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혜교
-
역사를 예능으로 배웠어, 누굴 탓하랴!옛글들/명랑TV 2016. 5. 17. 09:44
송혜교에 대한 찬사와 설현 지민에 대한 비난 사이 사실 눈물이 났다. 근로정신대 양금덕 할머니가 미쓰비시자동차 광고 제의를 거절한 송혜교에게 쓴 감사의 편지의 한 구절. “우리나라 대통령도 못한 훌륭한 일을 송 선생님이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눈물이 나고 가슴에 박힌 큰 대못이 다 빠져나간 듯이 기뻤다. 날개가 달렸으면 훨훨 날아갈 것 같았다.” 얼마나 할머니의 힘겨운 삶에 관심을 주고 또 그 고통의 역사를 함께 인식해주며 행동하는 사람이 없었으면 이토록 절절한 감사의 마음을 표할까. 하지만 정 반대의 일로 눈물을 쏟는 이들도 있다. 걸 그룹 AOA의 설현과 지민이 그들이다. 그녀들은 케이블채널 온스타일 에서 안중근 의사의 사진을 보고 맞추는 퀴즈에서 ‘긴또깡’이라고 답해 대중들의 뭇매를 맞고 있다. ..
-
'국수의 신', 이렇게 센데 시청률은 왜?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4. 29. 08:35
이 가진 가능성과 약점 KBS 새 수목드라마 첫 회 시청률은 7.6%(닐슨 코리아)로 동시간대 드라마들 중 2위에 머물렀다. 1위는 8.7%를 기록한 MBC . 원작이 워낙 유명했던 작품이라 기대했던 것보다는 적은 수치지만 그렇다고 낙담할 수준은 아니다. 이 9.4%에서 8.7%로 추락한 걸 염두에 둔다면 의 시청률은 아직 드라마가 본격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온 결과라고 볼 수 있고 반등의 기회도 충분할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에 대한 기대감이 생기는 이유는 연출이 탄탄하다는 점이다. 첫 회부터 김길도(바로, 조재현)라는 희대의 악역이 탄생하는 과정은 사실 연출이 허술했다면 자칫 ‘막장드라마’처럼 보일 위험성도 있었다. 하지만 은 그 짧은 한 회 속에 김길도라는 괴물의 탄생을 임팩트 있게 보..
-
이제 PPL 계약하면 그 회사 모델이 되는 건가옛글들/네모난 세상 2016. 4. 29. 08:33
왜 유독 J사만 PPL을 매장으로 가져갔을까 PPL이란 상식적으로 드라마나 영화 속에 등장하는 특정 제품이 노출되는 것을 말한다. 이건 아마도 대부분의 시청자들이 다 알고 있는 상식일 것이다. 그래서 PPL이 드라마 등에 과도하게 들어가면 시청자들은 불편함을 느낀다. 작품에 대한 몰입 자체를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라마 제작사가 PPL을 쓰는 이유는 우리네 제작 환경이 여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여튼 PPL의 의미가 작품 속에 노출되는 상품을 뜻한다는 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만일 그 작품에 노출된 PPL 장면을 가져다 자기 매장에 걸어놓고 활용한다면 그건 PPL일까? 그걸 보면서 만일 이것이 PPL이라고 생각하는 이가 있다면 그건 이상한 일일 것이다. P..
-
'태양의 후예', 이토록 어려운 판타지를 어떻게 해낸 걸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4. 16. 09:01
의 비현실적 판타지, 그 어려운 걸 해낸 원동력은 “그 어려운 걸 자꾸 해내지 말입니다.” 사지에서 돌아온 유시진(송중기)의 대사처럼 KBS 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많은 드라마적 난점들을 신기하게도 봉합시켜나가는 일들을 해냈다. 죽을 위기를 그토록 겪으면서도 죽지 않는 인물들이나, 우르크라는 가상의 분쟁지구에서 벌어졌던 전투상황과 재난, 사고, 전염병까지 꼬리를 물고 이어지던 과한 설정들. 종영한 후 찬찬히 생각해보면 이 드라마가 가진 현실성이나 개연성이 상당히 부족했다는 걸 실감하게 된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그런 부족함들이 드러날 때마다 마치 마법처럼 그걸 덮어버리는 보이지 않는 힘들이 등장했다. 사지에서 1년 만에 포로로 있다 탈출해 나온 유시진(송중기)을 본 강모연(송혜교)은 “말도 안돼”라고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