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
-
'태양의 후예', 위기에 빠진 지상파드라마의 대안 보여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2. 26. 08:57
, 바쁜 의사와 빡센 군인의 로맨스로 펄펄 “의사면 남친 없겠네요. 바빠서.” “군인이면 여친 없겠네요. 빡세서.” KBS 새 수목드라마 첫 방송은 김은숙 작가의 작품답게 거침이 없었다. 첫 회에 유시진(송중기)과 강모연(송혜교)이 만나고 가까워지는 과정이 물 흐르듯 빠르게 전개되었고 또한 서대영(진구)과 윤명주(김지원)의 계급이 다른 군인들 간의 관계는 향후 전개될 두 사람의 이야기에 궁금증을 자아내게 하기에 충분했다. 바쁜 의사와 빡센 군인의 로맨스. 사실 멜로드라마의 가장 큰 약점으로 지목됐던 것이 극성이 약하다는 점이라면 왜 가 이 같은 의사와 군인의 로맨스를 다뤘는가가 이해될 법도 한 부분이다. 사극을 빼놓고 보면 현대극에서 가장 극성이 강한 장르가 의학드라마와 전쟁드라마가 아닌가. 물론 최근에..
-
'연평해전', 맙소사 이토록 상업적인 영화라니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5. 7. 2. 09:45
관객, 스크린, 노이즈까지, 다 가진 에 없는 하나 영화 은 지독할 정도로 상업적인 영화다. 누군가 이 영화가 정치적이라고 말하지만 그건 일면일 뿐이다. 정치적인 것, 그 위에 상업적인 것이 뒤덮고 있다. 먼저 영화관 풍경이 그렇다. 평일 8시40분에 하는 조조영화를 보러간 필자는 그 시간에 영화관이 가득 메워져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이른 조조시간도, 그 공포라던 메르스의 여파도 뚫고 가득 메운 관객들. 그런데 그 관객들의 거의 대부분이 같은 제복을 입고 있다는 사실은 조금 낯설게도 다가왔다. 군부대에서 단체 관람을 온 것이다. 해군 6만 병력이 이 영화를 보기 위해 외부단체관람을 나섰다는 뉴스는 이 기획단계에서부터 철저히 상업적인 전략을 구사했다는 걸 말해준다. 이미 제작에서부터 육, 해, 공군이 모..
-
'진짜사나이', 역시 생활관과 일반병사가 해법옛글들/명랑TV 2013. 12. 27. 08:47
, 군대가 아닌 군인에 맞춰져야 하는 이유 ‘배달의 기수가 된 샘 해밍턴.’ 백골부대 GOP편에서 샘 해밍턴이 GOP 근무를 서는 병사들에게 따뜻한 꿀물을 ‘배달’하기 위해 살인적인 경사의 계단을 오르내리는 장면에 쓰인 ‘배달의 기수’라는 자막에는 이 프로그램이 가진 고충과 위트가 동시에 묻어난다. 항간에는 군 홍보 프로그램이 아니냐는 시선에 의해 라는 비아냥 섞인 말까지 나왔었다. 그 ‘배달의 기수’라는 의미를 샘 해밍턴이 꿀물 배달하는 장면으로 뒤틀어 위트 있는 웃음을 주었던 것. 여기에는 만의 고충이 들어가 있다. 어쨌든 군 부대가 소재가 될 수밖에 없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니 그 군대를 소개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예의가 될 것이다. 하지만 군 홍보에 대한 대중들의 관점은 민감하다. 남북 대치상황의 ..
-
군인이 뜨자 소방관, 경찰도 나오는 이유옛글들/명랑TV 2013. 10. 20. 09:00
특이한 한국형 리얼리티TV, 자리잡고 있나 의 영향일까. SBS는 를 정규 편성했고 KBS는 를 파일럿으로 방영할 예정이라고 한다. 가 군인을 소재로 했다면 는 소방관을, 는 경찰을 소재로 하고 있다. 항간에는 비슷한 콘셉트 베끼기가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기도 한다. 맞는 얘기다. 분명 관찰카메라를 내세운 가 포문을 연 것은 사실이니까. 하지만 이 군인이나 소방관(119 대원), 경찰 소재의 프로그램이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이미 군인을 소재로 한 예능은 89년 시작해 96년까지 방영되었던 가 있었고, 소방관을 소재로 한 프로그램도 같은 프로그램이 있었으며, 경찰 역시 같은 프로그램이 있었다. 즉 형식은 다르지만 소재는 이미 다뤄졌던 것. 최근 들어 소방관이나 경찰 소재의 예능 프로그램이 연예인이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