는다.

 

인턴으로 들어와 4개월 차에 접어든 이미례(고아성)는 늘 불안하다. 정식사원이 되지 못했기 때문에 동료들과 어우러질 수도 없다. 그런 그녀에게 따뜻하게 대해준 유일한 인물이 김병국(배성우) 과장이다. 그 김병국 과장이 일가족을 살해하고 회사로 숨어들어왔다. 착하디 착한 심성의 그를 왕따 했던 동료와 상사는 공포를 느낄 수밖에 없다.

 

<오피스>가 포착하는 공포는 그러나 김병국 과장이 뿜어내는 그 살벌한 살인자의 느낌 때문이 아니다. 이 영화는 우리가 그저 일하는 공간으로서 공유하고 있던 회사라는 곳이 얼마나 공포스러운 공간인가를 드러낸다. 한밤 중 모두가 퇴근한 후 아무도 없는 사무실에 혼자 앉아 있을 때 느껴지는 그 서늘함이라니.

 

회사에서 잠시 스트레스를 벗어나 숨을 돌리는 공간들은 그래서 <오피스>에서는 소름 돋는 공간으로 변모한다. 잠시 숨을 돌리듯 담배를 피우며 회사 뒷담화를 하곤 하는 계단 흡연 장소나, 그래도 혼자만의 공간이 될 수 있는 화장실 같은 공간이 그것이다. 그렇게 마음을 놓는 공간이 순식간에 피로 물들어가는 장면을 바라본다는 건 실로 무시무시한 일이다.

 

그 공간이 그토록 무섭게 다가오는 이유는 사람들 때문이다. 경쟁적인 현실. 누군가는 승진하고 누군가는 뒤로 밀려나며, 누군가는 정식사원이 되지만 누군가는 인턴의 끄트머리에 쫓겨날 운명에 처하기도 한다. 이 경쟁적인 시스템 안에서 인간적인 관계 따위는 존재하기 어렵다. 혹여나 인간적인 관계를 드러내려 할 때면 그것은 자칫 무능함으로 낙인 찍히는 게 시스템의 법칙이다. 그래서 <오피스>에서는 뒤에서 수근 대는 사람들의 목소리만으로도 충분히 소름 돋는 일이 된다.

 

그래서 <오피스>는 사회극처럼 그려졌지만 결과물은 공포물이 되었다. 시스템이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스트레스 상황은 <오피스>가 그려내는 우리네 경쟁적인 사회의 단면이지만, 영화는 그 안에 서슬 퍼런 칼 한 자루를 던져 넣음으로써 과연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가를 들여다본다.

 

그 결과는 참혹하다. 하지만 그 참혹한 결과가 보여주는 건 아무런 일도 벌어지지 않았다는 듯 멀쩡하게 시스템으로 위장한 채 보여지는 회사의 실체이기도 할 것이다. 과연 거기에는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고 있는가. <오피스>의 서슬 퍼런 질문은 우리네 일터의 현실에 대한 강렬한 비판의식을 담아낸다.

 

어쨌든 조금 무거울 수밖에 없는 영화이고 또 공포물의 특징을 갖고 왔기 때문에 대중적이라고 말하기도 쉽지 않다. 하지만 적어도 회사라는 공간에서 누구나 한번쯤 비애감이나 분노를 느꼈던 분들이라면 이 무시무시한 공포물이 한 편으로는 무의식 깊숙이 밀어 넣고 아무렇지도 않은 듯 무표정을 가장하며 숨겨두었던 금기를 터트리는 쾌감 또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공포물보다 더 무시무시한 회사의 풍경이라니. 이런 이야기에 공감하는 현실은 실로 통탄할 일이 아닌가.



<삼시세끼>가 수미쌍관으로 보여준 변화들

 

<삼시세끼> 1년 간 어떤 변화들이 있었을까. 이서진은 처음 모습 그대로 툴툴거리며 요리는 역시 인스턴트야라고 말한다. 그러면서도 그의 표정은 즐거움이 가득하고 손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재게도 움직인다. 옥택연은 여전히 어딘가 조금은 어색한 음식을 하며 정통은 아니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꽤 그럴싸해졌다. 중간에 합류한 김광규는 애써 갖가지 양념을 들이부어 꽤 먹을 만한 겉절이를 내놓는다.

