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택시운전사', 송강호는 왜 그 맨발에 신을 신겨주었을까

728x90


사람이라면 응당.. '택시운전사'가 광주를 담는 방식
망자의 맨발은 우리에게 많은 이야기를 건넨다. 왜 그토록 더럽혀지도록 그 맨발이 수고를 다했을까. 무슨 일이 있었기에 맨발인가. 살아생전에 쉬지 않고 어딘가로 데려다주곤 했으나 이제 겨우 그 끝에 이르러 영원한 휴식에 들어간 고마움과 미안함 같은 감정들이 그 맨발에 묻어난다. 그래서 그 망자의 맨발에 신발을 굳이 신겨주고픈 마음은 사람이라면 응당 그러고픈 인지상정일 것이다.

사진출처:영화<택시운전사>

영화 <택시운전사>에서 만섭(송강호)은 독일의 외신기자 피터(토마스 크레취만)를 손님으로 태우고 광주로 들어가기 전까지만 해도 그토록 많은 맨발들을 맞이하게 될 줄 전혀 몰랐다. 만섭은 자신의 영업을 위해서라도 대학생들이 데모 좀 그만 했으면 하는 그런 생각을 가진 소시민이었으니까. 그에게 ‘독재타도’ 같은 대학생들의 구호가 남다른 의미로 있었을 리 없다. 그저 자신의 유일한 가족 딸을 위해 쉬는 날도 거르고 택시를 운전하는 게 그의 삶의 유일한 목적이었을 테니.

신발 좀 구겨 신지 말라고 하는 만섭에게 딸이 신발이 작다고 말하는 대목에서 느껴지는, 두 사람이 마주하고 있는 현실의 무게는 ‘80년 광주’라는 어마어마한 비극 앞에서도 결코 소소하게 다가오지 않는다. 누구에게나 저마다 신고 달려야 하는 신발의 무게는 있는 법이고, 그것은 어떤 상황에서도 폄하될 수 없는 일이니 말이다.

하지만 어쩌면 그 딸에게 새 신발을 사주기 위해 벌어야 할 돈 몇 푼에 광주로 들어가게 된 만섭은 도저히 방외인으로서의 입장을 고수할 수 없는 참담한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 자기 일처럼 다친 이들을 실어 나르는 택시기사들과 그 택시에 돈도 받지 않고 기름을 채워주는 주유소 사장, 그리고 사람이 모여드는 곳에서 주먹밥을 나눠주며 우리는 결코 타인이 아니라는 걸 몸소 실천하는 이름 모를 젊은이들 속에서, 그들이 총칼에 쓰러지는 걸 결코 남의 일로 치부할 수 없게 된 것.

영화 <택시운전사>는 만섭의 시선에 비친 신발의 이미지를 곳곳에 배치해놓는다. 병원 가득 메운 부상자들과 사상자들의 맨발이 그의 눈에 들어오고, 거리에서 군인들의 군홧발에 질질 끌려가다 벗겨지는 신발이 들어온다. 하지만 그는 또한 딸의 그 꺾어진 신발을 떠올린다. 딸에게는 유일하게 자신이 신발이 되어줄 수 있는 사람이라는 사실은 그 곳의 더 이상 타자가 아닌 이들의 고통 앞에서 만섭이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는 이유이고, 그를 선선히 보내주는 광주 택시 기사와 피터의 마음이다.

하지만 애써 외면하며 빠져나오는 그 길 위에서 만섭은 누군가 신고 뛰어다녔을 무수한 신발들이 마구 벗겨져 널려 있는 것을 본다. 그 아픈 장면들은 그가 겨우 광주를 빠져나와 어느 시장통의 신발가게를 찾아갈 때, 마치 허공을 날아가는 듯 공중에 전시된 가벼운 신발의 이미지와 대비된다. 그는 결국 새 신발을 사서 딸에게 돌아가려 하지만, 못내 그 발길을 돌리지 못한다. 아마도 광주의 거리 위에서 봤던 그 버려진 신발들이 그의 눈에 밟혔을 것이다.

<택시운전사>가 광주를 보는 방식은 이처럼 대단한 영웅적 행보와는 거리가 멀다. 대신 그 극한의 비극적 상황 속에서 광주 사람들이 오히려 얼마나 인간적인 따뜻함을 보여줬는가를 대비시킨다. 그리고 사람이라면 누구나 응당 해야만 하는 일로서 만섭의 변화를 담담하게 보여준다. 이것이 그저 실존인물인 피터의 이야기를 담기보다 지금껏 그 행적을 찾을 수 없는 한 택시운전사를 주인공으로 세운 이유다.

이 영화가 의도적으로 그려내는 신발의 이미지는 그래서 어찌 보면 택시운전사의 이미지와 겹쳐진다. 결국 어딘가로 누군가를 이동시켜주는 매체가 아닌가. 길은 어디든 열려있고 그 길 위로 누구나 가고 싶은 대로 갈 수 있는 건 좋은 세상의 문제가 아니라 당연한 세상의 문제다. 하지만 1980년 광주는 그 당연한 길이 막혀 있었고 누구도 가고 싶은 대로 갈 수 없었다. 많은 신발들은 그렇게 막히고 꺾여 거리에서 스러져 갔다. 그 길을 뚫고 들어가는 만섭의 이야기가 결코 소소할 수 없는 건 그 상식이 무너진 세상 때문이다.

혹자는 <택시운전사>를 좌파 영화 운운하지만, 이 영화는 결코 그런 이념적인 걸 내세우는 영화가 아니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사람이라면 응당 할 수밖에 없는 일을 하는 ‘상식의 문제’로서 광주를 이야기하는 영화다. 택시도 신발도 어디든 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나아가 그것은 진실이 소통하는 방식이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