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기억', 집단적인 알츠하이머에 걸린 사회에 고함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기억', 집단적인 알츠하이머에 걸린 사회에 고함

D.H.Jung 2016. 4. 17. 08:44
728x90

<기억>, 알츠하이머 소재를 이렇게 다루다니

 

기억이라는 소재는 드라마에서 여러 번 다뤄졌다. 흔하디흔했던 과거 신파극의 설정 중 하나가 기억 상실이고, 이런 전통은 최근 막장드라마들에서도 많이 다뤄졌다. 하지만 최근 기억의 문제는 알츠하이머라는 구체적의 질환의 문제로 다뤄진다. ‘기억 상실의 문제에 불치병이라는 소재가 얹어지기 마련이다.

 


'기억(사진출처:tvN)'

JTBC <기억>이라는 드라마도 표면적으로 보면 이러한 기억 상실의 소재가 갖고 있는 극적 장치에 기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그저 거기에 머물지 않는다. 알츠하이머라는 소재를 가져오고 있지만 그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을 표징하고 있다는 데서 놀라운 이 드라마의 무게감이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드라마는 기억 상실이 갖는 그런 속물적이고 식상하기까지 한 극적 장치에 기대지 않는다. 대신 이 드라마는 고발하고 있다. 우리 사회가 알츠하이머에 걸려 있다는 것을.

 

박태석(이성민)이라는 성공한 로펌 변호사는 비로소 알츠하이머라는 판정을 받고 나서야 자신이 어떤 짓들을 해왔는가를 각성하게 된다. 이를 다른 말로 하면 이제 기억을 곧 잃어버릴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후에야 기억의 소중함을 알게 됐다는 이야기다. 태석이라는 인물의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사실은 이건 우리 이야기다. 우리 사회가 얼마나 쉽게 많은 것들을 지워버리고 덮어버리며 심지어 그런 일은 없었던 것처럼 치부하며 앞만 보고 달려왔는가에 대한 이야기.

 

그 많은 사건들과 사고들을 덮어버리는 장본인들은 돈을 받고 뒤처리를 해주는 변호사들 같은 존재들이다. 그들은 피해자들을 위해 변호하는 것이 아니라 가해자들의 죄를 덮기 위해 법을 이용한다. 갖가지 구실을 만들고, 그것이 안 되면 상대방의 약점을 잡아 협박을 일삼는다. 그래서 절대 잊으면 안 될 것 같은 사건들을 유야무야 흐릿하게 만들어버린다. 또 한 편에서는 하루하루 밥벌이에만 몰두하게 만드는 생존환경을 만들어낸다. 결코 잊어서는 안 되는 끔찍한 사건들이지만 이 알츠하이머를 의도적으로 만드는 사회 시스템 속에서 사람들의 기억은 자꾸만 잊혀져 간다.

 

삼풍백화점이 무너져 502명이 사망했고, 성수대교가 붕괴되어 32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당했으며, 청소년 수련시설인 씨랜드에 벌어진 화재로 무고한 아이들 23명을 하늘나라로 보냈다. 대구 지하철에서는 방화로 인해 무려 340명의 사상자를 냈다. 그리고 2년 전 제주로 가던 세월호가 진도 인근에서 침몰해 295명이 사망하고 9명이 실종되었다. 어마어마한 사건들이 끊임없이 터져 나왔지만 그 때만 반짝 피눈물을 흘리고 나서는 어찌된 일인지 우리는 마치 그런 일들이 없었다는 듯 하루하루를 바쁘게 살아가고 있다. 이건 마치 알츠하이머에 걸린 사회 같다.

 

사회는 그 많은 잊지 말아야 될 기억들을 기억하기보다는 덮어버리고 앞으로 달려가야만 우리가 생존할 수 있다는 분위기로 흘러간다. 조장된 빨리 빨리는 뒤돌아보지 말 것을 요구한다. 하지만 뒤돌아보지 않고 기억하지 않고서는 우리는 또 다른 피눈물을 흘려야 할 것이다. <기억>이라는 드라마가 알츠하이머라는 병에 걸려서야 비로소 각성한 태석이라는 인물을 그려내는 건 여러모로 이런 우리 사회의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그 끄트머리에 죽은 태석의 아이의 문제를 세워두는 것도 그래서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실로 기가 막힌 드라마가 아닐 수 없다. 알츠하이머라는 소재를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이토록 확장해 우리 사회의 문제로 환원시키고 표징 해낸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이건 머리로 쓴 드라마가 아니다. 가슴으로 쓴 드라마다. 그 많은 아픔들을 가슴 깊이 새긴 채 피눈물을 토하며 쓴 드라마이기 때문에 인물들의 이야기에 우리 사회에 대한 이만한 날카로운 메시지를 던질 수 있었을 것이다. 보면 볼수록 섬뜩하게 가슴을 울리는 드라마다. 알츠하이머에 걸린 사회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