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 성공한 <백년손님>, <해피투게더>가 배워야할 것

 

SBS <자기야 백년손님(이하 백년손님)>은 본래 <자기야>라는 스튜디오형 토크쇼에서 진화한 버전이다. 스튜디오에 연예인 부부들을 초대해 이런 저런 사담을 나누는 수다형 예능에서 <백년손님>이 사위의 강제 처가살이라는 현장형 예능으로 진화를 꾀한 건 대단히 적절한 선택이었다. 물론 스튜디오에서의 후토크와 현장에서의 이야기가 버무려져 있지만 <백년손님>은 확실히 요즘 트렌드에 걸맞는 예능 형식으로 자리한 것만은 분명하다.

 


'백년손님(사진출처:SBS)'

8.8%의 괜찮은 시청률을 낸 11일 방송에서는 늘 스튜디오에 앉아 토크를 이끌던 <백년손님>의 안방마님 김원희가 남서방의 후포리를 찾아가 밭일을 하는 장면이 방영되었다. 이 방송에서 김원희는 현장에서도 잘 어울리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괜찮은(?) 쟁기실력을 보여줘 심지어 암소라는 별칭까지 얻었다. 스튜디오에만 앉아 있기 보다는 현장으로 뛰어나가는 김원희의 모습은 마치 <백년손님>이 이뤄낸 진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처럼 보인다.

 

연예인들의 사담을 위주로 하는 스튜디오 토크쇼와 리얼 버라이어티 예능 트렌드는 이미 지난 지 오래다. 만일 <백년손님>이 요즘의 트렌드라고 할 수 있는 관찰카메라 형식을 과감히 시도하지 않고 과거의 스튜디오 토크쇼에 주저앉아 있었다면 어땠을까. 어쩌면 이 프로그램은 지금껏 생존하지 못했을 지도 모른다.

 

게다가 <백년손님>은 연예인만이 아닌 장모들이라는 일반인들을 프로그램의 중심으로 세웠고 장모와 사위라는 관계 속에서 연예인의 일반인적인 면모들을 더욱 부각시켰다. <백년손님>의 후포리 남재현이나 이만기 그리고 마라도의 박형일 같은 인물들에게서는 전혀 연예인의 느낌이 묻어나지 않는다. 이게 가능한 건 장모들과 티격태격하며 만들어진 일상적인 관계의 모습들이 자연스럽게 프로그램에 묻어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백년손님>이 마치 최근 예능 트렌드의 정답처럼 여겨지는 건 그 공간이 너무나 시골스러운 서민적인 공간이라는 점이다. 후포리에 내려간 남재현이 장모에게 엉뚱한 요리를 해주거나, 후포리의 어르신들인 후타삼이 그 요리를 먹고는 요상하다며 인상을 찌푸리는 장면에서는 푸근한 시골의 정서가 느껴진다. 마라도 외진 곳에서 결코 쉽지 않은 삶을 살아가는 장모를 찾아가 이런 저런 일을 도와주는 박형일이 장모에게 얼굴 팩을 해주고 같이 누워 웃음을 짓는 장면은 보는 이들을 흐뭇하게 만든다.

 

이건 단지 착해서 좋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착하면서도 지금의 서민들의 정서를 제대로 건드릴 수 있는 잘 짜여진 예능의 만듦새에서 나오는 공감대다. <백년손님>이 그 털털한 인물들의 소박한 이야기를 갖고 꾸준히 괜찮은 반응과 시청률을 가져가고 있는 건 그래서다.

 

반면 경쟁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는 <해피투게더>는 적절한 진화의 타이밍과 방향성을 못 맞춤으로써 서서히 추락했다. 유재석이라는 발군의 MC를 두고도 시청률이 뚝뚝 떨어지고 화제성조차 예전만 하지 못하게 된 데는 여전히 이 프로그램이 전형적인 스튜디오 연예인 사담 토크쇼라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최근 들어 쿡방 트렌드를 가져와 요리를 토크와 버무리고 있지만 이건 전혀 새로운 느낌을 주지 못하고 있다.

