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성수기에 어울리지 않는 <협녀>의 부진

 

영화의 성패는 개봉시기와도 무관하지 않다. 겨울방학 시즌과 여름 성수기는 영화를 찾는 관객들의 기대치가 다르다. 겨울방학 시즌이 조금 무거운 영화라도 영화적인 완성도가 있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는 시기라면, 여름 성수기는 말 그대로 블록버스터가 대결하는 시기다. 이 시기에 과한 메시지를 담아내는 영화는 어울리지 않는다.

 


사진출처:영화 <협녀, 칼의 기억>

<협녀, 칼의 기억(이하 협녀)>이 겨우 8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개봉 첫날 박스오피스 4위를 차지한 건 그 영화적인 완성도라기보다는 그 개봉시기가 영 어울리지 않았다고 보는 편이 낫다. 이 영화는 여름 성수기에 보기에는 너무 무겁다. 끝없이 이어지는 독백과 마치 연극처럼 비일상화되어 있는 대사들, 그리고 유려한 영상미는 충분하지만 역시 반복되는 슬로우 액션은 영화를 한없이 무겁게 만들었다.

 

<협녀>는 웃음의 포인트를 거의 찾기 힘들다. 두 시간짜리 영화가 쉬지 않고 비장함으로 흘러가는 건 마치 피서하듯 영화관을 찾는 여름 성수기 관객들이 바라는 일은 아닐 것이다. 물론 예고편으로 보기에는 마치 <와호장룡>이나 <동사서독> 같은 느낌의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실로 <협녀>는 그 영상 연출만 놓고 보면 마치 한 편의 무용을 보는 것처럼 우아하고 스펙터클하다.

 

하지만 그런 영상미도 이야기의 무거움을 이겨내지는 못한다. <협녀>는 사사로움에 흔들리지 않는 마음을 이라고 설명하며 원죄를 가진 부모를 자식이 처결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즉 대의를 위해 가족 관계의 사사로움을 뛰어넘는 비극적인 주인공들의 이야기다. 욕망에 의해 덕기라는 이름을 버리고 유백(이병헌)이 된 사내와 그에 대한 사랑 때문에 사형을 죽인 월소(전도연) 두 사람 사이의 애증이 만들어낸 비극이다.

 

마치 그리스의 비극이나 셰익스피어의 비극을 보는 듯한 비장미는 너무 과도하게 무거워 자칫 실소가 나올 정도지만 그나마 그 무게를 버텨내는 건 연기자들이다. 이 영화는 실로 이병헌과 전도연, 그리고 이 영화를 통해 확실한 자기 색깔을 드러낸 김고은 같은 배우들에 깊은 몰입에 의해 겨우 그 비장미를 유지하는 작품이다.

 

50억 협박 사건으로 인해 그 불편한 사생활이 공개되면서 이병헌에 대한 대중적인 정서는 결코 좋지 않지만 연기자로서 그가 갖는 아우라가 이 영화 전체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야기하면 <협녀>의 부진은 이병헌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연기의 문제가 아니라 그의 사생활 문제로 인해 개봉시기가 겨울에서 여름 성수기로 들어오게 되면서 생긴 일이다.

 

<베테랑><암살>, <미션 임파서블> 같은 여름철 더위를 날려버릴 블록버스터에 딱 어울리는 작품들과 비교해보면 <협녀>는 그 무겁고 과한 메시지와 비장함 때문에 오히려 더 더워지는 영화다. 만일 이병헌 논란이 터지지 않고 그대로 지난 겨울에 개봉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물론 큰 흥행을 거두기는 어려운 작품임에 분명하지만, 그래도 영화를 보고 나오는 그 찜찜함이 이 정도까지는 아니지 않았을까



<무뢰한>, 표현을 안 해 더 절박해진 사랑이라니

 

<무뢰한>은 독특한 멜로다. 사실 멜로라고 하기도 애매하지만 이게 실제로는 멜로의 실체라는 생각도 든다. 어딘지 달달하기만 한 멜로는 너무 관습적이기도 하고 그것이 실제 현실을 담아낸 듯한 느낌은 거의 주지 않기 때문이다. 사랑은 본래 그렇게 비현실적인 거라고? 맞는 얘기지만 그 비현실이 달달함으로만 구성되는 건 아니다. 오히려 비현실적인 결정들을 내리는 아픈 사람들의 이야기 속에서도 사랑은 그 진면목을 드러내는 법이니 말이다.

