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여기서 지면 저 사람은 죽는다” 곽경택 ‘소방관’

소방관

“형 무섭지 않으세요? 그랬더니 그 형이 뭐라고 했는지 알아? 나도 무서워. 검은 연기 때문에 발끝도 안 보일 때는 다리가 후들후들 떨려. 그래서 내가 ‘그럴 땐 무슨 생각 드세요, 형?’ 그랬더니 딱 하나. 내가 여기서 지면 저 사람은 죽는다.” 곽경택 감독의 영화 ‘소방관’에서 진섭(곽도원)이 들려주는 이 이야기는 소방관이라는 직업의 숭고함을 드러낸다. 불길 속으로 뛰어들어 단 한 명이라도 더 구해내기 위해 목숨을 거는 그들이다. ‘소방관’은 이들의 숭고한 삶을 담아낸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영화다. 

 

실제로 이 영화는 2001년 홍제동 다가구주택에서 벌어졌던 방화사건을 소재로 가져왔다. 아들이 미처 나오지 못했다는 주인의 말 한 마디에 몸 사리지 않고 불길 속으로 뛰어들었지만 갑자기 무너진 건물은 7명의 소방관을 삼켜버렸다. 불법주차 차량들 때문에 중장비가 투입되지 못한 현장에서 255명의 대원들이 맨손으로 콘크리트를 뜯어내면서 구조를 시도했지만 단 한 명을 제외하고 모두가 차가운 시신으로 돌아왔다. 이 사건이 더더욱 안타까웠던 건 나오지 못했다는 아들이 실은 불을 낸 장본인이었다는 사실이다. 

 

워낙 잘 알려진 실화지만, 이 영화는 강건너 불구경하듯 바라보던 화재와 그 현장에 뛰어드는 소방관들의 삶 깊숙이 들어감으로써 그것이 그저 임무의 차원을 넘어선다는 걸 실감하게 해준다. ‘신이시여. 아무리 강렬한 화염 속에서도 한 생명을 구할 수 있게 하소서. 너무 늦기 전에 어린아이를 감싸 안게 하시고 공포에 떨고 있는 노인을 구하게 하소서. 그리고 신의 뜻에 따라 목숨을 잃으면 신의 은총으로 제 아내와 가족을 돌보아 주소서.’ 자신을 위한 내용은 그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는 어느 소방관의 기도가 더 절절해지는 계절이다.(글:동아일보, 사진: 영화 '소방관')

'옛글들 > 이주의 영화 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자의 품격  (0) 2025.04.04
정의의 이름으로  (0) 2025.01.06
정상과 절벽 그리고 계곡  (0) 2024.12.23
서울의 밤과 시민의 힘  (0) 2024.12.16
겉과 속  (0) 2024.12.09

최근 우리네 콘텐츠에도 유행처럼 부는 소재 중 하나가 평행세계다. SBS 드마라 '더 킹'이 대한제국과 대한민국의 두 평행세계가 겹치며 벌어지는 사건을 다뤘다면, 현재 방영되고 있는 OCN 드라마 '트레인'은 한 사건에서 서로 다른 선택을 한 인물이 각각 다른 삶을 살아가는 평행세계가 겹쳐지면서 벌어지는 스릴러를 다뤘다.

 

양우석 감독이 3년 만에 가져온 '강철비2'는 독립적인 하나의 작품이지만, 3년 전 개봉해 좋은 반응을 얻어냈던 '강철비1'과 기묘한 평행세계 같은 뉘앙스를 풍긴다. 그것은 정우성과 곽도원이 '강철비1'에서는 북한에서 남한으로 내려온 최정예요원 엄철우(정우성)와 남측 외교안보수석 곽철우(곽도원)로 등장하지만, '강철비2'에서는 대한민국 대통령(정우성)과 북 호위총국장(곽도원)으로 등장한다는 점 때문이다.

