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리즘이 예능의 새 트렌드가 된 사연

“왜 이래? 아마추어같이.” 이 유행어만큼 작금의 예능 트렌드를 보여주는 게 있을까. ‘개그콘서트’의 종료된 코너 ‘많이 컸네 황회장’에서 황현희가 히트시켰던 이 유행어에는 “알 거 다 아는 사람들끼리 왜 이러냐”는 핀잔이 들어있다. 그런데 이 말이 웃음을 주는 것은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실상은 아마추어 같은 유치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황현희는 조직의 회장이지만 체신머리 없이 일개 실장과 사소한 말싸움을 하면서 이 말을 내뱉는다. 프로라면 보여주지 않을 속내가 살짝 드러났을 때 터져 나오는 웃음. 아마추어리즘은 이렇게 리얼리티 시대에 예능의 새 트렌드로 자리하고 있다.

‘너는 내 운명’에서 발연기 논란을 빚었던 박재정이 ‘상상플러스’의 MC로 자리한 사연은 이 드라마에서 비난받았던 아마추어리즘이 어떻게 예능 프로그램 속에서 빛을 발하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박재정이 보여준 어색한 연기는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그 자체로 리얼이 된다. ‘상상플러스’에서 그가 보여주는 특유의 ‘손발이 오그라드는’ 멘트는 프로정신으로 똘똘 뭉친 MC들이 보여주었던 틀에 박힌 모습을 순간적으로 깨버린다. 이처럼 리얼리티 시대에 연기되지 않는 리얼함은 어색함을 어떤 진면목으로 평가절상시키는 힘을 발휘하기도 한다.

박명수는 콩트 개그 시대에도 활동해온 개그맨이다. 즉 설정에 맞는 연기를 기본적으로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말이다. 실제로 라디오 DJ로서의 박명수는 겉으로 보기엔 어수룩한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들어보면 그것이 하나의 설정이며 진행자체는 꽤 매끄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방송에서도 마찬가지다. ‘무한도전’이나 ‘해피투게더’에 출연하는 박명수는 MC의 자질이 없는 사람처럼 행동한다. 멘트는 앞뒤가 맞지 않고, 단어 사용은 부적절하며, 발음 또한 어색하기 이를 데 없다.

하지만 그런 모습은 진행본능을 갖고 있는 유재석과 대비되면서 그 상황을 형식적인 것이 아닌 리얼한 것으로 전환시키기도 한다. 유재석은 박명수의 그런 면들을 잘 포착해 전체 분위기를 리얼하게 이끌어나간다. 이렇게 보면 박명수는 어색함을 캐릭터로 활용해 리얼함을 만들어낼 줄 아는 흔치 않은 개그맨으로 볼 수 있다. 아마추어처럼 하는 것이 오히려 그의 프로 정신을 드러낸다는 말이다.

‘무한도전’의 캐릭터들이 리얼하게 그려진 것은 그들이 거의 방송 부적합자들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웃기지 못하는 개그맨으로 불린 정형돈, 사고만 저지르는 바보 정준하, 정신을 쏙 빼놓는 돌+아이 노홍철 같은 캐릭터들은 그 방송에 적합하지 않은 어색함으로 오히려 리얼 버라이어티를 살렸다. 이것은 이후 봇물처럼 쏟아져 나온 리얼 버라이어티쇼들에서 이른바 뜬 캐릭터들의 면면을 보면 확연하게 드러난다.

‘1박2일’의 초딩 은지원, 버라이어티에서 다큐를 찍는다 핀잔 받는 김C가 그렇고, ‘패밀리가 떴다’에서 주목을 받았던 엉성 캐릭터 이천희가 그렇다. 이들 리얼 버라이어티쇼에서 유재석과 강호동이 확고한 메인 MC로서 자리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의 프로와 아마추어를 넘나드는(진행에 있어서는 프로이면서도 설정에 있어서는 아마추어처럼 행동하는) 능력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거꾸로 예능 프로그램이 점점 웃기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개그맨들보다는 그것이 비전문인 가수나 배우들을 더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들은 웃기려고 하기보다는 그저 그 다른 형식 속에서의 부적응을 통해 엉성함을 드러내는 것만으로 리얼한 웃음을 주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자 문제가 되는 것은 오히려 그들이 차츰 그 형식에 적응되는 그 상황이다. 리얼 버라이어티쇼가 하나의 트렌드로 제시하는 도전과제들이 점점 독해지고 상상하기 어려워지는 것은 그 적응상태를 깨기 위한 것이다.