 

사진출처: 영화 <무뢰한>

강력계 형사와 범죄자의 여자. 이 둘의 조합은 너무 뻔한 장르물의 한 틀을 떠올리게 한다. 결국 이 영화의 이야기 구조는 뻔해서 스포일러라고 하기도 애매할 정도로 단순하다. 형사가 범죄자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그 범죄자의 여자에게 감정을 느끼는 것. 하지만 이런 단순한 한 줄의 해설은 이 영화가 전해주는 기묘한 감정과 정서들을 전혀 담아낼 수 없다. 그것은 영화 속에 한 번 푹 담가져야 이해할 수 있는 감정들이다.

 

사람의 감정은 복합적이다. 누군가를 죽이고 싶은 감정은 때로는 그를 너무나 사랑한다는 엉뚱한 표현이기도 하다. <무뢰한>이 그렇다. 여기 등장하는 형사 재곤(김남길)과 범죄자의 여자 혜경(전도연)은 마치 마음의 문을 누군가 들어올까 무섭다는 듯 꼭꼭 닫아 잠근 채 살아가는 이들이다. 그들의 삶은 그래서 사적인 감정들은 사라지고 오로지 직업적인 모습들로만 표현되는 삶이다. 재곤은 그 지긋지긋해보이는 형사질로서만 자신을 드러내고, 혜경은 범죄자의 여자로서 때론 퇴폐적이고 때론 아련해 보이는 단란주점 마담으로서만 존재를 보인다.

 

그런데 이런 남녀가 만나 지금까지와는 다른 사적 감정을 느끼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진짜 속내는 저 밑으로 꾹꾹 눌러놓고 괜스레 주변만 빙빙 돌며 서성대는 재곤은 그래서 그것이 사랑의 설렘 때문인지 아니면 형사로서 그녀를 예의주시하는 직업적 태도 때문인지를 도무지 알 수가 없다. 대사도 거의 없거나 몇 마디 툭툭 던지는 것으로 끝내는 이 인물은 그래서 영화의 끝까지 진심을 들여다보기가 어렵다.

 

이것은 혜경도 마찬가지다. 고통 속에 살아가면서도 그것을 내면화하고 절대 드러내지 않으려 하는 인물이 바로 그녀다. 그녀에게는 심지어 사랑이라는 감정 자체가 낯설다. 그런 그녀에게 재곤이 불쑥 들어온다. 그런데 그것이 사랑인지 일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사랑처럼 보였던 것이 금세 그걸 뒤집어버리는 재곤의 허허로운 거짓말로 가려지기 때문이다. 그러면 그녀 역시 드러냈던 진실을 숨겨버리고 본래 가면의 그녀로 돌아가버린다.

 

그래서 이들의 만남과 사랑은 전혀 지금까지 우리가 멜로에서 봐왔던 그런 장면들을 보여주지 않는다. <무뢰한>이 한 편의 하드 보일드한 스릴러나 형사물처럼 여겨지는 건 그래서다. 하지만 이 영화가 이처럼 형사물의 태도를 취하고 있는 건 저 두 남녀가 사랑에 대해 취하고 있는 태도 때문이다. 그들은 그렇게 표현하지 않고, 어떤 면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삶 속에 갇혀 있다.

 

이것은 <무뢰한>이란 영화가 식상한 멜로로 흐르지 않고 어떤 여운을 남기는 이유다. 이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결국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들이 보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이 처한 극한 상황이 아닐 뿐, 우리 역시 철저히 일을 위한 가면을 쓴 채 일터로 나간다. 그리고 지금 현재 우리가 처한 일터란 칼과 주먹만 안 들었을 뿐 저 <무뢰한>들의 세상과 그리 다르지 않다. 그 곳은 살기 위해 아등바등하는 곳이란 점에서 비슷하다.

 

어쩌면 그래서 <무뢰한>은 더 이 시대에 현실적인 사랑처럼 다가온다. 그것은 허공으로 몇 센티씩 붕붕 떠오르는 그런 사랑이 아니라 저 밑으로 자꾸만 내동댕이처지는 바닥의 사랑이다. 그들이 감정을 잔뜩 숨긴 채 아무렇지도 않은 듯 고통을 참아내려는 얼굴들이 못내 마음을 쿡쿡 찌른다. 그리고 그 끝에는 어떤 공감과 각성이 생겨난다. 우리 역시 <무뢰한>들의 세상에 살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