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상상플러스’는 왜 말을 버렸나옛글들/명랑TV 2008. 2. 2. 22:51
말을 버리자 말장난이 된 ‘상상플러스’ ‘상상플러스’라는 토크쇼의 미덕은 말이 가진 표현에 천착했던 점이다. 스타에 관한 재치가 넘치는 댓글들을 방 한 가득 붙여놓고 거기서 몇 개를 골라 스타의 이면을 얘기하는 포맷 속에는 기본적으로 네티즌의 참여와 그 참여한 네티즌의 재치 넘치는 댓글이 힘을 발휘한다. 이 토크쇼에서의 대화는 따라서 저들끼리의 이야기가 아닌 네티즌이 참여된 이야기가 된다. 이 미덕이 발전적으로 이어지면서 큰 인기를 끌었던 코너는 ‘세대공감 올드 앤 뉴’이다. 여기서 말은 코너의 중심주제로 부각되었다. 젊은이들의 언어와 기성세대의 언어를 끄집어내면서 세대간의 공감대를 형성하겠다는 취지가 있었기에 토크쇼라면 응당 있기 마련인 연예인들의 신변잡기는 인정되었다. 게다가 그러한 취지를 살리듯 프..
-
‘무한도전’과 ‘1박2일’ 캐릭터, 뭐가 다를까옛글들/명랑TV 2008. 1. 29. 13:09
모자란 ‘무한도전’ VS 배고픈 ‘1박2일’ 바야흐로 리얼 버라이어티쇼 전성시대. 소위 말해 캐릭터가 잡히면 프로그램은 뜬다. 이것은 진행형 스토리를 갖춘 리얼리티쇼에서 이제는 드라마나 시트콤만큼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캐릭터가 중요해졌다는 말이다. 리얼 버라이어티쇼 중 ‘캐릭터가 잡힌’ 프로그램은 그 캐릭터라이즈드 쇼(Characterized Show)의 선구자인 ‘무한도전’이 될 것이며, 후발주자로서 급속히 ‘캐릭터가 잡혀가고 있는’ 프로그램은 ‘1박2일’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 두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캐릭터들은 어떤 특징들을 갖고 있을까. 마이너리티 캐릭터들의 집합, ‘무한도전’ ‘무한도전’을 이끄는 수장인 유반장(유재석)은 쇼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들이대는 캐릭터들을 배려하고 조절하는 캐릭터다. 올 ..
-
‘이산’과 ‘왕과 나’의 멜로 비교옛글들/명랑TV 2008. 1. 29. 13:08
사극이 사랑을 그리는 방식 사극이 사랑에 빠졌다. ‘이산’의 이산(이서진)과 성송연(한지민)이 그렇고, ‘왕과 나’의 성종(고주원)과 어을우동(김사랑) 그리고 윤소화(구혜선)가 그러하다. 그런데 똑같은 사랑이지만 그 양상은 사뭇 다르다. 사극과 만나 빛을 발하고 있는 멜로라고 해도 어떤 것은 호평을 받고 어떤 것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섬세한 사랑, ‘이산’ 이산과 성송연의 사랑은 가까이 앉아 속삭이는 사랑이 아니다. 그것은 궁 하나를 두고 있는 거리에서의 사랑이며, 세손과 다모라는 신분이 말해주는 거리에서의 사랑이기도 하다. 둘이 가까워지는 것을 저어한 혜경궁홍씨(견미리)에 의해 심지어 성송연은 그것도 모자라 이역만리 청국으로까지 보내진다. 이렇게 먼 거리를 두면서 그들은 어떻..
-
‘1박 2일’, 시트콤보다 재미있는 이유옛글들/명랑TV 2008. 1. 29. 13:07
캐릭터의 리얼 야생 스토리, ‘1박2일’ 리얼 버라이어티쇼는 점점 시트콤과 닮아가고 있다. 거기에는 캐릭터가 있고 그들이 걸어왔던 수많이 이야기들이 중첩된다. 울진에 간 ‘1박2일’팀이 대게잡이를 놓고 벌이는 배드민턴 경기는(특히 MC몽과 이승기의 경기) 화천 이외수의 집에 갔던 에피소드와 중첩된다. 거기서 잠자리를 두고 벌였던 탁구경기에서 MC몽과 이승기는 ‘저질탁구’의 진면목을 보여준 경력이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배드민턴 경기는 더 흥미진진해진다. 배드민턴 경기 하나에 시트콤의 모든 요소가 있다 여기에 재미를 더해주는 것은 MC몽과 이승기가 가진 상반된 캐릭터다. MC몽이 ‘야생 몽키’의 캐릭터를 부각시키고 있다면, 이승기는 야생 속에서도 꼭 머리는 감아야 하는 샌님 캐릭터이다. 캐릭터의 부딪침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