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산체 없는 '삼시세끼' 상상할 수 있나요 본문

옛글들/명랑TV

산체 없는 '삼시세끼' 상상할 수 있나요

D.H.Jung 2015. 2. 2. 09:28
728x90

<삼시세끼>, 말 못하는 산체 힐링의 존재 된 까닭

 

tvN <삼시세끼> 어촌편에 첫 게스트로 출연한 손호준에게 산체는 어떤 의미였을까. 어색하고 부담스럽기 이를 데 없는 대선배들을 찾아온 손호준은 낮잠을 자는 그들을 깨우지 못할 정도로 어려워했다. 그 불편한 첫 만남에서 그를 반겨준 건 다름 아닌 이 만재도의 귀요미로 자리한 산체였다. 손호준은 보자마자 산체에게 푹 빠져 연실 뽀뽀를 해댔다.

 

'삼시세끼(사진출처:tvN)'

<삼시세끼> 강원도편의 밍키에 이어 만재도편에서는 산체가 화제다. 너무 작아서 방안에서조차 숨어버리면 찾기 어려운 이 어린 강아지는 아직까지 거친 어촌의 바깥을 적응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방안에서 지낼 수밖에 없는데 특유의 귀여운 자태(?) 때문에 출연자들의 사랑을 독차지 하고 있다.

 

유해진도 바깥일(낚시)을 하고 돌아오면 먼저 방안의 산체를 들여다보기 일쑤다. 방안에 싼 앙증맞은 똥을 치워주고 끼니 때가 되면 딱 50일씩 줘야 하는 사료에 덤으로 10알을 얹어주며 애정을 과시한다. 차승원 역시 힘든 하루를 보내고 난 후 산체와의 망중한을 보낸다. 커다랗지만 지친 몸들이 자그마한 산체와 토닥거리며 장난을 칠 때, 그들은 잠시 동안의 힐링을 맞본다.

 

잠깐 잠깐 등장하는 것뿐이고, 게다가 뭔가 특별한 행동을 하는 것도 아닌데 산체에 대한 관심은 출연자들 이상이다. 혹자는 산체를 보기 위해 <삼시세끼>를 본다는 얘기를 한다. 그만큼 산체 없는 <삼시세끼>는 이제 상상할 수 없는 일이 됐다. 도대체 이 말 못하는 강아지의 어떤 마성의 미력이 대중들을 사로잡았을까.

 

<삼시세끼>의 산체가 출연자들에게 주는 힐링은 아마도 반려견을 키우는 이들에게는 모두가 공감할 수밖에 없는 일이 될 것이다. 직장 생활의 고된 하루를 보내고 집으로 돌아왔을 때 아무런 조건도 없이 달려와 가슴에 안기는 반려견의 그 따뜻함은 하루의 고단함을 순식간에 날려버리는 힘을 발휘한다. 폭풍이 몰아치고 때론 눈보라가 날리는 어촌에서 한 끼 한 끼를 챙겨먹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그들이 잠시 그 현실에서 벗어나 마음의 평안을 얻는 존재가 바로 산체다.

 

그래서 그 작은 방안에서 산체와 노니는 출연자들의 모습은 마치 그들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 한없이 푸근해지고 따뜻해지는 마음이 그 작은 방안에서 느껴지기 때문이다. 산체는 그렇게 아무 말도 하지 않으면서도 그 방을 찾는 이들의 마음을 건드린다. 그는 어느새 출연자는 물론이고 그 느낌을 고스란히 전해 받는 시청자들에게도 힐링의 존재가 된 것이다.

 

물론 나영석 PD는 이를 우연한 결과라고 말하지만 결코 그냥 일어난 일은 아니다. 거기에는 나영석 PD를 위시한 제작진들의 세심한 편집과 연출의 힘이 들어 있다. 산체라는 존재 자체가 귀요미인 것만은 분명하지만, 그것을 극대화한 건 연출의 몫이 있었다는 점이다. 출연부터 슬로우모션으로 달리는 산체의 모습을 마치 거친 야생의 동물처럼 표현한 건, 본래의 모습과 반전효과를 주며 시청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냈다.

 

그리고 출연자들마다 한 번씩 이 귀요미에 빠져드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산체의 존재감은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연출을 통해 힘겨운 바깥의 생활이 끝난 후 산체를 찾는 출연자들의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준 것은 산체를 휴식힐링의 존재로 각인시켰다. 이러니 거기에 빠져들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

 

과거 <12>의 상근이부터, <삼시세끼> 강원도편의 밍키, 그리고 만재도편의 산체까지 하나같이 귀여움을 독차지하게 된 것은 그들의 존재자체가 주는 매력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들의 행동에 일정한 스토리텔링을 투사해 만들어낸 캐릭터의 힘이기도 하다. 그가 힐링의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는 걸 이해한다면 이제 산체를 보기 위해 <삼시세끼>를 본다는 말이 그저 과장이 아니라는 데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