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의 로망과 남자의 로망

드라마를 보는 시청자들이 욕망하는 캐릭터의 트렌드는 달라지기 마련. 최근 두 아이콘이 그 트렌드의 정수를 헤집는 중이다. 하나는 ‘궁’의 명랑소녀에서 ‘커피 프린스 1호점’의 미소년으로 온 윤은혜, 그리고 또 하나는 ‘왕의 남자’의 미소년에서 ‘개와 늑대의 시간’의 남자로 온 이준기다. 이 두 아이콘의 변신은 이 시대 남녀 각각의 로망을 끄집어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청춘 멜로의 진화, 명랑소녀에서 미소년으로
‘커피 프린스 1호점’의 고은찬(윤은혜)은 남장여자. 겉모습은 남자이고 실제는 여자이니 남자와의 트렌디한 연애는 애초부터 글러먹었다. 그래서 이 남장여자는 한참을 우정과 의리로 우회해 사랑을 찾아가는 중이다. 그런데 그 사랑의 과정을 담은 청춘 멜로 드라마의 캐릭터가 가진 색다른 결은 굉장한 파괴력을 갖고 있다. 그것은 기존 멜로 드라마들이 트렌디해지면서 주지 못했던 설렘 같은 것이다. 마치 잊고 있던 청춘의 한 때를 기억하며 가슴이 뛰는 느낌을 갖는 것. ‘커피 프린스 1호점’은 한 마디로 불감증에 걸린 가슴을 ‘두근두근’하게 만드는 드라마다.

그런데 왜 하필 남장여자라는 캐릭터였을까. 바로 여기에 해답이 있다. 여성 캐릭터의 진화는 여성들의 사회진출과 함께 비례적으로 변화를 거듭해왔다. 과거 최루성 멜로 드라마 속의 여성 캐릭터는 눈물 하나로 충분히 당대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여성 캐릭터들은 신파로 오인 받는 눈물을 거두고 가슴 설레는 신데렐라의 로망을 꿈꾸게 되었다. 신데렐라는 차츰 가녀린 모습에서 가난하지만 씩씩한 명랑소녀로 변신했고 이 부분이 윤은혜가 등장하는 시점이다. 소녀장사 이미지의 윤은혜는 ‘궁’의 채경을 만나서 명랑소녀 전성시대의 정점을 보여줬다.

하지만 이 또한 남성에 의해 거두어지거나 보호받는 캐릭터로 여전히 남성의 그늘이 남아 있었다. 완전히 남성의 테두리를 벗어나 오로지 독립적인 여성으로서 오히려 남자를 선택할 수는 없는 걸까. 여성의 사회진출이 남녀관계의 진정한 동등함을 요구할 때 윤은혜는 명랑소녀에서 미소년으로 변신했다. 남장여자가 되자 먼저 종속적이던 여성의 모습은 사라졌다. 그들은 의리와 우정으로 만남을 시작하지 구질구질한 남녀관계로 서로를 작업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이 고은찬이란 캐릭터는 그러면서도 두 남자를 한 손아귀에 쥐고 있는 캐릭터란 점이다. 여기가 여성들의 로망을 살짝 드러내는 부분이다.

전문직 장르 드라마의 부활, 미소년에서 남자로
반면 ‘개와 늑대의 시간’의 이수현(이준기)은 평범한 듯 보이면서도 강력한 카리스마를 내재한 캐릭터다. 눈앞에서 킬러에 의해 어머니가 살해되는 장면을 목격했으니 애초부터 평탄한 삶은 글러먹었다. 그래서 일상에 지쳐 나른한 남성들의 아드레날린을 자극해 칼과 총알이 날아다니는 모험의 세계로 인도할 이 오딧세우스는 태국이라는 이국적인 공간 속에 온 몸을 던지는 중이다. 그런데 이 평탄한 삶을 던져버리고 거친 복수의 길로 뛰어든 이수현이란 캐릭터는, 사회적으로 고개 숙인 남성들의 피를 끓게 하는 구석이 있다.

