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국
-
고구마 시국 정조준 '낭만닥터', 이런 사이다가 없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12. 15. 08:21
, 어째서 모든 게 현 시국으로 읽힐까 SBS 수목드라마 는 지금 벌어지고 있는 탄핵 정국을 미리 읽었던 걸까. 마치 현 시국을 예견이라도 했던 것처럼 의 이야기들은 그 하나하나가 예사롭지 않은 느낌으로 다가온다. 드라마가 아무리 빨리 기획되고 제작된다고 해도 최소 1년 정도의 시간은 필요하다는 점을 떠올려보면 이 작품이 읽어낸 우리 사회의 치부들이 놀라울 정도다. ‘병사’냐 ‘외인사’냐를 두고 진실을 밝힐 것인가 아니면 눈 한 번 감는 것으로 출세를 지향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강동주(유연석)의 이야기는 지금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고 백남기 농민 사망사건에 ‘병사’로 기록된 사망진단서 문제를 떠올리게 한다. 물론 가 이런 일을 예상했을 리 없다. 하지만 인터넷 창에 ‘외인사’를 치면 이제 ‘백남기’라는 ..
-
간만에 풍자 담은 'SNL코리아' 그래도 비난받는 까닭옛글들/명랑TV 2016. 12. 12. 10:23
, 진정성은 꾸준함에서 생겨나는 법 tvN 는 간만에 시국을 담은 풍자를 내놨다. ‘예능청문회’는 타이틀 그대로 최근 벌어지고 있는 청문회를 패러디했다. 물론 청문회에서도 날카로운 질문을 던진 김경진 의원 같은 인물도 있었지만 이완영 의원처럼 수준 이하의 질문으로 청문회를 ‘맹탕’이라 질타받게 만든 인물들도 많았다. ‘예능청문회’는 그런 점들을 예능식으로 끄집어내 풍자했다. 안민석 의원이 최순실의 조카 장시호에게 “제가 미우시겠어요?”라고 질문했던 장면도 고스란히 패러디됐다. 이번 가 보여준 시국 풍자에서 주목받을 만한 코너는 ‘겨울왕국’이었다. 애니메이션 의 이야기를 그대로 가져와 여왕이 되는 엘사를 박근혜 대통령에 그리고 그녀의 연설문 쓰는 걸 도와주는 동생 안나를 최순실로 그려냈다. 세상과의 소통을..
-
'불야성' 이요원, 왜 이번 얼음공주는 몰입이 안될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12. 8. 09:07
, 이 시국에 가진 자들의 복마전이 눈에 들어올까 갈수록 뚝뚝 떨어진다. MBC 월화드라마 의 시청률 이야기다. 첫 회 6.6%를 기록했지만 계속 조금씩 떨어져 5회에는 4.7%까지 떨어졌다. 물론 동시간대 방영되고 있는 SBS 가 20% 시청률을 넘기며 승승장구하고 있는 탓이 크다. 하지만 단지 그것뿐일까. 의 내적인 요인이 있는 건 아닐까. 의 여주인공은 이요원이다. 물론 유이가 연기하는 세진이라는 인물이 전면에 나서서 이요원의 캐릭터 서이경의 페르소나 역할을 하고는 있지만 그래도 드라마의 키를 쥐고 있는 건 다름 아닌 이요원이다. 이요원은 나 등을 통해 다양한 캐릭터들을 연기해왔지만 최근 들어서는 일관되게 ‘얼음공주’ 이미지를 가진 캐릭터들을 연기했다. 무표정하고 차갑지만 정글 같은 일터에서 시원시..
-
되살아난 '개콘' 풍자, 반갑긴 한데 왜 짠할까옛글들/명랑TV 2016. 12. 6. 08:51
풍자의 부활에서 느껴지는 개그맨들의 고충 ‘민상토론2’에 이어 새롭게 선보인 의 ‘대통형’은 더 직접적으로 현 시국에 대한 풍자를 담았다. ‘민상토론’의 콘셉트는 시사나 정치에 대해 할 말은 있지만 ‘해서는 안 될 것 같은’ 상황을 통해 웃음을 주는 것이었다. 그러니 시사 풍자는 직접적이기보다는 애써 빙 둘러가는 형태로 이뤄졌다. “나는 그런 말 한 적 없어”라고 변명하면서 풍자하는 방식이었던 것. 반면 ‘대통형’은 대놓고 서태훈이 대통령 캐릭터로 등장하고 유민상이 국무총리, 이현정이 기획재정부 장관, 이창호가 교육부 장관, 김대성이 문체부 장관, 홍현호가 고용노동부 장관으로 출연한다. 국정 운영의 파행에 대한 직접적인 풍자를 담는다는 점에서 ‘민상토론’의 간접적인 방식과는 사뭇 다르다. 깨톡으로 회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