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저씨는 왜 나만 보면 웃어요?” 허진호 ‘8월의 크리스마스’

8월의 크리스마스

“아저씨. 아저씨는 왜 나만 보면 웃어요?” 허진호 감독의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에서 다림(심은하)은 정원(한석규)에게 묻는다. 주차단속요원으로 단속차량 사진을 현상하러 자주 초원사진관을 찾아오면서 다림은 그 곳을 운영하는 정원에게 각별한 감정을 갖게 된다. 정원 역시 마찬가지다. 그래서 저도 모르게 자꾸만 웃음이 난다. 무표정했던 삶에 피어난 웃음. 하지만 그는 그럴수록 괴로워진다. 시한부 판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다림을 만나기 전까지만 해도 정원은 그 시한부의 삶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건 마치 어려서 모두가 가버린 텅 빈 운동장에 혼자 남아있을 때 느꼈던 감정 같은 거라고. 어머니도 아버지도 그리고 자신도 언젠가는 그렇게 사라져 버리는 거라고 받아들였다. 하지만 그의 삶 속으로 불쑥 들어온 다림에 대한 감정이 생겨나면서 정원은 흔들린다. 술에 취해 친구에게 농담처럼 자신이 곧 죽는다고 말하기도 하고, 경찰서에서 조용히 있으라는 말에 왜 자신이 조용히 있어야 하냐고 절규한다. 삶에 대한 기대감은 희망고문처럼 그를 짓누른다. 

 

죽음 앞의 삶. 우리는 모두 시한부다. 그러니 사라져가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그 자연스러운 일이 힘겨워지는 건 사랑하게 된 존재들과의 이별 때문이 아닐까. 정원은 끝내 그 이별을 받아들인다. 사랑을 간직한 채 떠날 수 있게 해준 다림에게 고마움을 갖고 조용히 혼자 떠난다. 삶이 아름다운 건 언젠가 사라져가기 때문일 게다. 웃을 일 없던 정원이 다림을 보며 자꾸만 웃었던 것도. 또 하나 둘 떨어져 수북히 쌓여갈 낙엽들이 벌써부터 우리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도. 아름답도록 슬픈 멜로 영화 한편이 그리워지는 가을의 문턱이다. 9월의 끝자락에서도 푹푹 찌던 여름이 어느새 지나고 있다.(글:동아일보, 사진: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

'옛글들 > 이주의 영화 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한창업  (0) 2024.10.13
사적 제재와 진짜 정의  (0) 2024.10.08
든든한 내 편  (0) 2024.09.16
장애와 사회의 책임  (0) 2024.09.10
사람의 가치  (0) 2024.09.02

솔튼페이퍼팝과 가요를 잇는 경계인의 음악

 

수목이면 방영하는 SBS 드라마 <질투의 화신>의 메인 테마곡으로 자리 잡은 ‘Bye, autumn’이란 곡이 화제가 된 건 과연 드라마 때문일까. 아니면 제목에 나타나있듯 솔솔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나무들이 색색의 옷을 갈아입는 가을이라는 절기의 서정적인 감성이 이 곡과 너무나 잘 어우러졌기 때문일까. 아마도 드라마와 계절, 그 영향을 무시할 순 없을 게다.

 

사진출처:질투의 화신OST

하지만 그것만이라면 이 곡은 저 수많은 ost들 중 하나 정도의 존재감으로 남지 않았을까. 영어가사로 되어 있어 팝송이라 여겼던 분들은 이 곡이 이 드라마의 남혜승 음악감독과 작곡가 김희진이 대본을 받고 만든 곡이라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또 영락없는 팝 가수의 목소리로 가을의 감성을 제대로 긁어놓은 솔튼페이퍼가 불렀다는 사실에도.

 

노래가 좋아 반복해 듣다가 ‘Bye, autumn’의 가사를 새삼 되뇌어본 경험이 있는 분들은 그 시적인 정조에 당장 눈앞에서 천천히 쏟아져 내리는 별빛(Slowly fall a thousand stars)과 모든 것들이 지나쳐가는(And everything, all goes by) 그 시간의 쓸쓸하지만 어딘지 말랑말랑해지는 그 감성을 느꼈을 것이다. 솔튼페이퍼는 이 곡을 통해 자신이 웃거나 울거나(If I cry, if I smile) 혹은 노력한다고 해서(If I try, if I chase) 달라질 건 없는, 저 가을이면 하릴없이 떨어지는 잎들처럼 작별을 고해야 하는 우리네 삶을 우리 앞에 펼쳐 보여줬다.

