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그리맘' 김희선 무리수 설정이지만 판타지 강한 까닭

 

잔혹한 학교 폭력을 당한 딸을 가진 엄마들의 마음은 어떨까. 온몸에 멍투성이 피투성이가 된 딸을 보는 그 마음도 똑같이 멍투성이 피투성이일 게다. 폭력이 벌어져도 쉬쉬하기 바쁜 학교와 피해자보다 가진 자들의 눈치를 더 보는 교육당국, 그래서 오히려 피해자들의 침묵을 강요하는 현실과 처벌을 받아도 피해자가 또다시 보복을 당하게 되는 상황 속에서 아무런 도움도 되지 못하는 엄마들은 무너져버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앵그리맘(사진출처:MBC)'

<앵그리맘>은 그 피해 학생 엄마의 이야기를 다룬다. 딸 오아란(김유정)이 심각한 학교 폭력에 내몰려 있다는 걸 알게 된 엄마 조강자(김희선)는 법의 도움을 청하기 위해 박진호(전국환) 소년부 판사를 찾아가지만 거기서 충격적인 장면을 목격한다. 학교 폭력과 대항해 끝까지 싸웠던 한 엄마의 오열. 결국 아이가 자살을 했다는 것이다. 조강자는 법 또한 딸을 보호해줄 수 없다는 현실에 발길을 돌린다.

 

그런데 이 조강자의 다음 행보는 엉뚱하다. 딸의 문제를 해결하고 복수하기 위해 여고생으로 위장해 학교에 들어가는 것. 그녀는 한 때 잘 나가던 전설의 주먹이다. 여고생들의 성희롱을 일삼는 선생님을 혼내주기도 하고, 학교 짱을 단 한 방에 쓰러뜨린 인물. 학교에 잠입한 조강자는 딸의 책상에 새겨진 저주의 말들에 오열하고 딸을 괴롭히던 여고생들을 한방에 제압해버린다.

 

딸의 복수를 위해 여고생으로 잠입하는 <앵그리맘>이라는 설정은 무리한 점이 많다. 먼저 여고생을 딸로 둔 애엄마가 제 아무리 동안이라도 여고생으로 학교에 전입해 들어온다는 게 현실적일 수는 없다. 그나마 최강 동안인 김희선이 그 역할을 맡았으니 어느 정도는 보게 되는 것이지만 이 무리수는 <앵그리맘>이 제아무리 드라마라고 해도 거의 만화 같은 상황을 만들어낸다.

 

게다가 조강자가 폭력에 맞서는 건 또 다른 폭력이다. 그녀 역시 학창시절의 주먹이 아니었던가. 물론 정의의 주먹이라고 말하겠지만 그래도 폭력은 똑같은 폭력일 수밖에 없다. 드라마적이고 판타지적인 설정이지만 학교의 폭력 문제는 냉엄한 현실이다. 그 현실의 고통은 상상하기조차 어려운 것이다. 그런 교육 시스템 전체의 문제를 단순히 폭력의 문제로 다루고 그 해법 또한 단순한 폭력으로 보여주는 건 드라마라도 너무 지나치다고 여겨질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런데 흥미로운 건 이 많은 무리수들에도 불구하고 <앵그리맘>에 대한 판타지는 꽤 크다는 점이다. 현실성 없는 이야기이고, 올바른 해법이라고도 말할 수 없지만 이처럼 판타지가 큰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다. 드라마가 제시하고 있는 것처럼 현실이 이렇게 부조리한 교육 시스템에 어떤 조처나 대안을 전혀 내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앵그리맘>은 벽처럼 느껴지는 현실 앞에서 잠시지만 강력한 판타지가 된다.

 

거기에는 이런 현실에 무력하기만 한 엄마들의 자식들에 대한 부채감이 들어가 있다. ‘보호자가 보호해줄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아이들은 저 스스로 싸울 수밖에 없다는 조강자의 자각은 그래서 엄마들의 부채감을 잘 드러내는 대목이다. 조강자라는 판타지는 이 부채감을 먹고 탄생한 것이다. 시스템이 해결 못하는 걸 직접 뛰어들어 해결하는 엄마라는 판타지.

 

물론 <앵그리맘>은 전혀 현실적이지 않다. 심지어 만화적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현실을 건드리는 면이 존재한다. <앵그리맘>의 판타지가 강하면 강할수록 그것은 절대로 변하지 않는 공고한 현실을 그것이 에둘러 말해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것이 심지어 엄마가 여고생이 되는 무리수마저 허용하게 하는 이유일 것이다.

