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좋은 시절>의 갈등, 막장의 정반대로 간다

 

미안타 에미야. 맨날 드러누워가 새끼들 골병만 들게 하는 이 산송장이 그냥 디비 자지 뭐 다 저녁때 사과를 먹고 싶다고 해가. 요놈의 주둥이가 요물이다.” 사과를 깎다 손을 벤 며느리 장소심(윤여정) 보고 시아버지 강기수(오현경)가 어쩔 줄 몰라 한다. 그러자 장소심은 오히려 펄쩍 뛰며 이렇게 말한다. “아녀요. 아버님. 아버님 요렇게 맛있게 드셔주니까 제가 숨을 쉬고 살겄어요. 아버님 그냥 노상 아무 것도 못 잡숩고 계시면 제가 어떻게 밥을 지대로 넘기고 잠을 지대로 자며 숨을 쉬고 살겄슈.”

 

'참 좋은 시절(사진출처:KBS)'

KBS 주말드라마 <참 좋은 시절>의 한 장면. 시아버지와 며느리 사이의 대화 속에는 서로를 챙기려는 애틋한 마음이 묻어난다. “새끼들 골병만 들게 한다는 시아버지의 자책은 장소심의 마음에도 가시처럼 박힌다. 젊어서 식모살이하던 이명순(노경주)이 장소심에게 했던 말이 떠오르기 때문이다. “지가 검사면 근본도 달라지는 줄 알아? 식모 아들이 감히 누굴 넘보고..” 장소심의 아들 강동석(이서진)이 이명순의 딸 차해원(김희선)을 만나는 걸 반대하는 이명순의 이야기. 장소심은 자기가 못나서 자식들 앞길에 폐만 끼치는 것 같다며 눈물을 흘린다.

 

흥미로운 건 이 때 들어온 하영춘(최화정)의 반응이다. “우리 형님 왜 울어요? 아버님. 아버님 때리셨어요? 아버님 진짜. 우리 부처님 반 토막 같은 형님께 그러시면 안돼죠. 그런 개망나니 바람둥이 남편 만나서 평생 그냥 가슴앓이 하면서 사는 세월도 억장이 무너지는데 남편도 없는 시집에서 시아버지 병수발에 마흔이 넘도록 장가 안간 쌍둥이 시동생들 뒷바라지에...” 하영춘과 장소심이 첩과 조강지처의 관계라는 것이 무색한 장면이다.

 

이 짧은 장면은 <참 좋은 시절>의 특별한 점이 묻어난다. 조강지처와 첩이 남편을 잃고 한 집에서 산다는 설정 자체도 특이하지만 두 사람이 앙숙이기는커녕 서로를 끔찍하게도 챙기는 모습은 낯설게까지 느껴진다. 특히 막장드라마의 관습적인 설정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이런 장면이 주는 낯설음이 더욱 클 것이다. 서로를 못 잡아먹어 안달이 나고 하다못해 머리채라도 잡아 드잡이를 하는 장면이 나올 법한 관계에, 오히려 서로의 역성을 들고 챙겨주는 모습이라니.

 

시아버지와 며느리의 관계 역시 거의 부모 자식 같은 관계 그 이상을 보여주고, 한때 식모살이를 했지만 지금은 망해버린 이명순에게 여전히 주인 대하듯 깍듯한 장소심의 모습도 보통의 드라마 속 설정과는 사뭇 다르다. 장소심은 그래도 자기네 가족이 그만큼 살 수 있게 된 것이 이명순네 집에서 자신을 거둬줬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혹자는 이것이 노예근성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장소심의 경우는 그런 세속적인 잣대를 넘어선다. 그녀는 뭐든 끌어안는 인간애와 모성애의 결정판이다.

 

하영춘을 벌레 보듯 하는 강동희(택연)에게 늘 한 걸음 뒤편에 서서 그를 애틋한 눈길로 바라보는 하영춘의 관계 또한 특이하다. 보통의 계모와 자식 설정과는 달리, 하영춘은 강동희를 친자식처럼 아끼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물론 여기에는 출생의 비밀이 숨겨져 있지만(사실은 강동희의 친엄마가 하영춘) 이 역시 통상적인 막장드라마가 사용하는 코드와는 달리 사용된다. ‘출생의 비밀이 신분상승의 기제로 활용되곤 하던 것과는 달리, 이 드라마에서는 끈끈한 가족애를 드러내는 코드로 활용된다.