리얼리티에 대한 프로그램의 이 같은 집착은 때론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PD까지 아마추어로 포장하게 만든다. ‘무한도전’에서 실패했던 미션, 좀비 특집이나 ‘1박2일’에서 기상악화로 가려던 제주도를 포기하고 보낸 영종도에서의 하루 같은 실패담은 과거라면 절대로 보여줄 수 없는 어떤 것이었을 것이다. 밤새워 새로 찍던가 아니면 방영을 포기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리얼리티 시대에 이 실패한 미션들은 가감 없이 방영되고, PD들은 자막으로 시청자에게 사죄를 하는 모습을 연출한다. 하지만 이 성의 없어 보이는 아마추어리즘을 표방한 영상들은 오히려 그 리얼리티를 보장함으로써 대중들에게 사랑 받는다.

리얼리티 시대, 예능 프로그램은 프로로서의 매끄러운 진행보다는 아마추어처럼 거칠지만 생생한 장면을 보여줄 수 있는 예능인들을 요구하고 있다. 일부러 어색하게 행동하고, 상황은 어색함을 드러낼 수 있게 조장되며, 연출은 그 어색함을 극대화해서 포착해낸다. 하지만 그들이 이렇게 아마추어같이 행동한다고 해서 진짜 아마추어일까. 지금은 가장 자연스럽게 아마추어같이 행동하는 이가 프로인 세상이다. 그런 면에서 농담처럼 던지는 “왜 이래? 아마추어같이.”라는 말은 이들에게는 핀잔이 아닌 칭찬인 셈이다.

‘남자의 자격’, 도전 버라이어티의 새 진화 보여줄까

주말 예능 프로그램을 장악해버린 이른바 버라이어티쇼들의 키워드를 나열해보면, 도전, 여행, 결혼(혹은 연애 감정) 정도가 되지 않을까. ‘무한도전’은 도전과 여행의 아이템을 리얼 버라이어티란 형식으로 처음 시도했던 프로그램이고, ‘1박2일’은 이것을 계승해 독자적인 여행 특화 버라이어티로 자리잡았다. ‘우리 결혼했어요’와 ‘골드미스가 간다’가 결혼이라는 아이템을 바탕에 깐 프로그램들이라면, ‘패밀리가 떴다’는 여행에 결혼은 아니지만 연애 감정을 접목했다.

새롭게 시작한 ‘남자의 자격’이 주목되는 것은 이 모든 아이템들이 적절하게 포진되어 있기 때문이다. 거기에는 남자들의 도전(매 번 달라지는 과제)이 있고, 함께 외지에서 보내는 하룻밤이 있으며, 결혼생활과 관련된(부부와 관련된 것들) 에피소드도 등장한다. 도전 과제는 소설가 이외수가 지정해주며, 촬영도 그의 사택에서 하룻밤을 지내며 이루어지는데, 첫 번째 도전은 ‘두 번 결혼하기(같은 부인과 다시 하는 결혼식)’였고 두 번째 도전은 ‘금연’이었다.

‘1박2일’의 여행이 날 것 그대로의 야생 체험인 무전여행을 닮았고 ‘패밀리가 떴다’가 가족 단합에 집중하는 MT를 닮았다면, ‘남자의 자격’은 수련회를 닮았다. 남자들은 이 합숙소에서 하룻밤을 지내며 ‘죽기 전에 해야할 101가지’ 도전을 통해 새로운 남자(?)로 거듭나야 한다. 거듭난다는 것은 어딘지 부실함이 있다는 의미. 출연자들은 저마다의 개성적인 약점(?)들을 갖고 있다. 작년부터 이빨 빠진 호랑이 취급을 받아온 이경규, 이혼의 경험이 아킬레스건인 김국진, 꽤 오랫동안 침묵하다 최근 예능으로 주목받는 김태원, 부실한 몸의 대명사 이윤석 등등이 그들이다.

