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한석규와 송중기|세종을 입고 재발견되다

728x90


세종의 무엇이 그들을 날게 하는가

'뿌리깊은 나무'(사진출처:SBS)

사실 이건 대단한 오해다. 한석규는 지금껏 많은 작품을 통해 다양한 연기의 결을 보여 주었다. '쉬리' 같은 작품에서 액션을 보여줬다면 '8월의 크리스마스'에서는 차분하고 잔잔하지만 그 밑에 출렁대는 내밀한 감정의 멜로를 보여줬고, '넘버3' 같은 작품에서는 한없이 껄렁껄렁한 삼류 깡패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물론 '음란서생' 같은 사극에서도 그의 진가는 그대로 드러났고 '이층의 악당' 같은 로맨틱 코미디에서도 그 존재감은 여전히 빛났다. 그런데 우리는 이상하게 한석규를 광고 속에 그 중후한 목소리로 기억하곤 한다. 이건 아마도 한석규의 TV출연이 많지 않은데다, 그가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서의 성대모사의 대상으로서 소비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니 그런 일면적인 면만 갖고 있을 거라 생각한 한석규라는 배우가 '뿌리 깊은 나무'에서 세종 이도를 연기하는 모습에 대중들이 놀라는 건 당연한 일이다. 더욱이 이 작품의 세종은 우리가 교과서를 통해 막연히 생각했던 그런 세종이 아니다. 아버지 태종 이방원(백윤식)의 밑에서 그 피의 집권을 바라보며 깊은 트라우마로 갖고 있는 왕이며, 그래서 태종과는 달리 백성 하나의 목숨에도 눈물을 흘리고 애통해하는 그런 왕이다.

게다가 때론 저잣거리 농담에서부터 욕을 툭툭 뱉어내기도 하고, 속으론 아파하면서 겉으론 웃으며 신하들 앞에 꼿꼿한 자세를 유지하는 인물이며, 자신의 아픈 마음을 알아주는 이가 겨우 나인 소이(신세경)에 불과할 정도로 외롭고 고독한 왕이다. 이런 복잡한 심사를 가진 역할을 제 옷 입은 듯 자연스럽게 소화해내는 일은 실로 어려운 일이다. 한석규라는 배우가 우리 앞에 툭 불거져 나와 보이는 건 그 깊은 오해를 삽시간에 무너뜨리는 농익은 연기력과 세종이라는 섬세하고 입체적으로 잘 구축된 캐릭터가 만났기 때문이다.

이런 오해는 송중기도 마찬가지다. 꽃미남이라는 칭호의 대변자처럼 예쁘장한 얼굴은 어쩌면 송중기라는 다양한 스펙트럼이 가능한 배우의 진면목을 가리고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트리플'의 지풍호라는 캐릭터에서도 그는 꽃미남의 이미지 속에 있었고, 그의 존재감을 한껏 높여준 '성균관스캔들'이라는 사극에서조차도 그는 꽃미남 선비에 갇혀 있었다. 그래서 송중기가 젊은 세종 이도의 역할을 한다고 했을 때 대중들이 어딘지 어울리지 않는다 여겼던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하지만 송중기는 '뿌리 깊은 나무'의 첫 회에 첫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부터 이런 꽃미남 이미지를 보기 좋게 부숴버렸다. 송중기는 아버지 태종의 말 한 마디에 친인척은 물론이고 자신의 장인까지 죽는 것을 바라보기만 해야 하는 세종의 깊은 트라우마를 연기해냈다. 동시에 어딘지 겉으론 유약해보이지만 내면 깊숙이 백성 하나를 살리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걸 만큼의 강인함 또한 보여주었다. "내가 조선의 왕이다! 감히 왕을 참칭하지 말라!"고 그가 아버지 태종에게 소리치는 장면은 그래서 송중기라는 유약해 보이는 꽃미남 배우가 껍질 하나를 벗어던지는 장면처럼 보여지기도 했다.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젊은 세종에서부터 나이 지긋한 세종의 두 역할에 걸쳐 송중기와 한석규 이 두 연기자를 다시 발견하게 된 이유는 도대체 뭘까. 그것은 아마도 이 작품이 가진 세종이라는 인물의 매력 덕분일 것이다. 이 작품은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왕이면서도 사실은 가장 몰랐던 왕, 세종을 성공적으로 그려냄으로서 결국 세종이란 왕을 재발견하게 만들고 있다. 그러니 그 캐릭터를 입은 송중기와 한석규 또한 그들이 가졌던 본래 연기자로서의 진면목을 드러내고 있는 것일 게다. 그들 역시 우리가 잘 알고 있었지만 사실은 잘 몰랐던 연기자들이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