 

또 어린 시절의 사고로 어린 아이의 지능에 멈춰버린 강동옥(김지호)과 우진(최웅)의 멜로 역시 여타의 드라마들과는 사뭇 다르다. 하긴 연애에 있어 잘 나고 못나고가 무슨 상관이겠냐마는 그래도 우진이 먼저 강동옥에게 호감을 드러내고 다가간다는 설정은 특이하다. 게다가 강동옥은 이 멀쩡하게 잘 생기고 능력도 있어 보이는 사내를 거부한다. 중요한 건 강동옥이 우진을 밀어내는 이유다.

 

에미 말 잊어먹으면 안댜. 니를 보고 자꾸 이쁘다 켜고 자꾸 말시키고 밥 먹자고 그러고 손 잡을라구 그러고 그런 놈들하고는 절대로 같이 놀면 안댜. 그런 놈들은 말짱 다 나쁘고 숭악한 놈들여. 알았쟈?” 장소심이 강동옥을 걱정해서 한 말이 그녀의 마음을 닫게 만들었던 것. 통상적인 멜로 관계가 부모의 반대로 인해 벌어지는 것이지만, 강동옥의 경우에는 장소심의 그녀에 대한 지극한 걱정과 배려가 들어가 있다.

 

<참 좋은 시절>이 갈등구조를 만들어내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드라마를 통해 봐왔던 구도와는 확연히 다르다. 흔히 막장드라마에서 첨예한 갈등 구조를 만들어내기 위해 조강지처와 첩의 서로를 물어뜯는 관계로 집어넣곤 하지만 <참 좋은 시절>은 정반대다. 또한 한때 식모살이하며 구박을 받던 관계가 이제 역전이 되었다면 그것 역시 막장드라마에서는 자극적인 복수극의 이야기로 흐르기 마련이지만 이 드라마는 그렇지 않다. 오히려 변함없는 장소심의 마음이 또 다른 갈등의 단초로 제공된다.

 

이것은 이 드라마가 가진 특별한 면모를 드러낸다. 통상적인 갈등관계를 뒤집어 막장드라마들이 하던 방식이 아니라도 충분히 극적 상황이 가능하다는 것. 막장드라마가 관습적인 대립구도로 갈등을 만들어낸다면 <참 좋은 시절>은 오히려 타인에 대한 배려가 오해를 부르고 그것이 갈등으로 드러난다. 물론 이 오해가 풀려나가는 과정은 이 특별한 드라마의 갈등 해결과정이 될 것이다. 어떻게 이게 가능할까.

 

이것이 가능해진 것은 이 드라마가 사람을 보는 따뜻한 시선이 있기 때문이다. 이 드라마는 혹여나 악역이라고 하더라도 그 인물을 타고난 악인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 것 같다. 오히려 부족함이 있을 뿐이고 그 부족함이 서로에 대한 이해로 채워질 때 갈등이 봉합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려는 것만 같다. 늘 봐와서 이제는 식상하기까지 한 막장드라마들의 관습적인 관계와 설정의 정반대를 보여준다는 것. 이것은 참 좋은 드라마, <참 좋은 시절>이 막장드라마에 던지는 결코 작지 않은 메시지다.

불황 속에 더욱 빛난 ‘경숙이, 경숙아버지’

‘경숙이, 경숙아버지’에는 현재의 관점에서 보면 이해되기가 어려운 인물들의 관계들이 등장한다. 경숙아버지인 조재수(정보석)와 악연으로 얽힌 박남식(정성화)은 경숙(심은경)의 집에서 기거하며 경숙모와 사랑에 빠지게 되고 결국 둘 사이에 아이까지 갖게 된다.

가난보다는 그 속에 피어나는 정에 주목하다
그런데 이 상황을 알게된 경숙아버지는 화를 내기는커녕 쾌재를 부르며 아예 집밖으로 나와 이화자(채민희)와 함께 지낸다. 후에는 이 네 사람이 한 집에서 나란히 살기까지 하는데, 경숙이는 아버지가 둘인 이 상황 속에서 자기만 생각하는 아버지보다 가족들을 위해 헌신하는 남식을 더 따르기도 한다. 그리고 이것은 경숙이네 가족들 모두의 정서이기도 하다.

