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블로거의 시선

'이끼', 윤태호 작가에게 개인과 집단이란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끼'의 원작 만화가인 윤태호 작가를 만났습니다. 처음 보는 자리인데도 이미 몇 번 만난 듯한 익숙함과 편안함이 있었죠. 먼저 서로 들고 있는 아이폰으로 범핑을 하면서 어떤 동지의식 같은 것을 갖게 되었기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것보다는 윤 작가와 같은 해에 태어났다는 사실이 그런 익숙함을 만들어주었죠. 우리는 거의 비슷한 경험을 하며 어린 시절과 청소년 시절을 지내왔다는 그 바탕에서 쉽게 '이끼'라는 작품의 공감대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이끼'에 70년대 아버지 세대의 아픔이 묻어난다는 저의 말에 윤태호 작가는 당시 그토록 커보였지만 어느새 세월에 깎여 점차 고개를 숙이고 있는 아버지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그 때는 몰랐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아버지들이 겪은 그 힘겨움이 새록새록 느껴진다고. '이끼'에서 유목형(영화에서는 허준호)이라는 주인공 유해국(박해일)의 아버지는 그런 당대의 시대적 고통을 잘 말해주는 인물이라고 했습니다. 유목형이 월남전에서 겪은 트라우마를 벗어나고자 구원에 몰두한다는 사실이 그걸 말해주죠. 저는 이 '이끼'라는 작품이 결국 이 아버지 시대의 아픔이 마치 지금은 사라진 것 같지만 사실은 그대로이고, 그 부조리함과 숨겨진 폭력성을 그 아들인 젊은 세대 유해국이 파헤치는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포스터에서 유해국이 손에 손전등을 들고 어두운 터널 같은 곳을 비추는 그 장면은 따라서 지극히 상징적입니다. 어둠을 몰아내는 빛이라는 개념은 마치 중세시대의 어둠에 맞서는 르네상스의 빛 같은 뉘앙스를 풍기고, 이것은 그대로 그 상황이 반복되는 근대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시간을 잘 표상해냅니다. 짐승의 시간에서 이성의 시대로 넘어오는 그 과정이라고도 볼 수 있죠. 그 어둠의 마을 한 가운데 가장 높은 곳에 세워진 이장(정재영)의 집이 마치 파놉티콘 같은 인상을 주는 것은 그 때문입니다.

집단적인 통제의 시대에 개인이 말살되던 그 과정을 '이끼'라는 작품은 세세한 스토리와 탁월한 인물의 심리묘사로 잘 그려냈습니다. 여전히 그 집단적인 통제의 기제가 남아있는 마을에 들어간 한 개인 유해국이 이 마을의 분위기를 이상하고 낯설게 여기는 것은 이 마을 공간의 시간이 그 과거에 그대로 멈춰있는 듯한 느낌을 주기 때문일 것입니다. 윤태호 작가에게 집단과 개인이 어떤 의미인지가 궁금해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 작업에 어느 정도 참여했기에 혹 영화에 앞으로도 발을 담글 생각은 없느냐고 넌지시 묻자 윤태호 작가는 강하게 고개를 저었습니다. "차라리 그 에너지로 만화를 그릴 것입니다." 창작에 있어서 영화와 웹툰의 차이는 그 주체가 집단이냐 개인이냐로 나누어질 것입니다. 그 작업의 차이는 어떤 것이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윤태호 작가는 웹툰 같은 작업은 자신의 창의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려 마음껏 풀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영화 같은 집단 작업은 더 많은 사람들의 공감대를 끌어모아야 한다는 점에서 좀더 대중적인 소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했죠.

물론 영화가 가진 집단 작업은 나름의 창의적 방식이 구현되지만, 윤태호 작가가 생각하기에 웹툰 같은 1인 작업이 창의적인 작업에는 훨씬 더 도움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물론 비용도 적게 들기 때문에 그만큼 리스크가 적다는 장점도 있죠. 따라서 영화 같은 집단 작업이 웹툰이나 소설 같은 개인작업과 상보적인 관계를 가져야한다는 얘길 했습니다.

사실 이건 '이끼'라는 영화가 말하는 개인과 집단이 어떻게 서로 관계를 맺어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이기도 했습니다. 우리는 집단에 매몰되서도 또 개인에 매몰되서도 곤란한 개인적인 존재이면서도 사회적인 존재죠. 짧은 시간이지만 윤태호 작가와의 대화는 제게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습니다. 물론 '이끼'라는 작품에 대해서도 말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