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의 유혹
-
‘아내의 유혹’그녀들, 월경전증후군 있나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4. 10. 12:18
짜증, 급격한 기분 변화, 걱정, 긴장, 슬픔, 우울감, 절망, 자괴감, 죄책감, 격정, 흥분, 민감함, 갈등, 무력감, 집중력 저하... 월경전증후군의 많은 증상들을 읽어나가면서 문득 떠오른 드라마가 있다. 바로 하루가 멀다하고 막장이네, 끝장이네 하며 구설수가 끊이지 않는 드라마, ‘아내의 유혹’이다. 왜 난데없이 월경전증후군이고 또 거기에 ‘아내의 유혹’인가를 묻는다면 딱히 할 말은 없다. 다만 그것들이 꽤 닮아있고 그 닮은 구석에는 모종의 사회적 분위기가 일조하고 있다는 의심 때문이라고 해두자. 남자 입장이라서 생리가 주는 일상의 고통을 정확히 가늠할 수는 없다. 하지만 매달 치러야 한다는 그 수고스러움을 미루어 짐작할 수는 있다. 그런데 월경전증후군은 바로 그 매달 치러야 하는 수고스러움을 고통..
-
집 나가면 개고생? 이 광고가 불편한 이유옛글들/네모난 세상 2009. 4. 3. 23:40
도전과 체험까지 개고생으로 만드는 상술 “집 나가면 개고생이다.” 이런 자막과 멘트가 흘러나왔을 때 누구나 한 번쯤은 자신의 눈과 귀를 의심해봤을 것이다. ‘개고생’이라는 말이 주는 특유의 어감 때문이다(물론 이 단어는 표준어다. 하지만 어감은 여전히 비하하는 의미가 들어있다). 이 불쾌한 단어는 듣는 이들로 하여금 마치 자신이 욕이라도 들은 것 같은 감정을 갖게 한다. 티저광고로서 아무런 설명이 없기 때문에, 이 단어는 ‘집 나가면 개고생이다’라는 맥락 속에 들어가면 엉뚱하게도 마치 모든 샐러리맨들에게 하는 말처럼 들린다. 순간 샐러리맨들은 개고생하러 집 나가는 사람이 되어버린다. 바탕에 깔리는 ‘아내의 유혹’의 한 장면. 은재(장서희)의 치밀한 복수로 거리로 내몰린 정교빈(변우민)이 쓰레기통에 숨어 ..
-
‘아내의 유혹’, 그 막장의 본색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4. 3. 09:39
저녁 시간 그저 무심코 채널을 돌리다 ‘아내의 유혹’의 낚시질 영상에 걸려든 적이 있다. 그 장면에서 누군가는 소리를 지르고 있었고, 그 누군가의 눈빛은 정상인의 것이 아니었다. 매번 챙겨보는 드라마가 아닌지라(이걸 왜 챙겨봐야 하는 지도 모르겠지만), 그 상황의 내용은 알 수 없다. 하지만 내용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 중요한 것은 그 상황의 풍경이 전하는 ‘이거 뭔가 벌어졌구나’하는 느낌이다. 때마침 흘러나오는 긴박한 효과음은 그 느낌이 맞았다는 것을 새삼 확인시켜주면서 그 벌어진 뭔가에 시선을 돌리게 만든다. 하지만 드라마가 끝나고 나면 대부분 드는 생각은 ‘왜 내가 이걸 보고 있지’하는 것이다. 이것은 마치 길을 가다가 우연히 사람들이 모여 웅성대는 것을 보고는 호기심에 이끌리는 것과 같다. 누군가..
-
장서희, 막장에도 꽃은 핀다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3. 26. 09:32
'무릎팍 도사'에 나온 장서희는 '막장드라마' 논란에 대해서 안타까움을 표시했습니다. 모든 배우들과 스텝들이 그렇게 열심히 찍고 있는데 '막장'이라 표현되는 것을 이해하기가 어렵다는 것이죠. 배우로서는 충분히 할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배우가 대본을 가지고 이러쿵 저러쿵 말할 수는 없는 일이죠. 주어진 대로 최선을 다해 그 역할을 살리는 것이 배우의 입장이기 때문에, 사실 '막장드라마' 논란에 대해 강호동이 장서희에게 던진 질문은 화살의 방향이 잘못되어 있는 것이죠. 드라마를 막장으로 만드는 것은 때론 배우가 그렇게 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대본의 문제입니다.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설정, 자극으로만 치닫는 이야기, 완성도는 포기하고 시청률에만 목매는 드라마 진행 같은 것들이 그 주된 원인이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