이준기는 왜 그의 명성을 만들어준 미소년이란 캐릭터를 그다지도 버리고 남자로 서고 싶었을까. 사회의 남녀 성차가 사라지는 것과 비례해서 드라마 속 남성캐릭터들은 마초적인 캐릭터에서 한없이 미소년으로 변모해왔다. 그것은 드라마의 주 시청층이 여성이라는 점에서 그 여성 캐릭터의 변화에 발맞춰 변모된 결과. 남성 캐릭터들은 한없이 친절해졌고 심지어 울기 시작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사극과 전문직 장르 드라마에서 남성시청자들의 존재가 증명된 뒤, 남성 캐릭터는 다시 카리스마의 부활을 예고하고 있다. ‘주몽’이나 ‘하얀거탑’은 끝없이 욕망을 분출하는 남성의 로망이 투영된 드라마다.

최근 들어 등장했던 ‘히트’나 ‘에어시티’같은 전문직 장르 드라마들은 남성 캐릭터들은 다시 미소년으로 갈아치웠다는데 있다. 멜로와 장르 드라마의 부조화에서 불거져 나온 문제의 근원은 남성 캐릭터가 너무 친절하다는 점이다. 이준기가 미소년의 대명사로 등장한 것은 한창 남성 캐릭터들이 예뻐지다 그 정점에 올랐던 2006년. ‘왕의 남자’의 공길(이준기)은 사실 그 예쁘게 우는 남성 캐릭터의 극점이었다. 그것은 이준기라는 연기자의 성공과 동시에 커다란 족쇄를 의미했다. 그 이미지를 버리려 남자가 되려는 이준기라는 연기자의 축과, 남성의 로망을 다시 끄집어 내줄 새로운 카리스마가 필요해진 전문직 장르 드라마라는 축이 만난 것이 ‘개와 늑대의 시간’이다. 여기서 이준기가 연기하는 이수현이란 캐릭터는 과거의 그저 마초적이기만 한 카리스마가 아닌, 겉으로는 공길 같은 부드러움이 있지만 내적으로는 야수 같은 강렬함을 가진 카리스마를 갖고 있다.

여자의 로망과 남자의 로망
재미있는 것은 이 두 연기자의 이미지 변신이 한 발작이 아닌 반 발작 정도의 지점에 있다는 점이다. 윤은혜는 과거의 이미지를 그대로 가져왔지만 캐릭터가 주는 소명대로 소년의 이미지를 부가시켰다. 이준기는 여전히 미소년의 풍모를 가졌지만 순간순간 숨겨진 야수성을 보여준다. 이렇게 된 것은 이 두 연기자가 자신의 이미지 변신과 연기자로서의 평가를 제대로 받기 위해 들인 치열한 노력의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이 한 발작이 아닌 반 발작이란 의미는 이들의 변신이 단지 오버에 의해 억지로 창조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방증한다.

멜로드라마의 쇠퇴 이후 그 대안처럼 등장한 전문직 장르 드라마의 부침은 이제 이 두 장르의 공존을 모색하는 시기로 넘어가는 듯 하다. 그것은 여성 시청자층으로 대변되던 과거에서 점차 남성 시청자층이 늘고 있는 현재가 만나는 지점이다. 그 핵심에는 여자의 로망과 남자의 로망이 있고 그걸 대변하듯 등장한 연기자들은 바로 윤은혜와 이준기다.

‘개와 늑대의 시간’, 전문직 장르 드라마 살릴까

이준기가 출연한다는 점만 갖고도 충분히 ‘개와 늑대의 시간’이란 드라마는 이점을 갖고 출발한다. ‘왕의 남자’와 ‘마이걸’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던 그는 ‘플라이 대디’로 주춤했지만 최근 들어 ‘화려한 휴가’로 연기의 진폭이 달라졌다는 걸 보여줬다. 연기자 이준기의 연기는 과거보다 좀 묵직해지고 날이 서 있다.