 

솔튼페이퍼의 음악이 팝과 가요에 걸쳐진 경계인의 느낌을 주는 건 그가 미국에서 태어나 90년대 시애틀에서 성장했고 2005년 한국으로 와 지금껏 본격적인 음악 활동을 해왔던 특이한 행보와 무관하지 않다. 그래서 그의 목소리에는 90년대 커트코베인을 연상케 하는 그런지의 느낌이 배어있으면서도 동시에 우리식의 정서가 깔려 있다. 이미 팝이 특정 국가의 음악이 아니라 전 세계인의 음악이 되어버린 현재, 그래서 솔튼페이퍼의 음악은 팝송이지만 우리 정서가 좋아할만한 것들로 채워져 있다.

 

지난 5월 발표한 앨범 ‘Spin’은 그래서 꽃잠프로젝트 김이지와 함께 부른 오 달아라‘What a Place’ 같은 우리네 정서가 물씬 풍기는 어쿠스틱한 곡도 있지만, 커트 코베인이 다시 살아 돌아와 부른 것만 같은 ‘Love Leech’‘Heavy Muse’ 같은 곡들도 들어 있다. 게다가 솔튼페이퍼는 MYK라는 이름으로 에픽하이와 힙합 작업을 하기도 했다.

 

팝송과 가요, 그런지 느낌이 절절히 묻어나는 얼터너티브록과 지극히 감성적인 어쿠스틱한 발라드, 게다가 힙합까지. 사실 어찌 보면 한데 묶어놓기 애매한 요소들이지만 솔튼페이퍼는 바로 그런 다양한 음악적 감성들이 섞여지며 어찌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좋아할 수 있는 팝송이자, 우리네 감성이 해외에도 어필할 수 있는 그런 가요를 동시에 해내고 있다.

 

물론 솔튼페이퍼라는 매력적인 경계인의 음악을 대중적으로 알려준 건 <질투의 화신>이라는 드라마의 공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솔튼페이퍼가 가진 음악적 매력은 이 ost 그 이상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미 모든 세계의 문화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그 주고받는 영향을 통해 교집합의 문화를 만들어내는 시대에 솔튼페이퍼라는 경계인의 음악은 그래서 흥미롭다.

 

그는 그런 자신의 음악에 우리 식의 정서를 담아내기 위해 지금껏 국내에서 활동하며 노력해왔다고 한다. 지난 2013<유희열의 스케치북>에 나왔을 때도 그랬지만 지금도 우리말이 익숙하지는 않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솔튼페이퍼의 음악은 우리 식의 감성이 잘 배어든 팝송 같은 느낌을 준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경계인만이 줄 수 있는 매력이 아닐까 싶다

볼빨간 사춘기에 대한 열광, 이미 준비된 것들이었다

 

잘 영글었다. 한 번 들으면 빠질 수밖에 없는 목소리. 하지만 볼빨간 사춘기의 목소리가 처음부터 우리의 귀를 부드럽게 긁어주었던 건 아니다. 이 소녀들이 <슈퍼스타K>의 오디션 무대에 나왔을 때만 해도 그 목소리는 제대로 영글지 않아 심지어 음정이 불안하게까지 느껴지기도 했다. 하지만 그 때도 이미 볼빨간 사춘기의 시대는 어느 정도 예고되어 있었다. 독특한 감성을 자극하는 목소리에 군살을 쪽 뺀 어쿠스틱한 사운드, 그리고 대단하다기보다는 귀엽게까지 다가오는 랩까지 어우러져 미처 영글지도 않았던 그녀들은 오디션 탈락 후에도 오래도록 귓가에 잔상으로 남아있었다.

