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밥 백선생
-
주중 9시40분, 비지상파의 예능 선전포고옛글들/명랑TV 2015. 6. 11. 10:09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드라마대신 쿡방? 주중 10시는 지상파들이 구축해 놓은 드라마 시간대다. 지상파에 이 시간대가 갖는 의미는 크다. 3사가 경쟁을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시청자들에게는 암묵적으로 밤 10시 드라마를 보는 시청패턴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 공고하게만 여겨졌던 주중 10시 시간대의 드라마 시청 패턴에 조금씩 변화가 생겨나고 있다. 물론 시청률 추산방식의 문제 때문이기도 하지만 주중 드라마 시청률은 최근 계속 떨어지고 있는 추세이고, 이제 10% 넘기는 것이 쉽지만은 않은 지경에 이르렀다. MBC 같은 사극의 시청률을 보라. 과거 MBC의 월화 사극 시청률이 20% 이상 심지어는 40%를 넘겼던 걸 생각해보면 이제 10% 남짓에 머물러 있는 이 사극의 시청률은 한 ..
-
괜찮쥬? 방송천재, 백선생의 대중요리법옛글들/명랑TV 2015. 6. 4. 09:11
의 고급진 방송 레시피 1997년 1인 토크쇼들이 우후죽순 쏟아져 나오던 그 시기에 에서는 ‘참참참’이란 코너로 토크와 요리를 접목한 독특한 콘셉트를 선보였다. 하지만 이 맛좋은 야참을 만들며 이야기를 나누는 ‘참참참’에서 요리는 하나의 양념일 뿐이었다. 그보다 중요한 건 게스트. 그래서 방송이 끝나고 나면 어떤 요리를 만들었는가보다 그 요리를 누가 만들었느냐가 더 주목되었다. 하지만 그로부터 20여 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새로운 요리와 토크가 어우러진 스튜디오 프로그램에 푹 빠져있다. JTBC 나 tvN , 같은 이른바 쿡방 프로그램들이 그것이다. 이들 프로그램들은 그러나 게스트보다는 그 날의 요리에 대한 집중이 두드러진다. 프로그램이 끝나고 나면 게스트의 이야기만큼 요리 이야기가 쏟아져 나온다. 모두..
-
왜 백선생 백선생 하는 줄 아세유?옛글들/명랑TV 2015. 5. 28. 08:33
백선생을 보면 지금의 방송 트렌드가 보인다 구수한 충청도 사투리에 푸근한 인상. 백종원은 셰프라는 지칭보다는 친근한 아저씨의 느낌이 더 강하다. 그래서일까. 별명도 참 많다. MBC 에서 ‘백주부’로 등장한 그는 설탕을 자주 쓰는 모습이 등장하면서 ‘슈가보이’라는 별칭이 붙었고, 카메라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추를 사용하면서 ‘칠리보이’라는 애칭이 생겼으며, 네티즌들의 실시간 댓글과 지적에 대해 일일이 반응하며 사과하는 모습을 보여 ‘애플보이’라는 별명도 붙었다. tvN 은 백종원의 이 캐릭터에 ‘백선생’이라는 새로운 캐릭터를 덧붙였다. 물론 에서도 네티즌들에게 요리 꿀팁을 알려주는 요리 선생의 면모를 과시했지만, 은 아예 형식 자체가 요리 수업이다. 그런데 이 요리 수업, 어딘지 우리가 방송에서 많이 봐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