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
-
갈수록 '말하는대로'에 귀 기울이게 되는 까닭옛글들/명랑TV 2017. 1. 6. 09:12
, 이들의 소소하지만 위대한 이야기들 어느 겨울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저녁, 홍대의 한 카페에 사람들이 둘러앉았다.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다. 누군가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그걸 듣고 느끼며 공감하는 시간. 이건 어쩌면 그리 대단한 일은 아닌 것처럼 보인다. 우리가 눈 뜨면 늘 하는 것이 바로 그 말하고 듣는 일들이 아니던가. 하지만 처음 만난 사람들이 그 말을 통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한다는 건 사실은 놀라운 일이다. 각자 다른 사람들이지만 때론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다는 걸 확인하는 순간, 어떤 알 수 없는 위로나 위안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JTBC 는 아주 소소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건 마이크 하나면 충분하니까. 누군가 초대된 인물이 그 마이크를 들고 어떤 생각을 이야기하면 모여든 ..
-
'화랑', 상처 많은 청춘 박서준, 치유해주는 고아라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1. 5. 10:21
이 유골무죄 무골유죄 청춘을 보듬는 방식 “유골무죄 무골유죄.” 골품이 있으면 죄가 없고 골품이 없으면 죄가 있다? 이 조어는 ‘유전무죄 무전유죄’를 삼국시대 신라의 골품제도에 빗댄 말이다. 지금으로 치면 금수저 흙수저의 신라 버전쯤 될까. KBS 월화드라마 이 그려내는 청춘들은 당대의 골품제도라는 태생적인 틀에 묶여 꿈이 있어도 펼칠 수 없는 처지에 놓여있다. 무명(박서준)은 그 골품제도에 의해 많은 상처를 갖고 있는 인물이다. 어린 시절부터 천인촌에서 함께 자라온 둘도 없는 친구 막문(이광수)이 그 신분제의 틈바구니에서 비참한 죽음을 맞이했다. 누이를 찾기 위해 왕경을 넘었다는 죄로, 또 절대 신분이 노출되면 안 되는 성골 삼맥종(박형식)의 얼굴을 봤다는 죄로 막문이 죽음을 맞이하고 가까스로 살아남은..
-
'구미호'는 왜 매년 만들어지는 걸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7. 6. 08:35
변신 스토리는 우리네 옛이야기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룬다. 고조선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에서도 이 변신 스토리가 들어있을 정도. 동물은 인간이 되기 위해 인고의 세월을 버텨낸다. '구미호' 이야기는 인간이 되기를 희구하는 천년 묵은 여우의 이야기다. '전설의 고향'의 단골 소재로서 '구미호' 이야기는 매년 반복되어 제작되어왔다. 누가 '구미호' 역할을 할 것인가는 당대의 인기 있는 여배우를 가름하는 일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한동안 사라지기도 했지만 '구미호' 이야기는 계속 명맥을 이어가며 1977년부터 현재까지 무려 30여 년을 관통하고 있다. 도대체 이 이야기의 무엇이 이토록 시대를 넘어 리메이크되게 하는 걸까. '구미호' 이야기는 보수적이면서도 파격적이다. 이 이야기의 기반은 다름 아닌 보수적인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