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붕 뚫고...', 웃음을 넘어 공감까지 하이킥!

'지붕 뚫고 하이킥'에서 이순재는 김자옥을 위한 이벤트로 3천만 원 가까운 엄청난 비용을 쓰고는 그것을 벌충하기 위해 가족들을 모아놓고 비상시국선언을 한다. 가족들에게 생활비를 절반으로 줄이라는 것. 그러자 그 집에 얹혀사는 세경과 신애는 쫓겨나는 건 아닌가하는 불안감에 사로잡힌다. 세경은 스스로 월 60만원 받던 것을 깎겠다고까지 말하며 앞장서서 비용절감에 나선다. 그런데 이 와중에도 이순재는 홈쇼핑으로 김자옥을 위해 고가의 코트를 선물한다.

이 때 이순재의 양심이 하는 말이 의미심장하다. '네가 저지른 일로 왜 가족들이 고생을 해야 하냐. 너 정신이 있는 거냐 없는 거냐' 이 양심의 말은 그의 행동과 비교되면서 보는 이들을 웃게 만들지만, 이 전체 이야기는 절대 웃지만은 못할 뉘앙스를 갖고 있다. 이 시트콤 속에서의 가족은 한 나라로도 읽히고, 그 가계살림의 파탄은 나라경제의 파탄으로도 읽힌다. 이순재의 생각 없는 낭비가 가족들의 쪼들림으로 이어지는 이야기는 일은 엄한 데서 저질렀지만 늘 국민들이 고통분담을 해야하는 상황을 떠올리게 하고, 그래도 열심히 절약하려는 세경의 모습은 눈물겨운 서민들의 건강함을 떠올리게 한다.

'지붕 뚫고 하이킥'은 이전에도 이 가족과 이웃의 이야기를 통해 나라경제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낸 적이 있다. 그것은 바로 이순재의 공언으로 시작된 '만 마리 학접기 사건'이다. 김자옥에게 접지도 않는 학을 접고 있다고 말하고 만 마리를 접어 선사하겠다고 공언한 이순재는 그 말을 책임지려고 정보석에게 회사도 나오지 말고 학을 접으라고 시킨다. 정보석은 혼자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그 일을 아르바이트를 고용해 하기 시작하는데, 그 파급효과가 미국, 인도 등 점점 세계적으로 퍼져나가 나중에는 개성공단에서 학을 접는 상황까지 커져나간다는 이야기다.

학을 접기 위해 전 세계인이 들썩거린다는 그 이야기가 웃음을 주면서도, 한편으로는 우리네 경제가 어떻게 굴러가는가를 에둘러 말해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가진 자들에게는 별거 아닌 일로 비롯된 소비가 전체 경제에까지 영향을 준다는 것. 물론 학 한 마리 접는데 백 원씩 받기 위해 여기저기서 달려드는 아르바이트생들의 이야기에는 씁쓸한 구석도 있다. 거기에서 청년들의 취업문제가 떠오르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닐 것이다.

이런 경제 불황 속에서 사회가 웃음을 잃어가는 것은 당연지사. '지붕 뚫고 하이킥'이 가볍게 던지는 웃음 한 방에 잠시 동안 시름을 잊게 되다가도, 그 시대를 공감하는 이야기가 짠하게 다가오는 것은 그 때문일 것이다. 웃음을 넘어 공감까지 갖게 되는 것. 이것은 '지붕 뚫고 하이킥'의 웃음 코드가 가진 가장 큰 장점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지붕 뚫고 하이킥'은 지나치게 심각하지 않고, 또 그래서도 안 된다. 그것은 시트콤의 본분을 잃어버리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들 어려운 시국에 지나치게 가벼운 것도 그다지 좋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지금 '지붕 뚫고 하이킥'이 서 있는 지점은 실로 절묘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시트콤은 웃음은 물론이고 공감을 통한 흐뭇함이나 감동까지 전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보면 여느 심각한 드라마도 하지 못하는 것을 이 시트콤은 제대로 하고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굶겨서 웃기는 시대, 먹여서 웃긴 '무한도전' 그 의미

