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송혜교·송중기의 선택, 우리도 그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728x90

‘군함도’, 이런 판을 만들어준 류승완 감독에게 박수를 

지난해 송혜교는 미쓰비시 자동차 회사의 중국 광고 모델을 거절했다. 미쓰비시는 다름 아닌 최근 개봉한 <군함도>의 실제 모델인 하시마섬(군함도라 불림)에서 탄광을 운영했던 ‘전범기업’이다. 최근에 송혜교의 공개 연인인 송중기는 <군함도>를 찍었다. 그는 기자 간감회에서 송혜교 광고 거절 사실을 언급하며 마음으로 박수를 보냈다고 했다. 

사진출처:영화<군함도>

아마도 <군함도>를 보고 나오는 관객들의 마음이 마치 송중기가 송혜교에게 마음으로 박수를 보냈던 그 마음이지 않을까. 결코 제작환경이 녹록치 않은 작품이다. 군함도 실제 크기의 2/3에 해당하는 초대형 세트를 제작했고 적지 않은 배우들과 엑스트라들이 참여했다. 실제를 방불케 하는 탄광 내에서의 혹독한 환경을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 조명과 각도까지 세심하게 배려한 흔적이 역력하다. 

황정민, 소지섭, 이정현, 송중기 등 원톱을 해도 충분히 가능한 배우들이 이 영화 하나에 기꺼이 모이게 된 것도 그저 우연이라 보기 어렵다. 거기에는 물론 류승완 감독에 대한 신뢰가 그 기반이었을 테지만, 그것보다도 다름 아닌 군함도라는 실제 우리네 역사의 아픈 생채기를 다시금 복원한다는 그 뜻이 주는 무게감도 적지 않을 것이다. 

MBC <무한도전>이 대중들에게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이 군함도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을 때 우리를 공분하게 만든 건 그 곳이 근대화의 상징처럼 포장되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관광객들의 관광 상품이 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물론 유네스코측은 그 곳의 역사적 사안들을 공개하라고 요구했지만 지금껏 이는 묵살되어오고 있다. 

어른은 물론이고 여자, 아이들까지 동원되어 탄광 속에서 사투를 벌였던 그 역사적 사실이 묻히고 있는 현실 속에서 <군함도>라는 영화 한 편이 주는 가치는 빛날 수밖에 없다. 아시아는 물론이고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류스타들의 해외에서의 입장을 떠올려보며 선뜻 선택하기 쉽지 않은 작품이었을 테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했던 건 ‘전쟁의 참혹함’이 그렇게 묻히고 사라지는 사안의 중대함이 아니었을까. 

<군함도>는 실제 현실이 아마도 더 참혹했을 영화다. 하지만 자극은 오히려 사안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류승완 감독은 영화가 너무 자극적으로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그렇게 희석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참혹한 상황들을 바라보는 건 괴롭기 그지없다. 

그렇지만 그 괴로움을 털어내기 위해 괜한 판타지로 채색할 수도 없는 일이다. 그래서 <군함도>는 있는 사실을 재현하는데 충실한 한편, 조선인들의 탈출기라는 가상의 이야기를 덧붙였다. 살아남기 위한 사투와 그 안에서 엮어지는 휴머니즘, 그리고 무엇보다 친일에 대한 엄중하고 날선 비판의식을 세웠다. 

현재의 촛불집회를 연상시키는 장면들을 집어넣어 당대의 군함도에서 있었던 이야기가 그 때 그 곳의 특정한 사건이 아니라 지금 현재에도 한번쯤 반추해 봐야할 사안이라는 여운도 남겨뒀다. 괜한 반일 감정을 부추기는 영화라기보다는 전쟁이라는 상황 속에서 벌어지는 지옥도를 끄집어냄으로써 ‘반전 영화’의 방향성을 확실히 드러냈다. 

영화는 결코 즐거울 수 없고 통쾌함을 느낄 수도 없으며 또 그래서도 안 된다. 이것은 일종의 전쟁으로 인해 희생된 분들을 위한 진혼곡에 가깝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래도 영화를 보며 우리는 묵직한 울림을 느낄 수 있다. 특별한 이야기를 하지 않더라도 이역만리에 끌려 온 한 소년의 “고향으로 가고 싶어요”라는 외침 하나에 모든 것이 다 들어있기 때문이다. 

송혜교는 광고를 거부했고 송중기는 그런 그녀에게 마음의 박수를 보내며 <군함도>에서 열연을 보였다. 그리고 이제 객석에서 그 고통의 역사를 공유하며 우리들도 그 대열에 참여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런 판이 가능하게 해준 류승완 감독에게 진심어린 박수를 보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