 

'볼빨간 사춘기(사진출처:쇼파르뮤직)'

그리고 지난 4월 발표한 하프앨범 레드 이클(RED ICKLE)’에서 볼빨간 사춘기는 드디어 제대로 익은 목소리를 들려줬다. 거기 수록됐던 초콜릿이란 곡은 이 예사롭지 않은 신예 듀오의 색깔을 왠지 쌉쌀해 근데 또 달콤해라는 가사로 들려줬다. 안지영의 목소리는 초콜릿처럼 쌉쌀한 상큼함이 묻어나면서도 부드럽게 녹아들었다. 순수하고 밝은 사춘기의 이미지이면서도 때때로 목소리의 깊은 맛은 재즈싱어의 농익음을 담고 있었다.

 

당시 수록곡 중 가장 대중적인 느낌을 주는 곡은 싸운날이란 곡이다. 포크록의 느낌이 물씬 배어있는 마치 테일러 스위프트를 연상케 하는 이 곡은 경쾌하게 시작해 강렬한 사운드로까지 이어지며 볼빨간 사춘기의 다채로운 음악적 매력을 드러내줬다. 경북 영주의 시골밴드로 소개됐던 볼빨간 사춘기는 그 이미지 그대로 소박하면서도 소녀들 특유의 발랄함을 이미 갖추고 있었다. 하지만 그 후 몇 년 사이 여기에 그들이 갖고 있던 음악적 가능성들이 좋은 곡들과 어우러져 얹어졌다. 그러니 이들이 우주를 줄게라는 곡으로 역주행 음원 차트 1위를 기록하는 일은 그저 기적이 아니다. 이미 이 소녀들의 음악은 우주를 줄 만큼 깊어져 있었으니.

 

볼빨간 사춘기에 대한 열광은 개성적이면서도 매력적인 목소리, 좋은 음악, 공감 가는 가사 같은 온전히 음악적인 것들로 인해 생겨난 것들이다. 이 소녀들의 발랄한 이미지 역시 시각적인 것에서 비롯됐다기보다는 먼저 이들의 음악적 특성들이 그걸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치장하는 것 하나 없이 온전히 무대에 올라 소박한 기타 반주와 목소리 하나로 어필한 무대. 그것이 볼빨간 사춘기가 가진 매력의 원천이다.

 

그녀들의 노래가 SNS를 통해 입에서 입으로 돌고 돌며 조금씩 대중들을 팬층으로 이끌었다는 건 그래서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다. 요란한 쇼케이스와 현란한 볼거리로 가득 채워지는 뮤직비디오들, 그리고 발매 즉시 차트 정상에 떡 하니 올라가는 그런 음악과는 다른 가치. 단번에 차트 정상에 오른 곡들이 그만큼의 속도로 사라져가는 것과는 달리, 볼빨간 사춘기의 곡들은 그래서 천천히 귀에 적셔져 오래도록 여운을 남긴다.

 

과거 10센치가 대중들에게 어필했던 것도 그저 홍대의 한 카페에서 조촐하게 들려주는 노래들이 유튜브 같은 SNS를 통해 공유되면서부터였다. 그 때도 권정열의 보컬과 어쿠스틱한 사운드를 들려주는 윤철종의 기타 반주는 소리 소문 없이 대중들의 귀에서 귀로 전달되었다. 볼빨간 사춘기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 역시 이런 흐름을 보이고 있다. 안 들어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 들으면 빠져들 수밖에 없는 그녀들의 음악. 가을에 걸맞게 잘도 영글었다.

서두르지 않아 좋다, <공항 가는 길>의 감성멜로

 

오랜만에 보는 정통 감성멜로다. 아주 천천히 전개되는 것 같지만 감성이 켜켜이 쌓여가면서 어느 순간 임계점을 넘어버리면 어찌할 도리 없이 넘쳐 흘러내리는 그런 감정의 경험. KBS 새 수목드라마 <공항 가는 길>의 멜로는 지금껏 드라마들이 첫 회에 폭풍전개를 쏟아 붓는 그런 방식과는 사뭇 다르다. 터트리는 게 아니라 조금씩 젖어간다고 할까.

 

'공항 가는 길(사진출처:KBS)'

첫 회 최수아(김하늘)와 말레이시아에 딸 효은(김환희)을 유학 보내며 딸의 룸메이트인 애니의 아빠인 서도우(이상윤)와 얽히는 과정은 그래서 조금은 느슨한 느낌마저 주었다. 하지만 딸들을 해외에 두게 된 부모로서 서로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최수아와 서도우가 인연을 갖게 된다는 점은 신선했다.

