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든 빨리 잊어버리는 세태 꼬집은 닭치고

 

아 반갑다. 넌 누구니? 난 니 동생이라고 해. 넌 누구니? 난 니 형이라고 해. 반갑다. 친하게 지내자.” 쌍둥이 닭이 나누는 이 만담만을 떼고 보면 <개그콘서트>에서 새롭게 시작한 닭치고라는 코너가 그저 언어유희 개그이거나, 아니면 바보 캐릭터들이 나오는 개그처럼 느껴질 수 있다. 심지어 방금 인사한 선생님에게도 넌 누구니?”라고 묻고 선생님도 난 니 담임이라고 해라고 말할 정도니 바보들도 이런 바보들이 없다.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닭을 캐릭터화 하고 반복되는 닭치고!”라는 말이나, 잠깐 등장해 자신의 이름이 꽉끼오라며 엉덩이에 낀 바지를 보여주는 김준호, 또 누가 아프다고 하자 벌써 달려와 대충 약과 물을 얼굴에 마구 끼얹는 양호선생님 후다닥같은 캐릭터들은 실제로 이 개그가 꺾기도같은 류의 언어유희 개그처럼 보이게 만든다.

 

하지만 이 학교가 뭐든 잘 잊는 상징으로서 닭들을 캐릭터로 내세우고 있는 점이나, 자신이 얘기해 놓고는 단 몇 초도 지나지 않아 까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교실 위쪽에 적혀진 교훈, ‘지난 일은 잊자는 문구는 이 코너를 예사롭지 않게 바라보게 만든다. 이 뭐든 까먹는이야기는 그 자체로는 유치한 바보 개그처럼 보이게 만들지만,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면 고품격 정치풍자처럼 여겨지게 만드는 면이 있다.

 

선거 때만 되면 뭐든 이뤄줄 것처럼 줄줄이 내세우는 공약들이 단 몇 개월만 지나도 흐지부지 사라져버리는 걸 목도해온 대중들에게 닭치고는 그래서 정치인들의 희화화처럼 읽혀질 수 있다. 국민과의 약속을 당선된 후에는 헌신짝 취급하듯 버리는 행태는 이제 정치인의 캐릭터처럼 굳어져버린 상황이 아닌가.

 

이명박 정권이 그토록 강조했던 경제를 살린다는 말이 그랬고, 박근혜 정권이 내세웠던 창조경제민생이 그렇다. 그 어디에서도 살만하다는 얘기는 나오지 않고 경제가 살아나고 있다는 얘기는 들려오지 않는다. 민생? 없는 자들은 더 힘겨운 현실을 토로하는 세상이 되었다. 이러니 닭치고같은 개그가 고품격 정치 풍자로 보일 수밖에.

 

게다가 세월호 참사를 떠올려 보면 지난 일은 잊자닭치고양념 반 프라이드 반의 교훈이 아프게도 다가온다. 그 아픔을 어떻게 잊을 수 있겠는가. 아직도 부모들의 품에 돌아오지 못한 아이들이 있는데. 미래와 꿈을 얘기하자며 지난 일은 왜 자꾸 들춰 내냐는 식의 논리들이 정치든 경제든 어느 곳에서나 꺼내지는 건 통탄할 일이다. 그 아픈 지난 일은 결코 잊을 수도 또 잊어서도 안 되는 일이다.

 

지방선거 치르고, 월드컵 끝나고 하면 또 다 잊혀질 거라고들 말한다. 삶이 어려우니 현실이 어려우니 그렇게 살면서 실제로 잊혀져 가기도 한다. 하지만 사람이 닭과 다른 것은 기억의 힘이 있어 잘못된 과거를 되풀이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닭치고의 닭들이 했던 말을 끝없이 반복하며 마치 바보들처럼 무감하게 웃는 모습은 그래서 뭐든 빨리 잊어버리는 세태를 아프게도 꼬집는다.

 

물론 닭치고는 그 어디에도 정치 풍자라는 말을 직접적으로 던지지 않는다. 그것은 그저 바보 같은 닭들의 언어유희만을 반복하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때로는 개그의 완성은 관객의 참여에 의해 이뤄지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닭치고를 고품격 정치 풍자로 만드는 것은 오롯이 관객들의 몫이 될 것이다. 그저 닭들의 언어유희를 즐겨도 무관하지만, 현실을 빗대 바라보면 더더욱 재미있는.