 

<해피투게더> 역시 리뉴얼을 준비하고 있다. 박미선과 김신영을 하차시키고 전현무를 투입시킨다고 한다. 하지만 누가 나가고 새로 들어오는 것보다 더 중요한 건 이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전형적인 연예인 사담 토크쇼의 틀을 깨는 것이다. 그게 아니라면 천하의 유재석이 자리하고 그 옆 자리에 최근 들어 대세 MC로 급상승한 전현무가 들어온다고 해도 반전을 이루기는 어려울 듯싶다. 리뉴얼을 준비하는 <해피투게더><백년손님>이 이룬 진화를 면밀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의외로 강한 <자기야>, 이런 판타지가 없다

 

이만기 같은 사위가 있다면 어떨까. SBS <자기야-백년손님>에서 이만기와 장모는 톰과 제리의 관계를 보여준다. 틈만 나면 소파에 누워 제 집처럼 잠을 자기 일쑤지만 그럴 때 장모는 맛좋은 소라무침에 막걸리를 한 상 내놓고는 사위를 슬슬 일으켜 세운다. 그리고는 기다렸다는 듯 일을 시킨다. 그런 장모에게 이만기는 시종일관 투덜투덜 대지만 또 막상 시키는 일은 꼬박꼬박해낸다. 이만기는 마치 머슴살이 들어온 힘 좋은 사내처럼 보인다.

 


'자기야 백년손님(사진출처:SBS)'

그런데 갑자기 단수가 되어버리자 마을 입구까지 내려가 물을 떠오는 이만기를 보면 역시 천하장사다운 스케일을 보여준다. 자그마한 물통이 아니라 하나 들기도 힘들 것 같은 양동이 두 개를 꽉 채워 옮긴다. 힘들 게 옮기는 물통이지만 동네 어르신이 한통만 달라고 하자 또 그걸 거부하지도 못하는 순박함을 보여준다. 이 장면은 마치 순박하고 힘 좋은 머슴이 물을 길러 오는 장면처럼 그려진다.

 

밭일하기 위해 연장을 챙기러 창고에 온 이만기가 거기 있던 의자에 누워 보고는 아예 장모의 눈을 피해 숨는 장면 역시 톰과 제리의 마름 머슴판처럼 그려진다. 장모의 눈을 피해 그 거대한 몸을 잔뜩 웅크려 숨자, 그 사실을 알게 된 장모는 아예 문을 밖에서 잠가 버린다. 화장실이 급해진 이만기가 결국 어무이 문 좀 열어 주이소하는 모습은 꾀부리다 오히려 당하곤 하는 톰을 떠올리게 만든다.

 

제리 같은 장모가 톰 같은 이만기를 부리는 방법은 역시 음식이다. 죽통밥을 해주겠다고 꼬드겨서 대나무를 자르러 가서는 아예 한 열 개 정도 잘라 평상을 만들라는 장모의 말에 일이 점점 커지는 걸 실감한다. 하지만 도무지 끌고 올 수 없을 것 같은 그 대나무 여러 개를 한꺼번에 끌고 오는 모습에서는 역시 천하장사의 위용이 느껴진다.

 

집에 와서 이만기는 그 대나무들을 하나하나 잘라 쉬지 않고 작업을 하고 장모는 잘라낸 죽통으로 죽통밥을 만든다. 일이 너무 많아 한참을 투덜대며 하던 이만기는 그러나 장모가 내온 죽통밥에 순식간에 단순해진다. 너무 맛있다며 힘들었던 노동을 싹 잊어버린 듯 환하게 웃는 모습은 아마도 이 땅의 장모들에게는 우직하고 단순해도 마음 한 구석이 든든해졌을 것이다.

 

SBS <자기야-백년손님>은 사위들의 강제 처가살이라는 콘셉트를 갖고 있다. 누가 봐도 이 설정이 현실적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그것이 장서관계에 있어서 바람직한 설정이라는 것만은 분명하다. 며느리의 시집살이는 이제 옛말이 됐다. 대신 맞벌이 부부들의 육아문제와 함께 점점 사위가 아내의 친정과 가까이 지내게 되면서 사위의 처가살이는 현실적인 일이 됐다.

 

이만기처럼 든든함을 주는 사위의 모습은 현실적으로는 판타지에 가깝다. 하지만 이 판타지가 주는 힘은 의외로 세다. 톰과 제리, 마름과 머슴처럼 보이지만 그런 격의 없는 툭탁댐은 장모와 사위의 관계라기보다는 엄마와 자식 같은 편안한 관계를 자연스럽게 드러낸다. 세상 어디에도 없는 사위의 모습이 아닌가. 그것이 판타지라고 해도 자꾸만 들여다볼 수밖에 없는 이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