 


'삼시세끼(사진출처:tvN)'

여전히 툴툴대고 어딘지 정통은 아닌 듯 별다를 바 없는 밥상을 보여주며, “직접 키워 해먹는다는 건 하지 말아야할 일이라고 얘기하면서도 그들의 얼굴에는 어떤 보람 같은 것들이 느껴진다. 나영석 PD 역시 1년 간 삼시세끼 해먹으면서 그 의미가 사 먹으라고 결론 내주어서 고맙다고 비아냥대면서도 그리 싫지만은 않은 모습이다.

 

그렇다. 달라진 건 별로 없어 보인다. 여전히 옥순봉 아래 집이 덩그라니 한 채 서 있고 그 모두가 떠난 자리에 이서진과 옥택연이 서 있다. 하지만 그 별다를 것 없다는 그들의 이야기와는 달리 그 안에는 어마어마한 일들이 있었다. 아무 것도 없던 하트 밭에 옥수수들이 가득 자랐고 거기서 수확한 옥수수들은 그들은 한 때나마 흥청망청 고기 부호 놀이를 하게 해주기도 했다.

 

옥택연과 박신혜가 심었던 야채들은 무성하게 자라 그 열매들을 내주었다. 잭슨과 밍키는 어느새 엄마가 되어 2세들과 새로운 가족을 이루었고 꿀벌들은 옥순봉 사람들을 위해 야생화들에서 꿀을 애써 날랐다. 처음 낯설었던 시골살이는 이제 뭐든 척척 해내는 익숙함으로 다가왔다. 여전히 도시의 삶이 좋다고는 하지만 이서진은 이 시골 삶 역시 꽤 즐거운 기억으로 남았을 것이다.

 

무엇보다 그 곳을 찾았던 무수히 많은 게스트들에게 줄 수확한 작물들을 챙기자 그들과의 추억들이 방울방울 피어올랐다. 김치를 담그며 이서진의 보조개를 패이게 했던 담그지우’, 망친 감자옹심이 때문에 속상해했던 김하늘과 버럭 셰프의 면모를 보여줬던 이선균, 늘 부지런한 보조로 묵묵히 일만 했던 손호준, 마치 형제처럼 읍내를 활보했던 지성 등등. 그들의 면면들이 그 아무 것도 일어나지 않은 것만 같은 옥순봉 세끼 집에는 여기저기 서려 있었다.

 

박신혜로 시작해서 박신혜로 끝내는 그 수미쌍관을 <삼시세끼> 시즌2가 굳이 선택했던 건 그 처음과 끝의 변화가 얼마나 다른가를 보여주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어느새 박신혜는 게스트가 아니라 신혜렐라가 되어 갖가지 맛나는 음식들을 척척 맛보게 해주는 그런 존재가 되어 있었다. 그녀가 부여한 밝은 에너지가 너무나 컸기 때문일까. 그녀가 떠난 자리에는 커다란 허전함이 남았다.

 

아마도 이 박신혜의 빈자리에서 느껴지는 허전함은 <삼시세끼>라는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들의 소회 그대로일 것이다. 한바탕 왁자했던 한 여름의 그 즐거웠던 기억들을 이제는 정리하는 시간이다. 그들이 애써 달라진 건 없다고 말하는 것 역시 그 아쉬움을 숨기기 위함이 아닐까.

 

실제로 달라진 건 없을 것이다. 내년에도 다시 씨앗은 뿌려지고 작물은 자라고 텅 비었던 그 곳에 사람들의 왁자한 목소리들이 들려올 것이다. 그리고 어느 시간이 되면 그들은 아쉽게도 헤어져야 한다.

 

하지만 <삼시세끼>1년 간을 들여다보면서 이 보통의 일들이 이제는 대단히 특별한 일들로 다가온다. 매일 매일 반복되는 그 일상이 주는 특별함. 시간의 더깨가 쌓이면서 생겨나는 기적 같은 순간으로 남은 추억들. <삼시세끼>가 보여준 보통의 1년은 어느새 특별한 시간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별다를 것 없이 흘러가는 듯 보이는 우리네 삶이 그렇듯이.