 

무엇이 학교를 눈물 흘리게 하나

 

한 중학생 아이는 학교폭력에 시달리다 아파트 베란다에서 투신자살했다. 아이의 엄마는 전혀 상상도 못했던 내용이 유서에 적혀있는 것을 보고는 심지어 “무슨 소설을 본다는 생각을 했다”고 했다. 같은 또래 아이들이 벌을 세우고, 전선으로 목을 감고 끌고 다니고... 얼마나 그것이 고통스러웠으면 자살로 그 맞는 아픔을 더 이상 끝내고 싶었을까.

 

'학교2013'(사진출처:KBS)

<SBS스페셜>이 기획한 <학교의 눈물>은 사회면을 뜨겁게 만들었던 대구에서 벌어진 고 권승민군에게 벌어진 끔찍한 학교폭력과 자살 이야기부터 시작했다. 가족 모두가 우울증에 그냥 죽고 싶은 마음이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고, 특히 권승민군의 형은 “가해자 애들 다 죽여버리고 자기도 죽여버리겠다”며 피가 나도록 벽을 주먹으로 쳐댔다고 했다. 왜 안 그렇겠나. 자신들의 일부 같은 가족이 그런 처참한 고통을 겪고 세상을 버렸는데.

 

문제는 가해자의 44%가 피해경험이 있다고 말한 것처럼 피해자가 다시 가해자로 둔갑하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한 왕따를 심하게 당해왔던 아이는 자신이 유일하게 의지했던 친구가 배신하자 분노를 참지 못하고 친구를 때려 가해자가 되었다. 그 아이는 뒤늦게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그 행동을 후회하게 되었지만 결국 학교는 아이에게 자퇴를 권유했다.

 

한편 가해자가 되어버린 아이 역시 처음에는 아주 소소하게 시작되었다가 어느 날 갑자기 자신이 무려 십여 명을 상대로 돈을 뜯어내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고는 깊이 후회하고 있었다. 또 여전히 학교에서 왕따를 당하며 담배 심부름을 하는 아이는 그 분노를 가족에게 풀기도 했다. 도대체 우리네 학교는 어째서 학생들이 피해자 혹은 가해자가 되어 뒤늦게야 통한의 눈물을 흘리게 만드는 걸까.

 

다큐멘터리 <학교의 눈물>이 던지는 질문에 대해서 드라마 <학교 2013>은 그 단서를 제공해준다. 끝없는 입시경쟁으로 학생들조차 선생님에게 입시 관련 공부만을 요구하고, 학교는 오로지 명문대에 얼마나 많이 보내는가 같은 실적에만 혈안이다. 그래서 이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학생들의 얼굴에는 웃음이 없다. 그들은 늘 폭발하기 일보 직전의 분노를 품고 있거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을 뿐, 청소년기에 품어야 할 꿈같은 것은 꿀 여유조차 없다.

 

도대체 무엇이 이 아이들의 학교생활을 마치 하루하루를 버텨내야할 시간으로 만들어버린 걸까. 일진이었다가 사고를 친 후 전학 와서 마음잡고 살아가려 노력하는 고남순(이종석)이나, 그의 친구였지만 피해자가 되어 다리를 다치는 바람에 선수의 꿈을 포기하게 된 박흥수(김우빈)나, 그저 공부하는 기계가 되어버린 송하경(박세영), 가정폭력에 시달리며 비뚤어져 버린 오정호(곽정욱), 치맛바람에 휘둘리는 김민기(최창엽) 같은 아이들은 모두 자신들이 원하지 않았어도 가해자 혹은 피해자가 되어버린 아이들이다.

 

<학교의 눈물>에서 학교폭력의 가해자들에게 판결을 내리던 판사는 이렇게 말했다. “학교폭력의 일차적 책임은 아이가 아닙니다. 사회가 만든 겁니다. 이 아이들 전부 대한민국의 아이들 아닙니까.” 결국은 도무지 이해할 수조차 없는 엄청난 일을 저지른 아이들을 그 벼랑 끝까지 내몬 것은 결국 어른들이다. 학교가 아이들의 꿈이 되지 못하고, 아이들을 경쟁이라는 매질로 학대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학교의 눈물은 그칠 수 없을 것이다. <학교의 눈물>이 실험하겠다는 ‘소나기 학교’에 자꾸만 희망을 걸게 되고, <학교 2013>의 이상처럼만 보이는 정인재(장나라) 선생이 현실이 되기를 기대하는 건 그런 이유 때문일 게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