 

물론 이건 전작에서 좋은 합을 보였던 배우들과 감독의 의기투합으로 이뤄진 결과이겠지만 '강철비'라는 세계관이 그려내는 한반도를 둘러싼 무수히 많은 선택지들과 그 선택에 의해 공멸하던가 아니면 공존하는가가 결정되는 그 변수들을 떠올려보면 의도적으로 평행세계 같은 뉘앙스를 담으려 한 건 아닌가 하는 생각까지 하게 된다.

 

'강철비2'는 전작에서 그랬듯 '선택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남과 북 그리고 이를 둘러싼 미,중,일의 복잡한 이해관계 속에서 때론 국가의 존폐 아니 나아가 전 인류의 존폐를 결정짓는 건 대통령이나 최고지도자 같은 이들의 선택일 수 있다. 바로 이 지점이 '강철비2'가 흥미진진해지는 이유다.

 

호위총국장에 의해 발생한 쿠데타로 대한민국 대통령과 미국 대통령(앵거스 맥페이든) 그리고 북한 최고지도자인 위원장(유연석)이 북한 핵잠수함에 인질로 잡히는 상황은 그들의 죽고 사는 문제만이 아닌 남북한과 미국 나아가 중국과 일본의 운명까지 결정할 수 있는 중대사가 된다. 그런 위기 상황 속에서 보여주는 세 정상의 갈등과 협력은 마치 하나의 상황극처럼 그려지지만 적어도 이 위태로운 상황 속에 늘 놓여져 살아가는 우리네 관객들에게는 손에 땀을 쥐고 볼 수밖에 없는 몰입을 만들어낸다.

 

영화 '강철비2'는 대부분 핵잠수함 내부에서 벌어지는 사건들과, 그 핵잠수함과 다른 국가의 잠수함들과의 교전상황을 중심으로 흘러간다. 그래서 잠수함이 등장하는 전쟁영화들이 주는 그 긴박한 스릴러의 묘미를 그려내면서 동시에 그 속에서 부딪치는 인물들의 치열한 부딪침을 담는다. 흥미로운 건 세 정상이 좁은 방 안에서 벌이는 소동이 우리네 한반도 상황과 이를 두고 국가 간 외교를 해나가는 정상들의 모습들을 자꾸만 연상시키게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폐쇄공포증을 일으키는 잠수함 속에서의 이야기는 때때로 그 긴장을 무너뜨리는 풍자적 웃음이 채워지기도 한다.

 

'강철비2'는 한반도 인근 해상에서 벌어지는 이 사건을 마침 북상하는 태풍과 겹쳐 이야기한다. 태풍의 이름이 'Steel rain'이고 그것은 마치 한반도 상황이 일촉즉발의 태풍을 마주하고 있다는 걸 은유적으로 담아낸다. 관객들은 저들의 올바른 '선택'에 의해 이 태풍 같은 긴장이 조용히 지나가기를 바라게 된다.

 

'강철비1'과 '강철비2'는 연달아 한반도에서 벌어질 수 있는 특정 상황극을 마치 평행세계의 이야기처럼 보여주면서 그 속에서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를 묻는다. 평행세계는 결국 선택의 문제를 끄집어낸다. 그리고 그 선택은 국가의 정상들만의 몫은 아니라는 걸 엔딩크레딧이 끝난 후 대한민국 대통령의 목소리로 전한다. 자칫 전쟁으로 치달을 수 있는 아슬아슬한 순간을 슬기롭게 넘겼다 해도 궁극적으로 분단을 넘어 통일로 향해가는 길은 우리네 국민의 선택에 의해 가능해지는 일이기 때문이다.(사진:영화 '강철비2')

