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역
-
'야왕', 주다해는 왜 미실도 장준혁도 못됐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3. 13. 09:00
, 수애는 왜 그저 악녀로 전락했을까 의 주다해(수애)는 왜 의 미실(고현정)이나 의 장준혁이 되지 못했을까. 이들 캐릭터들에는 공통점이 있다. 어떻게든 성공하려는 강력한 욕망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그 욕망은 비뚤어진 것이어서 이들은 모두 악역을 자처하지만 그렇다고 그 악역이 모두 비난받는 건 아니다. 미실은 악역이면서도 자신만의 현실적인 통치 철학을 보여줌으로써, 또 장준혁은 잘못된 선택을 하지만 그 역시 사회라는 경쟁 시스템 속에서의 희생자라는 면모를 보여줌으로써 그 죽음에 이르러 시청자들을 고개 끄덕이게 한 인물들이다. 하지만 의 주다해는 다르다. 그녀에게는 일말의 동정적인 시선이 사라져버린 전형적인 악녀에 머물러 있다. 물론 처음부터 그런 건 아니다. 첫 등장에서 죽은 어머니 사체 옆에 넋 나간..
-
'마의', 무적의 조승우가 만든 너무 많은 문제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2. 27. 10:19
, 김혜선의 과잉 연기까지 나오는 이유 ‘마의가 인의가 된다’는 그 한 줄의 문구만으로도 는 꽤 괜찮은 기획이었다고 여겨진다. 거기에는 성장드라마가 있고 사극에 의학드라마가 겹쳐져 있으니 그 극성은 최고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의 의학드라마는 사람을 살리느냐 살리지 못하느냐는 상황으로 극적 갈등을 만들지만, 그것 때문에 의사가 목숨을 거는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에서 백광현(조승우)은 숙휘공주(김소은)의 두창 때문에 목에 생긴 물집을 터트리기 위해 마침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목숨을 걸어야 했다. 생명을 살리기 위해 생명까지 걸어야 하는 것. 이것이 가 가진 사극과 의학드라마의 퓨전에서 생겨나는 극성이다. 하지만 이런 좋은 기획의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는 그다지 극성이 높여지지 않고 있다. 이..
-
'내 딸 서영이' 작가의 기분 좋은 강박관념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2. 22. 07:43
, 악역들마저 소통하려는 강박의 이유 “그래도 한때 사위였는데. 사위한테 부사장님, 부사장님 한 것도 모자라서... 너 우리 아버지 과거 알지? 그 수치스런 얘길 다 했단다 우리 아버지가. 정말 미치겠다. 우리 아버지 땜에.” 서영이(이보영)의 친구에게 하는 이 대사 속에는 아버지에 대한 원망과 아픔 그리고 사랑의 감정이 뒤엉켜 있다. 제 아무리 자신에게 상처를 준 아버지지만, 그 아버지의 치부가 한 때 사위였던 강우재(이상윤)에게까지 드러나는 건 영 싫다는 거다. 그녀는 아버지 욕하고 뭐라 할 권리는 자신과 상우 그리고 엄마한테만 있다고 아버지에게 털어놓기도 했다. 이 말은 거꾸로 말하면 다른 사람이 아버지 욕하는 건 싫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아버지 이삼재(천호진)가 사위에게 자신의 치부까지 드러내며 ..
-
'내 딸 서영이', 강우재는 왜 소통하지 않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12. 26. 09:20
가 보여주는 우리 사회 소통의 문제 가 가진 가장 큰 미덕은 악역이 없다는 것이다. 이 드라마는 흔하디흔한 막장드라마의 악마 같은 캐릭터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그런 캐릭터가 될 뻔한 인물들은 있다. 서영이(이보영)의 아버지인 이삼재(천호진)는 집안에 민폐만 끼치며 서영이의 앞길까지 막았던 인물이다. 물론 그런 이삼재는 달라진다. 서영이가 자신까지 부정하고 결혼을 한 것을 그는 진심으로 이해한다. 멀리서 딸의 행복만을 바라는 진짜 아버지의 마음이 되는 것. 서영이도 초반 악역 캐릭터가 될 뻔한 인물이다. 아버지의 존재를 부정한다는 것은 어찌 됐든 패륜에 해당하는 일이니까. 자신의 행복을 위해 가족을 부정했다는 행위는 이기적인 것이라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게 결혼한 서영이 사실 행복하기만 한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