<그것이 알고 싶다>, 원전비리가 말해주는 끔찍함

 

SBS <그것이 알고 싶다>는 원전 비리 뒤에 숨겨진 잔혹한 진실을 끄집어냈다. 흔히들 원자력 발전소라고 하면 홍보 영상을 통해 노출되고 있는 것처럼 마치 안전의 대명사처럼 여기는 면이 있다. 하지만 그건 사실일까. 어쩌면 실제 현실은 다르고 다만 그렇게 안전해야만 된다고 믿고 싶은 건 아닐까.

 

'그것이 알고 싶다(사진출처:SBS)'

일본 후쿠시마에서 쓰나미에 의해 촉발된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눈앞에서 보면서도 우리는 그것이 다른 나라의 일이라고만 치부했던 건 아닐까. 원자력 발전소의 위험성이 아니라 쓰나미가 불러온 불운의 결과물처럼 여긴 데는 그 사안이 너무나 끔찍하기 때문에 우리의 일이라고는 도무지 믿고 싶지 않은 심리도 있었을 게다.

 

하지만 <그것이 알고 싶다>가 보여준 우리네 원전의 문제는 실로 충격적이었다. 국내 소비전력의 3분의 1을 책임지는 원자력 발전소지만 만일 사고가 난다면 그 후폭풍은 상상을 초월한다는 걸 우리는 이미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통해 목도한 적이 있다. <그것이 알고 싶다>가 취재한 한 인물의 2의 세월호가 원자력 발전소가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는 이것이 남일 아닌 우리의 일이라는 걸 새삼 실감하게 만들었다.

 

오래된 원전 부품을 신품으로 교체하는 건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일 것이다. 하지만 취재에 응한 부품 납품업체 직원의 증언에 의하면 구품을 새 부품처럼 둔갑시켜 재납품하는 비리가 벌어지고 있다고 했다. 기계팀장이 업체와 짜고 부품 교체를 하지도 않고 한 것처럼 보고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적어도 20억에서 30억의 돈이 오간다고 한다. 71년에 기공되어 30년 연한이 끝나 10년을 다시 연장하는 고리 1호는 그래서 지금 심각한 상태라는 것.

 

전문가들은 원자력 발전소에 적어도 500만 개의 부품이 있는데 이 부품 모두가 정상적으로 돌아야 비상사태가 벌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데 이런 부품 납품 비리가 자행되고 있다는 건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원진비리 중간 수사결과를 보면 이 사건으로 한수원과 한국전력기술 전 현직 직원들과 납품업체 직원들이 줄줄이 구속되고 있다고 한다. 그만큼 비리가 깊다는 것이다.

 

원전 부품을 납품하는 거래에 있어서도 아예 사양서를 납품업체가 만드는 일이 벌어지기도 하고, 납품업체 선정 수주 과정에서도 업체들 간의 담합이 공공연히 벌어지기도 한다고 한다. 즉 원전 비리가 고리 1호에만 한정된 이야기가 아니라 다른 원자력 발전소에서도 벌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원자력 발전소는 연료봉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 공급이 필수적이다. 만일 전기가 끊겨 냉각수 공급이 안 된다면 연료봉의 온도가 몇 천도까지 올라가 결국은 폭발하는 최악의 사태를 맞을 수 있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바로 그 사례를 그대로 보여주었다. 그런데 이런 일이 고리 1호 원전에서도 벌어졌다는 것. 작업자 실수로 전원이 전부 끊긴 상황에서 작동했어야 할 비상 디젤발전기가 작동하지 않아 12분 간 정전되는 상황을 맞이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수소폭발 전 단계까지 간 실로 절체정명의 위기상황이다.

 

하지만 한수원측은 이 중대한 사고를 은폐 축소하려 했다고 한다. <그것이 알고 싶다> 취재팀의 질문에 한수원측은 “12분 만에 전원을 복구했기 때문에 영향은 미미했고 또 직원들의 대처로 잘 수습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과연 그럴까. 그런데 왜 굳이 일지까지 조작하려 했던 것일까. 이미 한수원측의 안전 불감증은 그 수위를 넘고 있다고 전 한수원 직원은 증언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 역시 충분히 막을 수 있는 기회들이 있었지만 그것을 무시함으로써 이렇게 큰 사고로 이어졌다고 한다. 일본 전 총리는 이 피해 규모가 전쟁에 준한다고까지 말하고 있다. 해일이 문제가 아니라 결국은 사람이 문제인 것이다. 안전에 대한 과신이나, 문제가 있는 것을 알면서도 쉬쉬하는 문화는 그 결과가 너무나 참혹하다는 점에서 결코 그냥 지나칠 문제가 아니다.