하지만 이 도전에 있어서도 그 결은 ‘무한도전’의 그것과는 다르다. ‘무한도전’은 말 그대로 도전을 아이템화 한 것이기 때문에 그 도전 상황도 여러 가지로 나뉘어 있다. 출연진들의 특정직업에 대한 도전(예를 들면 런웨이 도전 같은)이 하나가 될 것이고, 말 그대로 실험 자체(대체에너지 같은)가 도전이 되기도 하며, 또 한 편으로는 PD의 형식실험 자체도 하나의 도전으로 볼 수 있다. 반면 ‘남자의 자격’의 도전은 ‘죽기 전에 해야할 101가지’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어떤 ‘인생의 도전’이라는 성격이 강하다. 삶의 멘토 같은 이외수가 도전과제를 제시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 프로그램에서 결혼이라는 아이템은 남자들끼리의 체험이라는 조금은 딱딱한 부분을 허무는 역할로 끼여든다. 첫 회에서 김태원 부부가 다시 하는 결혼식을 보여준 것은, 이 프로그램이 ‘남자의 자격’이란 타이틀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자격이 필요한 이유 중 하나로서 여성(아내)을 상정하고 있다는 걸 말해주는 대목이다. ‘금연’도전에는 언뜻 보였지만 이윤석의 아내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남자의 자격’이 이 모든 아이템을 하나로 묶을 수 있었던 것은 한 마디로 이 프로그램이 ‘중년의 도전’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두 번 결혼하기’는 중년에 부부의 사랑을 다시 확인하는 작업이고, ‘금연’은 중년에 즈음해 건강을 다시 생각하는 작업이다. 어느 정도 나이가 든 출연진들이 그 나이에 의미 있는 도전을 해나가는 버라이어티가 이제 가능해진 것은 그만큼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중년 시청층의 지지가 점점 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남자의 자격’이 비슷한 아이템을 가지고도 ‘무한도전’과도 ‘1박2일’과도 또 ‘패밀리가 떴다’와도 차별화 되는 건 바로 이 다른 연령대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년의 도전에는 한참을 웃다가도 무언가 뒤통수를 잡아채며 가슴을 찡하게 만드는 특별함이 있다.

‘무한도전’, 패러디의 역사를 쓰다

“아버님은 일본 분이시잖아요?” ‘무한도전’에서 정형돈이 정준하에게 여자친구의 아버님에 대해 이렇게 물었을 때, 인터뷰 모양새로 이것저것 물어보던 분위기는 싸해졌다. 그 아버님은 돌아가셨기 때문이다. 그 때 마침 이런 자막이 나와 상황을 정리한다. ‘형돈의 말 한마디에 분위기 올킬.’ 만일 이 자막에 웃음을 터뜨린 분들이라면 아마도 여기 등장한 ‘올킬’이라는 단어에서  저 ‘야심만만2’에서 새롭게 시도하다 사라진 올킬 시스템을 떠올렸을 것이다. ‘무한도전’은 이처럼 이제 타 방송사의 프로그램이든, 이미 사라져버린 포맷 형식이든 상관없이 거의 무제한적으로 패러디의 소재로 받아들인다.

박명수가 ‘거성쇼’의 오프닝을 보여줄 때, 유재석이 “형 이건 자니 윤 선생님이 하던 거 아냐?”하고 물어본 것처럼, ‘거성쇼’는 이미 오래 전에 사라져버린 트렌드인 자니 윤쇼를 패러디한다. “뉴칼레도니아 센시티브 모이스처라이징 딥클린 수딩 페이셜 포밍 클린징 이태리 타월.” 이렇게 숨가쁘게 긴 이름을 쏟아낸 미스 무한도전 진 정준하는 “제가 뭐 그렇게 빼어나게 예쁜 얼굴이 아니잖아요”라고 말하며 모 화장품 광고를 패러디한다. 이어지는 광고(패러디)에서도 정준하는 ‘어휴젠 편집의 여신’이라는 제목으로 ‘팡팡 터져라 애드립의 여신’을 연발하며 김연아가 나왔던 광고를 패러디한다.