방송이 장악한 음원, 발 빠르게 대처한 YG

 

우리도 다음엔 <무한도전>, <쇼미더머니>에 나가려 한다.” MBC <정오의 희망곡 김신영입니다>에 출연한 소녀시대는 이렇게 말했다. 농담 반 진담 반이 섞인 얘기였다. 음원차트를 몇주 째 장악하고 있는 <무한도전><쇼미더머니>의 강력한 힘을 에둘러 말하면서 그 와중에도 차트 역주행을 한 자신들이 대견하다는 걸 말하는 대목이었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농담 섞인 얘기였지만 소녀시대의 이야기는 지금 엄연한 현실이 되고 있다. 음원차트를 들여다 보라. 1위부터 10위까지 <무한도전> 영동고속도로 가요제에 나왔던 음원들과 <쇼미더머니4>에 올랐던 음원들이 가득 채우고 있다. 박명수와 아이유가 함께 한 레옹이 부동의 1위이고, 그 밑으로 황광희와 지드래곤, 태양이 부른 맙소사2위이며, 3위는 <쇼미더머니4>에서 송민호가 태양과 함께 부른 이다.

 

그나마 10위 권에 소녀시대의 ‘Lion heart’가 들어있다는 게 이례적으로 느껴질 정도다. 음원차트 20위 정도까지는 사실상 <무한도전> 영동고속도로 가요제에 나왔던 가수들의 음원과 <쇼미더머니4>의 음원들이 채워지고 그 후부터 순수하게 음원을 낸 가수들의 곡들이 비로소 보이기 시작한다. 에이핑크의 ‘Remember’나 현아의 잘 나가서 그래같은 곡들도 이 밑에 들어가 있다. 평상시라면 10위 권에 충분히 들어갔을 곡들이다.

 

이쯤 되면 가수들의 볼 멘 소리도 나올 법 하다. 제 아무리 음원에 공을 들여도 방송에 출연해서 부른 곡에 밀려버리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무한도전> 영동고속도로 가요제에서 나온 음원들은 이벤트적인 성격이 더 강하다. 가수들과 <무한도전> 멤버들의 콜라보레이션으로 만들어진 곡이다 보니 음악 본연의 힘만큼 프로그램이 보여준 음악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오버랩 되면서 생겨난 힘이 더 크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방송이 장악한 음원차트를 들여다보면 유독 YG의 강세를 느낄 수 있다. <무한도전>에 참여한 빅뱅의 지드래곤과 태양은 황광희와 함께 맙소사를 차트에 올렸고, 위너의 송민호는 역시 <쇼미더머니4>에서 태양과 부른 을 차트에 올렸으며 타블로, 지누션이 인크레더블과 함께 부른 오빠차도 차트 상위에 올라있다. 놀라운 건 이 <무한도전><쇼미더머니>의 공세 속에서도 빅뱅의 노래들이 10위부터 20위 사이에 채워져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빅뱅의 곡 자체가 좋기도 하지만 <무한도전><쇼미더머니> 같은 방송 프로그램에 빅뱅이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영향도 적지 않다.

 

이렇게 되니 모든 기획사들이 어떻게든 방송과 공조하려 애쓰고 있지만 그 중 유독 눈에 띄는 게 YG. 어쨌든 방송이 가진 위력은 각종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입증된 바 있다. 이제 가수가 아무런 방송과의 공조 없이 음원을 내서 주목을 받는다는 건 쉽지 않은 상황이 되었다. 일찌감치 YG<K팝스타>를 통해 SBS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왔고 MBC <무한도전> 가요제에도 빅뱅이 거의 계속 출연하며 고정적인 지분을 마련하고 있다. Mnet <쇼미더머니>의 경우는 작년 바비가 우승한 데 이어 올해는 송민호가 2위를 차지했다. YGKBS와 소원했던 관계도 최근 들어 화해 분위기로 바꾼 바 있다.

 

이 정도의 흐름이면 지금의 음원 차트에서 유독 돋보이는 YG의 힘을 그저 우연이라 말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방송이 음원차트를 좌지우지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이 있지만 이제 이 제 이 흐름을 거스를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어쨌든 방송은 이제 음원이 함께 할 수밖에 없는 독보적인 위치를 갖게 된 것. YG의 발 빠른 대처와 그 결과는 향후 음원시장이 어떤 풍경이 될 것인가를 잘 말해주고 있다. 소녀시대의 너스레가 그저 농담만은 아니라는 얘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