‘강철비’의 핵보다 뜨거운 남북 철우의 브로맨스

역시 <변호인>의 양우석 감독이다. 그의 신작 영화 <강철비>는 사실 전작과는 너무나 다른 소재를 들고 왔다. 그것은 가상 핵전쟁 시나리오다. 북한 내에 쿠테타가 벌어지고 암살 위협을 피해 남한으로 북한1호와 함께 내려온 엄철우(정우성)가 남한의 외교안보수석 곽철우(곽도원)를 만나 핵전쟁을 막기 위해 뛰고 또 뛰는 첩보 액션 블록버스터. 그러니 “국가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그 가슴 뜨거워지는 인권변호사의 외침이 지금도 생생한 <변호인>의 느낌과는 사뭇 다르게 다가오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직접 영화롤 보게 되면 <변호인>과 <강철비>는 닮은 구석이 많고 또 그 느낌 역시 그리 다르지 않다는 걸 확인하게 된다. <변호인>이 인혁당 사건 같은 국가적인 문제를 떠올리게 하는 소재를 다루면서도 그 접근방식으로서 인권변호사의 따뜻한 인간적인 행보에 집중했다면, <강철비>는 핵전쟁 시나리오라는 지금도 실제 상존하는 위협과 불안을 소재로 다루면서도 그 접근방식으로는 북의 엄철우와 남의 곽철우가 동행하며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끈끈한 인간적인 감정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이 그렇다. 

그런 점에서 보면 <강철비>는 2006년 개봉했던 강우석 감독의 <한반도>와는 사뭇 다른 접근방식을 보여주는 영화다. <한반도>가 점점 커지는 북핵의 위협이라는 불안감을 스펙터클로 잡아내는 블록버스터에 가깝다면, <강철비>는 그 안에서도 사람을 놓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보면 <강철비>가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방식은 전쟁 스펙터클이 주는 자극적인 면이 아니라 그 안에서도 사람이 존재한다는 걸 증명하는 데서 오는 감동 같은 것이다.

하늘에서 쏟아져 내려오는 ‘강철비’ 같은 살상무기에 의해 순식간에 지옥도가 되어버리는 장면이 주는 끔찍함은, 그것이 분단 상황에서 적국의 위협 때문에 벌어진 일이 아니라 그 분단을 이용해 권력을 쥐려는 이들의 욕망에 의해 발생한 일이라는 점에서 단지 끔찍함에 머물지 않는다. 그 장면이 상기시키는 건 이 분단 상황이라는 체제가 권력자들에 의하여 얼마나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이들을 피폐하게 만들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그래서 이 공감대 아래 공교롭게도 이름이 같은 북의 엄철우와 남의 곽철우가 이념과 체제를 뛰어넘어 핵전쟁을 막으려 공조하게 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들은 자신들이 싸워야 할 대상이 남과 북으로 나뉘어 적국이 된 상대방이 아니라 그 분단을 이용하려는 권력자들이라는 걸 확인하다. 그리고 그 공감대 밑바탕에 깔려 있는 건 두 사람 모두 각각 지켜내야 할 가족이 있다는 사실이다. 

영화 <강철비>는 그래서 마치 핵전쟁이라는 한반도를 둘러싼 각국 권력자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벌어지는 비극에 남북의 두 인물이 핵보다 뜨거운 휴머니즘으로 맞서는 듯한 대결구도를 보여준다. 그러고 보면 이 두 사람의 이름이 모두 공교롭게도 ‘철우’인 건 이유 있는 작명이라 생각된다. 인명 살상을 위해 하늘에서 쏟아져 내리는 그 끔찍한 ‘강철비’에 맞서는 두 철우(강철비)의 이야기이니 말이다. 이런 가상 전쟁 블록버스터에서도 뜨거운 사람 냄새를 맡을 수 있다는 건 역시 양우석 감독이기 때문일 게다.(사진:영화<강철비>)

연기신들도 <무도> , 곽도원 애청자의 팬심 인증

 