리얼 버라이어티쇼에서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리얼리티의 재료는? 바로 음식이다. '무한도전'은 일찍이 이 음식이 주는 식욕과 굶주림 사이에서 리얼리티를 포착해 큰 웃음을 주었다. '1박2일'의 복불복에서 가장 많이 쓰인 조건은 먹음직한 음식 앞에서 굶는 것이었고, '패밀리가 떴다'는 프로그램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음식을 만들어먹는데 쓴다. 웃음의 포인트도 모두 이 음식과 관련된 것들이 가장 크다. 아무리 설정과 연기를 한다 해도 원초적인 본능을 자극하는 음식 앞에서는 리얼한 반응이 나올 수밖에 없다.

그런데 주로 음식을 활용해 웃음을 주는 방식은 굶기는 쪽이 많았다. 이유는 아마도 여러 가지일 것이다. 과거 '무리한 도전' 시절, 정준하가 우동을 몇 그릇씩 먹어야 하는 미션도 있었지만 배부름이 주는 리얼리티는 어딘지 거북한 면이 있다. 굶주림의 정서가 주는 공감대가 서민들의 정서와 맞닿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배고픔이 주는 웃음은 풍요의 시대의 정반대 그림을 그려낸다는 점에서 더 큰 웃음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한도전-박명수의 기습공격'편이 선택한 것은 굶주림이 아니라 오히려 먹여서 웃기는 쪽이었다. '서민 경제 살리기'라는 기치를 내건 박명수와 무한도전 멤버들이 기습 공격한 것은 불황에 힘겨워하는 치킨집과 삼겹살집. 불황으로 늘어난 주름과 한숨을 한 방에 날려줄 프로젝트로서 최고 매상을 올려주기 위해 유도부원들과 축구부원들 그리고 개그맨들이 일정 매출 이상 음식을 먹는 미션을 수행했다.

그저 음식점을 찾아가 먹는다면 말 그대로 '서민 경제 살리기' 이벤트 프로그램이 되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무한도전'은 그 상황 자체를 웃음의 코드와 연결시킴으로써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진수를 선보였다. 군사들을 출전시켜 전쟁을 치르는 설정극을 음식 먹어치우기와 연결시켰던 것. 미션을 실패하면 음식 값을 치러줘야 하는 박명수 장군(?)의 진두지휘 하에 음식점에 투입된 군사들(?)은 일사분란하게 치킨과 삼겹살을 먹어 치웠다. 설정극을 차용하자 이 단순할 수 있는 미션은, 배부름에 힘겨워하는 군사들을 독려하고 때때로 무와 음료수를 보급(?)해주는 장면들로 전화되면서 버라이어티한 웃음을 만들어냈다.

이것은 과거 정준하가 우동을 몇 그릇씩 먹던 '무리한 도전'이 주던 거북한 리얼리티와는 사뭇 다른 풍경이다. 그것은 이 '많이 먹는 미션'이 '서민 경제 살리기'라는 의미를 만났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많이 먹는다는 것이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했을 때는 그 도전 자체가 무식하고 거북한 일이 되지만, 그것이 누군가를 돕는다는 차원이 되면 보람 있는 일로 바뀌어진다. 그런 면에서 '무한도전-박명수의 기습공격'편은 음식점에도, 운동부원들에게도, 또 '무한도전'에게도 모두 이득을 남겼다. 음식점은 음식을 팔았고, 운동부원은 실컷 음식을 먹었으며, '무한도전'은 그걸 통해 큰 웃음을 얻었다.

불황에 아끼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쓰는 것이다. 경제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소비가 살아나야 한다. '무한도전'의 공격 대상이었던 치킨집과 삼겹살집이 우리네 서민 경제처럼 보이고, 그들이 먹어치우는 엄청난 양의 치킨과 삼겹살과의 전쟁이 불황과의 전쟁처럼 읽혀지는 것은 왜일까. 굶겨서 웃기는 시대, 먹여서 웃긴 '무한도전'의 웃음이 값지게 받아들여지는 것은 그 때문일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