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
풍문의 시대, '무도' 식스맨과 소셜포비아옛글들/명랑TV 2015. 4. 10. 12:31
음모론, 이런 재미없는 소설은 왜 퍼질까 식스맨에 장동민이 내정되어 있다는 찌라시는 한 보도매체에 의해 단독으로 기사화됐다. 측은 펄쩍 뛰었다. 그도 그럴 것이 내정되어 있었다면 은 일종의 대국민 사기극을 벌인 셈이 된다. 아무리 찌라시라지만 있을 수도 없는 일이고 또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다. 하루 간의 해프닝으로 끝난 일처럼 보이지만 이런 근거 없는 찌라시의 풍문이 버젓이 단독기사로 올라온다는 사실 뒤안길에는 섬뜩한 면이 있다. 사실과는 다른 이야기가 아예 사실처럼 둔갑되어 언론에 단독보도 되는 상황. 이건 정상적일 수가 없다. 만일 누군가 사실과 다른 그 풍문의 당사자로 지목된다면 그건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 개봉한 영화 는 이 네트워크로 얽혀 있는 우리 사회가 가진 집단적인 폭력의 ..
-
'제보자'가 우리에게 그토록 제보하고 싶었던 것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10. 6. 09:36
, 왜 모두가 아는 얘기를 영화로 만들었나 사실 의 이야기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다. 줄기세포 연구로 난치병 질환을 가진 이들의 희망이 되어버린 이장환 박사(이경영), 하지만 그것이 완전히 조작되었음을 제보하는 그와 함께 줄기세포 연구를 해온 심민호 팀장(유연석), 그리고 그 제보를 받아 진실을 파헤치는 의 윤민철 PD(박해일). 이 영화는 누가 봐도 이름만 바꿔 놓았을 뿐, 나라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황우석 사건’을 다루고 있다. 영화는 일찌감치 윤민철 PD의 입을 통해 관객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진실이 우선이냐 국익이 우선이냐”고. 그러자 돌아오는 답변이 기막히다. “진실이 국익”이라는 것이다. 바로 그 말 한 마디로 윤민철 PD는 온 나라가 열광하는 이장환 박사의 숨겨진 진..
-
'개인의 취향'이 말하는 취향의 개인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5. 6. 07:45
'개인의 취향', 그들의 취향이 매력적인 이유 '개인의 취향'의 '개인'에는 세 가지 의미가 들어있다. '맑게 개였다'고 할 때의 그 '개인', 집단과 대비되는 측면으로서의 '개인', 그리고 극 중 여성 캐릭터의 이름으로서의 '개인(손예진)'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의미는 한 가지로 귀결된다. 바로 '취향'이다. 따라서 이 드라마는 박개인이라는 여 주인공이 취향이라는 화두를 쥐고 겪는 이야기이며, 그 이야기를 통해 개인들이 집단 속에서 갖는 취향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말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물론 이 드라마는 각자의 취향을 선택하는 개인(중의적 의미로)의 일기가 '맑게 개는' 행복의 드라마이기도 하다. 저런 게이 남자친구 하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아마도 이 드라마를 보는 여성들의 한결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