병정게임에 기반한 추격전을 하는 와중, 상암동 MBC 사옥으로 이동하는 차안에서 주지훈은 뜬금없이 <무한도전>의 대폭망 사례인 좀비특집이야기를 꺼낸다. 수백 명의 엑스트라를 동원해 준비했던 특집이 박명수가 사다리 하나를 치워버림으로써 그대로 끝나버렸다는 이미 <무한도전> 팬들에게는 전설이 되어버린 실패사례. 그 이야기를 들으며 정우성, 황정민, 정만식, 김원해 같은 연기신들도 황당해한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그러더니 이제는 황정민이 슬쩍 자신이 봤던 퍼펙트센스에서 박명수가 눈이 가려진 채 승합차에 태워 헬기처럼 꾸며냈던 몰래카메라 이야기를 꺼낸다. 그걸 보며 웃겨 죽는 줄 알았다는 것. 그 이야기에 다른 연기신들도 맞장구를 쳐준다. 영화 속에서는 그 누구보다 존재감이 강렬한 연기신들이지만 그들은 이 프로그램을 보며 깔깔 웃는 자신들을 이야기하며 스스럼없이 <무한도전>의 팬임을 인증한다.

 

출연해 꽤 많은 시간을 할애하면서 그것이 겨우 오프닝에 불과하다는 걸 안 연기신들은 은근히 놀라는 눈치였다. 그러면서 춤이면 춤, 연기면 연기, 순발력 있게 들어와 웃음을 빵빵 터트리게 만드는 그들이 바로 예능신이라는 걸 확인한다. 그리고 처음에는 이방인처럼 어색했지만 어느새 <무한도전> 깊숙이 들어와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예능 출연이 거의 처음이라고 할 수 있는 곽도원은 심지어 덩치에 걸맞지 않은 귀여운 춤을 추고 곽블리라 불리면서 웃음을 주체하지 못하는 리액션을 보여준다.

 

본 게임에 들어가 추격전을 하면서도 그들은 이렇게 뛰고 또 뛰고 하루를 온전히 고달프게 보내는 <무한도전>의 노동을 실감한다. 일찌감치 <무한도전> 팀들에게 잡혀 포로가 된 곽도원은 그 현장을 가까이서 목격하는 시청자의 시선을 보여준다. 설명하고 또 설명해도 게임의 룰조차 잘 이해하지 못하는 광희에게 하나하나 다시 설명해주고, 유재석이 왜 그런 행동을 했는가를 묻는 양세형에게도 친절하게 그 이유를 밝혀준다.

 

가까이서 그 장면을 보는 곽도원은 새삼 유느님의 진가를 실감한다. 이렇게 11년 간을 이끌고 온 그의 저력을. “형 도 닦아!”라고 말한 대목은 그래서 단지 농담만이 아니다. 물론 광희도 양세형도 모두 새내기에 가깝기 때문에 그토록 오랫동안 여러 추격전 속에서 갖가지 상황들을 경험한 베테랑 유재석에게는 비교될 수가 없는 일이다. 그러니 그는 모든 걸 설명해주고 새내기들은 그의 이야기를 경청한다.

 

MBC 사옥에 도착해 왕을 잡는 마지막 추격전을 벌일 때 이제 버려진 곽도원은 “<무한도전>을 이렇게 빡세게 만드는구나하고 의자에 누워버린다. 그리고 다른 동료 연기자들이 나타나자 무얼 아침부터 이렇게 힘들게 찍어대냐고 넋두리를 한다. 그들은 물론 재밌게 <무한도전>을 시청해 왔지만 그것이 이렇게 힘든 과정을 거쳐 나온다는 걸 직접 그 안에 들어와서야 실감했을 것이다.

 

이 날은 <무한도전>500회를 맞는 날이기도 했다. 500회 동안 그들은 아마도 연기신들이 추격전을 통해 느꼈던 그 노동의 강도로 쉬지 않고 달려왔을 것이다. 그리고 그런 노동의 진정성들은 우리에게 부지불식간에 방송을 통해 조금씩 느껴졌을 것이다. 연기신들조차 <무한도전>의 팬임을 자처하게 되는 건 그들마저 놀라게 만드는 제작진과 출연자들의 남다른 노력이 쌓여진 결과다. 이러니 팬이 될 수밖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