소녀시대를 게스트로 초대해 박명수가 진행하는 것은 다름아닌 ‘불후의 명곡’을 패러디한 ‘불혹의 명곡 베스트5’다. ‘거성쇼’에 이어서 소녀시대와 함께 한 여성의 날 특집 편에서도 패러디는 진행형이다. 여성의 날의 의미를 설명하는 유재석의 동작을 소녀시대가 따라하자 어김없이 ‘지금은 유반장 시대’라는 자막이 붙는다. 이것은 다름 아닌 소녀시대를 패러디한 것이다. 거리 인터뷰에서도 유재석은 특유의 재치로 “달려가는 여성시대-”의 노래를 불러 동명의 라디오 코너와 그것을 패러디한 박지선의 개그를 패러디하고, 노홍철이 소녀시대를 카페로 데리고 가 수작을 걸려하자, ‘너 지금 연애편지 찍니?’하는 자막이 붙는다.

‘무한도전’의 패러디 활용은 단지 그 회에 한정되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다. ‘무한도전’이 지금껏 걸어온 길을 찬찬히 살펴보면 그 역사가 패러디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최근에 했던 ‘애너gee - 중년시대’는 소녀시대 ‘gee’의 패러디였고, ‘쪽대본 드라마 특집’은 ‘꽃보다 남자’, ‘아내의 유혹’같은 작금에 화제가 되고 있는 드라마들이 패러디 대상이 되었다. 물론 그 전에 했던 봅슬레이 특집 역시 넓게 보면 영화 ‘쿨러닝’의 패러디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 패러디의 대상은 시사 프로그램에서부터 각종 영화들, 시상식, 예능 프로그램까지 거침이 없었다.

‘무한도전’이 이처럼 패러디를 그 웃음의 전략에 있어 중심에 세워둔 이유는 무엇일까. 이것은 ‘무한도전’이 주창하는 대한민국 평균 이하의 캐릭터와 패러디 문화의 상관성에서 비롯된다. 패러디는 약자의 전략이다. 강자인 원본이 가진 힘을 약자의 위치에서 살짝 비틀어 재해석함으로써 원본을 넘어서려는 전략인 것이다. 따라서 ‘무한도전’의 평균 이하 캐릭터는 이 약자로서의 전략을 취함으로써 쉽게 대중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무한도전’의 패러디에 대한 대중들의 열광은, 최근 들어 폭발적인 양상을 띄고 있는 패러디 문화와도 맞닿는 부분이다. 패러디는 이제 특정 전문가들이 하는 작업이 아니라 생활 속으로 들어온 일상 같은 것이 되었다. 누구나 쉽게 디지털 영상을 구할 수 있고 그것을 손쉽게 컴퓨터로 편집해서 새로운 영상을 만들 수 있으며, 또 그것을 누구나 배포할 수 있는 지금 패러디는 문서 작업만큼이나 익숙한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무한도전’이 보여주는 패러디는 바로 그 변화된 양상의 적극적인 수용일 수도 있고, 혹은 주도적인 제안일 수도 있다. 이어지는 ‘무한도전’의 ‘그 때를 아십니까 - 육남매’편 역시 MBC 드라마 ‘육남매’의 패러디로 보여진다. ‘무한도전’의 패러디 무한도전은 앞으로도 계속된다.

‘무한도전’ 그 패러디의 역사

31부. 무한소년체전 특집 : 소년체전
34부. 연말특집 무한도전 어워드 : 연말 시상식
42부. 무한도전 100분 토론 : 100분 토론
44부-47부. 무한도전 드라마 특집 : 드라마
54부. 무한 미스 코리아 선발대회 : 미스 코리아
62부. 강변북로 가요제 본선 : 강변 가요제
64부. 개그 실미도 : 영화 ‘실미도’
66부. 워터보이즈 특집 : 영화 ‘워터 보이즈’
75부. 환장의 짝꿍 : 환상의 짝꿍
77부. 준하인스워드 특집 : 하인스 워드
80부-82부. 댄스스포츠 특집 : 영화 ‘쉘 위 댄스’
102,103부. 경주 보물찾기 특집 : 리얼 타임 액션 스릴러
105부. 어린이날 기념 무한 창작 동요제 : 창작 동요제
107부. 기네스 기록도전 특집 : 기네스
108부. 무한도전 가족의 탄생 : 영화 ‘가족의 탄생’
110,111부. 돈가방을 갖고 튀어라 : 영화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112,113부. 우리 미팅했어요 : 우리 결혼했어요
115부. 태리비안의 해적 :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
116부. 좀비 특집 : 영화 ‘28일 후’
120부. 다찌지리와 리 : 영화 ‘다찌마와리’
121부. 추석과 전쟁. 며느리가 뿔났다 : ‘엄마가 뿔났다’
127부. on air - 매니저가 돼봐라 : ‘온에어’
138부. 무한도전 봅슬레이에 도전하다 : 영화 ‘쿨러닝’
141부. 쪽대본 드라마 특집 : ‘꽃보다 남자’, ‘아내의 유혹’ 등