 

최수아가 노트북으로 화상통화를 할 때, 효은의 노트북에 비춰진 반대편 책상 애니의 노트북을 통해 서도우가 고국을 그리워하는 딸을 위해 한국의 갖가지 풍경들을 담아주는 장면을 보는 장면은 흥미로웠다. 각각 다른 공간에 놓여 있지만 부모에서 딸들로 또 그 딸들을 위하는 부모들끼리의 마음이 오가는 것이 그 장면에 한꺼번에 녹아 있었기 때문이다.

 

수제맥주집을 찾았다가 해외에 딸을 보내고 자신이 그런 자리에 있다는 것이 못내 마음에 걸리는 최수아에게 서도우가 전화를 걸어 딸들이 잘 지내고 있으니 걱정 말라고 위로해주는 장면도 두 사람의 관계가 동병상련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조금씩 전개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사실 최근 드라마들을 보면 마치 조급증에나 걸린 것처럼 서두르는 경향이 있다. 그것은 첫 회의 기세가 드라마의 향방을 좌우한다는 현실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맥락 없이 남녀가 우연히 만나 그 해프닝이 첫 회에 일찌감치 사랑으로 발전하는 드라마들은 너무 성급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그건 마치 이미 정해진 짝짓기 놀이를 하는 듯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공항 가는 길>은 그런 점에서 보면 차근차근 진행되어 무리함이 없게 느껴진다. 하지만 이것이 이 드라마가 밋밋하다는 얘기는 아니다. 첫 회 중반 이후를 지나면서 고국으로 돌아오지 말라는 엄마의 전화를 받은 애니가 절망하고 그러다 교통사고로 사망하게 되면서 이야기는 급물살을 탄다. 딸의 사망 소식을 접한 서도우와 그가 애니의 아빠라는 사실을 뒤늦게 안 스튜어디스 최수아는 그래서 드디어 미묘한 관계의 선을 넘기 시작한다.

 

해외에 딸을 보낸 부모의 공감대가 딸을 잃은 아빠, 그것도 그 딸에 대한 애정이 지극했던 아빠에 대한 연민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 물론 서도우도 최수아도 모두 결혼한 기혼남녀지만 그들의 결혼생활은 그다지 평범하지 않아 보인다. 서도우는 딸의 사망 소식을 듣고도 자신이 견디기 힘들다며 딸을 거기 묻어달라고 말하는 아내 김혜원(장희진)의 이야기를 듣고 놀라워한다. 최수아는 기장인 남편 박진석(신성록)과 사내 연애로 결혼했지만 직업적 특성상 같이 얼굴을 마주하는 시간이 거의 없다. 회사에서는 티를 내지 않기 위해 아예 모른 척 지나치기 일쑤. 서도우와 최수아의 평탄치 않은 결혼생활은 두 사람의 관계를 촉발시킬 것으로 보인다.

 

어찌 보면 평범해 보이는 멜로의 틀을 보이는 것 같지만 <공항 가는 길>은 그 접근 방식이나 인물의 심리 묘사가 디테일해 확연히 다른 느낌을 준다. 그래서 이미 결혼한 사이에서 갖게 되는 상대방에 대한 마음들이 그저 불륜의 느낌을 준다기보다는 일상에 던져진 파문이나 삶에서 우연히 맞닥뜨리게 되는 운명적인 경험처럼 다가오는 면이 있다.

 

가을에, 무엇보다 김하늘이라는 배우와 정말 잘 어울리는 감성 멜로다. 물론 그 감성이 어느 정도의 선까지 나갈 것인가에 따라 호불호는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잔잔한 바다 밑으로 격정적으로 흘러가는 조류들이 뒤엉키듯 그 감정들이 점점이 묻어나는 <공항 가는 길>의 감성 멜로는 의외로 우리를 위로해주는 이야기로 다가올 수 있다. 무엇보다 아이의 죽음으로부터 시작된다는 점은 그것이 어떻게 치유되는가에 대한 과정으로 이 감성 멜로가 그려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