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
-
'시카고 타자기' 유아인의 의식의 흐름을 따라 가다보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4. 16. 10:23
유아인, ‘시카고 타자기’라는 현실과 판타지의 미로를 읽는 법무엇이 현실이고 무엇이 판타지인가. 또 무엇이 소설이고 무엇이 현실인가. tvN 금토드라마 는 그 모호한 경계 사이에 놓여 있다. 슬럼프에 빠진 베스트셀러 작가 한세주(유아인), 어느 날 시카고에서 보게 된 미스터리한 느낌을 주는 타자기, 그 타자기를 배달하며 그와 가까워진 전설(임수정) 그리고 슬럼프에 빠진 그에게 전속출판사 대표 갈지석(조우진)이 은근히 제시한 유령작가 유진오(고경표). 이들의 이야기는 현실과 판타지 사이에 걸쳐 있어 모호한 느낌을 준다. 슬럼프에 글이 써지지 않는 한세주가 마감 스트레스에 차를 몰고 나왔다가 사고를 당하고, 그를 마침 전설이 구해주는 이야기는 현실적인 느낌이 별로 없다. 그런 큰 사고를 당하고도 살아있는 게..
-
'도깨비'의 나비효과, 새드엔딩 넘을 김은숙 작가의 묘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1. 1. 10:29
도깨비, 저승사자보다 더 센 인간의 의지 “인간의 간절함으로 못 여는 문이 없고, 때론 그 열린 문 하나가 신에게 변수가 되는 건 아닐까.” 도깨비(공유)는 저승사자(이동욱)에게 그렇게 말한다. 도깨비와 저승사자가 지은탁(김고은)의 생사가 달린 문제를 어떻게 할 것인가 고민하던 중 절대 들어올 수 없는 저승사자의 찻집에 봉인을 뚫고 볼일이 급한 한 사람이 들어온다. 그저 하나의 유머처럼 뜬금없이 던져진 장면이었지만, 그건 어쩌면 tvN 가 잔혹한 운명의 새드엔딩을 넘어설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본래 이 이야기에서 도깨비와 도깨비신부 지은탁, 그리고 저승사자와 써니(유인나)의 관계는 비극으로 얽혀있다. 도깨비의 가슴에 꽂힌 칼은 도깨비신부에 의해서만 뽑힐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영원한 무(無)로..
-
'화랑', 그래도 박서준의 주령구에 운을 맡길밖에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12. 21. 10:58
, 박서준은 왜 주령구를 굴릴까 “난 인생 운빨이라고 생각하거든. 근데 너 오늘 운 없다.” 진골들의 연회장에 들어선 무명(박서준)은 친구인 막문(이광수)을 흠씬 두들겨 패는 귀족에게 그렇게 첫 마디를 던진다. 달려드는 그를 가볍게 제압한 무명은 바닥에 칼로 둥그런 원을 그어놓고 말한다. “왕경에 들어온 천인을 베는 게 니들 법이면 이 선을 넘어온 귀족을 베는 건 내 법이다. 베고 싶으면 넘어와서 베. 다 상대해줄 테니까.” KBS 첫 회의 이 마지막 장면은 이 사극이 앞으로 전개해나갈 이야기의 대부분을 이야기해준다. 그것은 천인의 신분이자 이름조차 없어 무명이라 불리는 이가 왕경의 진골들만 있는 곳으로 뛰어 들어와 그들과는 다른 모습으로 자기만의 독보적 위치를 세워가는 이야기가 아닐까. 그의 모습이 진..
-
'공항 가는 길', 김하늘의 감성멜로 가을에는 딱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9. 23. 09:36
서두르지 않아 좋다, 의 감성멜로 오랜만에 보는 정통 감성멜로다. 아주 천천히 전개되는 것 같지만 감성이 켜켜이 쌓여가면서 어느 순간 임계점을 넘어버리면 어찌할 도리 없이 넘쳐 흘러내리는 그런 감정의 경험. KBS 새 수목드라마 의 멜로는 지금껏 드라마들이 첫 회에 폭풍전개를 쏟아 붓는 그런 방식과는 사뭇 다르다. 터트리는 게 아니라 조금씩 젖어간다고 할까. 첫 회 최수아(김하늘)와 말레이시아에 딸 효은(김환희)을 유학 보내며 딸의 룸메이트인 애니의 아빠인 서도우(이상윤)와 얽히는 과정은 그래서 조금은 느슨한 느낌마저 주었다. 하지만 딸들을 해외에 두게 된 부모로서 서로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최수아와 서도우가 인연을 갖게 된다는 점은 신선했다. 최수아가 노트북으로 화상통화를 할 때, 효은의 노트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