JTBC <뉴스9>, 학부모 인터뷰가 말해주는 것

 

방송에서 보여지는 것이 다가 아니다.” JTBC <뉴스9>에서 진행한 세월호 침몰 사고로 실종된 단원고 2학년 학생의 학부모 김중열씨의 목소리는 격앙되어 있었다. 애써 분을 삭이는 모습이 역력했지만 실종된 자식을 둔 애끓는 부모의 마음과 동시에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구조에 대한 분노를 감출 수는 없었다.

 

'뉴스9(사진출처:JTBC)'

일단 정리가 안 되고 지휘체계도 없다. 뭔가 하고자 하는 의욕조차 없는 것 같다. 단순히 시간만 보내려고 하는 느낌만 받고 있다.” 김중열씨의 말은 아마도 지금 흘러가는 시간을 보고 있는 것이 피말리는 고통일 실종자 가족들의 심정 그대로일 것이다. 그들은 정부의 말이나 조치를 믿지 못하고 있었다.

 

군경잠수부보다 오히려 민간잠수부를 더 신뢰했다. 그는 군경잠수부가 15분 작업에서 실상은 5분 정도밖에 작업을 하지 않는다고 했고 지금껏 그들이 한 것이라고는 방 2개 수색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성과는 대부분 민간 잠수부가 했다여기는 방송과는 다른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오후 830분쯤 가장 공영적이어야 하는 방송에서 조명탄이 터지는 모습을 방송했는데 그 모습이 다가 아니다.” 그의 증언에 따라면 조명탄이 터지고 있다고 구조를 하는 건 아니라는 점이다. 그는 너무 답답해 십시일반 돈을 모아서 학부모들이 배를 빌려 현장 바다까지 나가봤다고 했다. 하지만 방송과 달리 구조활동을 하는 배는 한 척도 없었다는 것. 배가 가까이 다가갈 때까지 제지하는 배도 없었고 그저 조명탄 터트리기에만 바빴다고 한다.

 

그러니 민간인 구조팀을 더 신뢰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 그날 밤에도 민간인 구조팀 두 팀이 기다리고 있었는데 조명탄을 터트려주지 못해 작업을 못했다고 했다. 심지어 조명탄을 주문하면 허가받는데 20, 터트리는데 40분이 걸리는 그런 상황이라는 건 실종자 가족들에게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일 게다. 정부의 구조작업이 전혀 적극적이라 여겨지지 않으니 민간인 구조팀에 더 매달릴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심지어 정부는 집계 발표하는 것조차 오락가락하는 상황이다. 실종자 수 집계를 몇 차례나 번복함으로써 혼선을 불러왔고, 처음에는 심지어 전원 구조되었다는 식의 거짓 발표까지 나오기도 했다. 김중열씨도 그 날 낮에 팽묵항의 최고 책임자가 공식 발표한 생존자 명단에 자신의 아이 이름도 있었다며 어떻게 들어가 보지도 않고 생존했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건지 이해가 안 간다고 말하기도 했다. 구조는커녕 집계 발표조차 엉터리라는 것이다.

 

문제는 재난방송을 방송사들마다 앞 다퉈 하고는 있지만 김중열씨의 말대로 그것이 지금 현재의 진짜 상황을 보여주는 건 아니라는 점이다. 사고의 원인과 대책을 분석하고는 있지만 실제 구조 작업의 실상은 재난방송들이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 이렇게 되면 자칫 재난방송이 재난의 실제 상황을 덮어버리는 아이러니가 발생할 수 있다. 무언가 하고 있는 것처럼 방송만 떠들썩하고 실상은 다르다면 그건 실종자 가족들에게 얼마나 허탈한 일이겠는가.

 

재난방송은 거의 비슷한 장면들을 거의 무한 반복하며 틀어주고 대신 그 위에 멘트만 달리해 달아놓는 상황이다. JTBC가 시도한 것처럼 실종자 가족의 목소리를 직접 담아보려 노력하는 모습도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러니 공영방송을 신뢰하기가 어렵게 된다. JTBC <뉴스9>의 학부모 인터뷰는 현장의 실체를 드러내주면서 동시에 우리네 재난방송이 가진 부실함을 보여주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