친아버지보다 타인인 남식을 더 따르는 가족이라는 비범한(?) 관계에 깔려있는 전제가 있다. 그것은 바로 가난이나 전쟁 같은 극단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당장 배가 고파 먹을 걸 구해야 하는 상황에서 마음이 가는 사람은 단지 피붙이라는 관계에는 있지만 타인만도 못한 삶을 살아가는 인물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도움으로 주고 정을 주는 타인이다.

그런데 이야기가 여기에서 끝난다면 이 드라마가 전하는 메시지는 그저 가난이 파괴한 한 가족의 이야기에서 머물렀을 지도 모른다. 드라마 말미에 경숙아버지가 빨갱이 누명을 쓰고 경찰서에 잡혀간 박남식을 구하기 위해 장구채를 들고 시위를 이끄는 장면은 이 이야기를 가난에서 정으로 위치 이동시킨다. 경숙아버지 조재수는 자신의 아내와 바람난 박남식을 구하려 나서면서 이런 얘기를 남긴다. “사람이 어려운 일을 당하면 싸우다가도 돕는 게 인지상정이다.”

이 한 마디는 이 드라마의 주제를 압축한다. 전쟁통에서도 적군인 부상 인민군을 총탄이 날아오는 상황에서도 버리지 못하고, 죽은 후에는 땅에 묻어주기도 하는 박남식의 캐릭터는 이 드라마의 핵심적 재미를 만들어낸다. 착하고 순해 빠져 늘 당하는 캐릭터로서의 박남식은 늘 누군가를 이용하거나 골탕먹이며 살아가는 경숙아버지와는 상반된다.

가난을 냉소가 아닌 따뜻한 웃음으로 바꾸다
자기 자식보다 자기 남편보다 자기 아버지보다 더 박남식을 따르는 가족들의 면면은 이 드라마의 경쾌한 리듬과 함께 폭소를 자아내게 만든다. 경숙네 집에 경숙아버지가 훔쳐간 돈을 받으러 찾아와 그들의 가난을 지나치지 못하고 투덜대면서도 그들을 돕는 그 모습에서 비롯되는 폭소는 따라서 냉소와는 다른 따뜻한 웃음을 선사한다.

이 가난을 다루면서 냉소와 풍자의 칼날을 들이대기보다는 따뜻한 웃음을 짓게 만드는 것은 이 드라마가 작금의 불황 상황에 대해 던지는 긍정론이기도 하다. 전쟁과 궁핍의 극단적 상황 속에서도 일상적 삶은 계속되고 그 속에서도 여전히 따뜻한 정은 남아있다는 전언이다.

 국가적으로 암울한 시기를 절망적인 비장감으로 그려내기보다는 동화적 시점을 끌어들여 새롭게 조명하는 것은 ‘웰컴 투 동막골’과 궤를 같이 한다. 아이의 눈으로 그려지는 이 경쾌한 시선이 지향하는 것은 바로 그 냉엄한 현실 속에서도 여전히 한 인간으로서 발현되는 인지상정의 위대함이다.

작금의 불황 상황 속에서 이 드라마가 빛을 발하는 이유는 바로 이 차디찬 현실 위에 유쾌한 정의 세계를 복원해 보여주기 때문이다. 생생하게 살아있는 캐릭터들은 저마다 투덜대면서도 사랑하고, 사랑하면서도 투덜대는 모습들을 보여줌으로써 어려운 현실적 상황 자체를 관조하게 해준다.

이 대단한 주제의식의 드라마가 4부작이라는 것 또한 곱씹어 볼만한 점이다. 드라마 역시 불황을 맞아 상업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단편 혹은 중편이 설 자리를 점점 잃고 있는 상황. 그러나 이 짧은 가난한 드라마가 막장으로 치닫는 작금의 장편 부유한 드라마들 틈바구니에서 전하는 감동은 그 여운을 더 깊게 만든다. 어려울수록 그 희망을 바로 사람들의 진정성에서 찾는 이 드라마의 태도는 작금의 불황상황이나 드라마 제작상황 모두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