첫 회 시작부분에 강렬한 추격 신에서 보여준 이수현(이준기)의 모습은 2회에서의 번듯하게 자란 모습과 대비를 이루면서 드라마가 진행될 그 중간 변화의 과정에 기대감을 갖게 만든다. ‘개와 늑대의 시간’이란 독특한 제목 또한 적인지 아군인지 알 수 없는 상황을 말해준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제목을 이렇게 달 때부터 이 드라마는 분명한 선악구도보다는 선인지 악인지 알 수 없는 상황 속에 놓여지는 인물들에 더 집중될 것이라는 걸 기대하게 한다.

스토리는 복수극의 구도를 따라가되 거기에 제목에서 암시한대로 상당히 많은 갈등 요소들을 포함시킬 것이 예상된다. 지금의 캐릭터를 그 스토리 라인에 잘만 풀어놓으면 꽤 괜찮은 복수극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이 정도면 초반 설정에서 이 드라마는 상당한 가능성을 기대하게 한 셈. 그럼에도 이 드라마가 어딘지 위태롭게 보이는 건 왜일까.

그것은 아무래도 ‘히트’나 ‘에어시티’에서 보였던 액션과 멜로 라인의 부조화가 염려되기 때문일 것이다. 이 드라마의 첫 회 도입부에 등장했던 추격 신은 ‘히트’의 도입을 연상케 하고, 2회에 등장한 공항 신은 ‘에어시티’를 연상케 한다. 그리고 이수현, 서지우(남상미) 그리고 강민기(정경호)의 멜로 라인은 2회를 넘긴 지금 이미 설정되어 있다.

지난 드라마들에서 장르 드라마가 갖는 긴장감을 여지없이 느슨하게 만든 장본인이 멜로였다는 점은, 액션과 멜로의 조화가 이 드라마의 성패를 갈라놓을 수도 있을 거라는 걸 말해준다. 다행스러운 건 이수현이란 캐릭터가 ‘에어시티’의 김지성(이정재)이나, ‘히트’의 차수경(고현정)처럼 애인이나 동료의 복수가 아닌 부모의 복수를 꾀한다는 점이다. 그만큼 절실하고 강렬한 욕망을 가진 캐릭터이기에 느슨한 멜로는 어딘지 어울리지 않는 구석이 있다.

현재 드라마에 쏟아지는 엇갈린 반응들은 이 장르 드라마가 아직까지는 어설픈 느낌을 주고 있다는 걸 반증한다. 그 비교대상은 홍콩 느와르로 대변되는 세련된 액션이다. 앞으로 전개될 이수현이 청방의 언더커버로 들어갈 것이란 점은 애석하게도 이 드라마를 저 ‘무간도’와 비교하게 만든다. 하지만 같은 내용에도 전개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의 영화로 탄생한 ‘티파티드’를 볼 때, 비슷한 설정에도 중요한 것은 그 장르를 제대로 살려냈느냐 하는 점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드라마는 장르를 제대로 살려내는 것이 관건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 큰 위험성은 아이러니 하게도 바로 그 가능성을 기대하게 만드는 제목에서 비롯된다. ‘개와 늑대의 시간’이란 제목에서 드러난 이수현과 서지우(남상미)의 상황이 너무 일찍 구도를 잡은 건 아닌가 하는 점이다. 만일 ‘개와 늑대의 시간’의 의미가 사랑하는 여인의 아버지가 원수라는 상황을 말하는 거라면 이야기는 너무 일찍 단서를 제공한 셈이다. 다행히 여기에 이수현과 강민기의 관계가 변수로 작용한다. 어쩌면 남녀 관계에 우정 관계를 접목하는 부분에서 드라마는 좀더 힘을 얻을 지도 모른다.

물론 이 모든 건 2회가 끝난 지금 하나의 가정일 뿐이다. 지금 상황은 말 그대로 ‘개와 늑대의 시간’이다. 그럼에도 멀리서 다가오는 실루엣에 가정과 제언을 붙이는 이유는 이 드라마가 지금 현재 전문직 장르 드라마가 겪은 어려운 길을 걷지 않길 바라기 때문이다. 저 해가 땅 끝에 붙어 있는 사물을 분별하기 어려운 시각에 조금씩 다가오고 있는 이 드라마가 개가 될지 늑대가 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어느 것이든 장르에 충실한 드라마가 나오길 기대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