‘1박2일’, ‘리얼’을 ‘실패’가 입증하다

누구나 소풍 전 날, “내일은 꼭 비가 오지 않게 해주세요”하고 빌었던 기억이 하나쯤은 있을 것이다. 여행은 날씨에 민감하다. 또 변수도 많다. 갑작스런 폭설로 발이 묶이기도 하고, 우연한 사고(?)에 일정이 모두 바뀌기도 한다. 길에서 만난 사람과 생각지도 않은 경험을 하기도 하고, 그 경험을 통해 뜻밖의 재미를 얻기도 한다. 그것이 진짜 여행의 참 맛이다.

그래서일 것이다. 여행은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훌륭한 소재가 되었다. 특별한 설정 없이도 그 낯선 장소로 떠나는 이들에게는 어떤 일이든 벌이지게 마련이다. 그걸 촘촘히 발견해내고 때론 캐릭터가 그 발견된 상황을 강화하면서 리얼 버라이어티쇼는 자연스럽게 그 리얼이 주는 재미를 선사할 수 있다.

야생 버라이어티를 표방하는 ‘1박2일’이 빛을 발하는 것은 야생과 캐릭터들이 자연스럽게 엮일 때다. 박찬호와 강호동이 대결하듯 한겨울 계곡 물에 들어가는 장면은 인물들 간에 형성된 미묘한 신경전과 함께, 마침 그 장소, 그 시간에 존재하는 얼음장같은 계곡물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물론 여기에도 인위적인 부분이 존재한다. 본질적으로 ‘1박2일’은 버라이어티쇼라는 의식은 어떤 식으로든 웃음의 포인트를 현장에서 찾아내야 한다는 강박관념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강호동은 출연진들을 때론 윽박지르고 때론 다독이면서 지나치는 연못에 뛰어들게 만들어, 그 연못을 승기 연못으로 만들어버린다.

제주도로 가기로 되어있던 상황에서 비행기 결항으로 계획이 무산되어 대신 가게된 을왕리 해수욕장에서 그들은 웃음을 주기 위해 바닷물에 뒹구는 몸 개그를 위한(?) 게임을 해야한다. 하지만 이 정도의 인위적인 부분은 그것이 여행 속에 벌어지는 일이라는 점에서 수긍하게 된다. 여행이라는 일탈 속에서는 평소에 하지 않던 행동도 하게 마련이다.

그러나 이제 거의 모든 프로그램들이 리얼을 표방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이러한 리얼의 요소들은 묻혀져 버렸다. ‘무한도전’의 끝없는 도전은 이제 굳이 리얼이라고 붙이거나 붙이지 않거나 상관없는 일이 되어버렸다. 그것은 ‘무한도전’이기 때문에 주목되는 것이지, 이제 더 이상 리얼 버라이어티이기 때문에 주목되는 것은 아니다.

과거 ‘무한도전’에서 시도했던 좀비 특집, ‘28년 후’는 그 실패를 통해 오히려 ‘무한도전’의 리얼 상황을 드러내주었다. 김태호 PD는 실패에 대해 연거푸 사과하며 시말서를 쓰고 있다는 얘기를 했지만, 바로 그 상황이 ‘무한도전’이 가진 실험정신과 리얼리티를 상기시켜 주었던 것.

이것은 ‘1박2일’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제주도에 촬영팀들을 전부 보내고, 자신들은 영종도에 발이 묶여 을왕리로 발길을 돌릴 때, 이 애초의 목적 실패는 이 프로그램이 진짜 리얼이라는 것을 거꾸로 드러내주었다. 이제 모두가 리얼이라 주장하는 시대에, 오히려 리얼이 드러나는 대목은 버라이어티쇼가 어떤 목적의 실패를 했을 때가 되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