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어째서 이들의 쌀로 밥짓는 이야기는 이토록 재밌었을까(‘콩콩팥팥’) 본문

이주의 방송

어째서 이들의 쌀로 밥짓는 이야기는 이토록 재밌었을까(‘콩콩팥팥’)

D.H.Jung 2023. 12. 11. 17:45
728x90

‘콩콩팥팥’, 나영석 사단의 저력이 느껴지는 힘 뺀 예능의 맛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tvN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난다(이하 콩콩팥팥)>에서 4개월간 농사를 지으며 보냈던 인제에서의 마지막 밤. 그들은 불멍을 하기로 한다. 장작에 불피우는 것조차 초보인 이들은 불이 잘 붙지 않아 계속 토치로 다시 불을 붙이는 걸 반복한다. 어디서 들었던 ‘불멍’의 감성이 생각과는 다르다는 걸 느끼면서 이광수의 여지없는 투덜댐이 시작된다. “이게 만약 불멍이라면 다신 안 하고 싶어.” 불은 잘 안 붙고 연기에 눈은 맵고 넣어 놓은 고구마는 아직 익지 않았다. 

 

30분만에 깨진 캠프파이어의 환상. 하지만 그렇게 조금 지나고 나니 제법 불이 붙고 불멍의 분위기가 피어난다. 출연자들이 반색하며 이 프로그램에서 아마도 김우빈이 가장 많이 했던 말일 듯한 “좋다”란 말이 튀어나온다. 익은 고구마를 꺼내 돌려먹고, 불멍 앞에서 빠질 수 없는 컵라면을 둘러 앉아 먹는다. 투덜대던 이광수는 금세 불멍의 즐거움에 빠져든다. 서로 좋아하는 걸 묻고 말하는데 김우빈이 이 프로그램을 하며 좋았던 소회를 털어놓는다.

 

“저는 이거 하면서 제일 좋았던 건 뭐냐 하면 흙 밟고, 손으로 만지고, 비 맞고, 새입 난 거 손으로 만지고, 냄새 맡고... 그런 게 너무 좋았어요.” 그 말에 더해 김기방이 한 마디를 곁들인다. “되게 원초적인 감각을 느낄 수 있는 거.” 김기방, 이광수, 김우빈 그리고 도경수. 벌써 만난 지 10년이 된 죽마고우들의 10년 전 팔팔 했던 이야기도 빠지지 않는다. 

 

그러더니 도경수가 불씨가 남은 숯을 입으로 호호 불며 톡톡 터지는 소리를 들려준다. 그런 걸 하나하나 다 돌아가면서 하는 게 웃기다는 제작진의 이야기에 “좋은 건 다 같이 하는 게 좋다”고 입을 모아 출연자들이 말한다. 어찌 보면 불 하나 피워놓은 것일 수 있지만, 그 소소한 불멍 하나로 이토록 사운드가 가득 채워지고 보는 이들의 마음까지 훈훈하게 만들어진다는 게 신기하다. 갑자기 쥐불놀이를 하고 싶다며 집게로 숯을 들고 돌리고, 그걸로 네 사람이 굳이 ‘LOVE’를 그리며 사진에 남기려 애쓰는 모습은 거의 스펙터클이다. 

 

이 마지막밤 불멍의 풍경은 이제 마무리된 <콩콩팥팥>이 가진 독특한 재미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것만 같다. 사실 이 프로그램의 제목에 담긴 ‘콩 심은 데 콩나는’ 이야기는 과거 예능에서는 금기로 불리던 소재였다. 이른바 ‘쌀로 밥 짓는 이야기’가 그것이다. 너무 뻔한 걸 해서는 먹히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방송에 대한 대중들의 감성이 달라졌다. 너무 과잉된 걸 하는 건 오히려 웃기지도 또 재미있지도 않게 됐다. 그건 리얼리티가 떨어지는 것이고 인위적인 느낌이 강하기 때문이다. 너무 애써 웃기려는 것도 너무 애써 재밌게 하려는 것도 그래서 부담스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워낙 많은 콘텐츠들이 쏟아져 나오고, 우리의 일상 또한 영상과 정보의 홍수에 휩쓸리고 있어서인지, 요즘은 ‘멍’ 계열의 예능들이 오히려 주목받는다. 불멍, 물멍 같은.

 

<콩콩팥팥>은 시작부터 그 끝이 보이는 예능이다. 농사라는 소재 자체가 그렇다. 여름에 씨를 뿌리고 가을에 수확하는 과정이 담길 수밖에 없다. 초보농사꾼들이라는 사실이 하나하나 겪어내며 부딪치는 좌충우돌의 재미요소를 만들고, 그 와중에 인제의 이 작은 마을에 사는 인심 좋고 정많은 사람들을 알아가고 친해지는 과정이 주는 재미가 있는 게 사실이지만 그 과정을 우리는 어느 정도는 알고 있다. 결국 콩 심은 데 콩이 나는 걸 보여주려는 것 아닌가. 

 

하지만 콩 심은 데 진짜 콩이 나고, 그 콩을 수확해 쪄서 먹어보고 또 갈아서 콩국수를 만들어 먹는 과정은 보기만 해도 뿌듯하다. 농사가 쉽지 않은 초보 농부들에게 쑥쑥 자라줘 용기와 보람을 준 깨는 잎으로 고기를 싸먹고, 깨는 털어서 들기름을 만든 후 그걸 양껏 부어 고소한 기름막국수까지 먹게 해준다. 그 고소한 향기가 TV화면을 뚫고 안방까지 전해지는 느낌이다. 

 

떠나온 밭에 남겨두고 왔던 배추며 무로 김장을 담그는 모습은 그래서 이 프로젝트의 대미가 된다. 그냥 사서 하는 김장이 아니라, 하나하나 직접 키워 수확해 하는 김장이니 얼마나 각별할까. 모두가 둘러 앉아 함께 김장을 하며 나누는 대화는 그간 4개월 간의 추억만으로도 포만감이 느껴진다. 

 

어찌 보면 그냥 틀어놓고 크게 집중하지 않은 채 슬쩍슬쩍 봐도 될 정도로 부담없는 ‘멍’ 계열의 프로그램처럼 보이지만, 이를 또 집중해서 보면 더더욱 재밌게 만들어준 건 다름 아닌 이광수를 중심으로 김기방, 김우빈, 도경수, 찐친들의 티키타카였다. 이미 친한 그들의 케미는 그래서 너무나 자연스러웠고, 시청자들에게는 새로웠다. 이광수는 예능 출연이 많았지만, 이처럼 자신이 중심에 서서 끌고가는 역할을 맡아 새로운 면모가 돋보였고, 다른 출연자들은 말 그대로 예능 초보자들이었다. 특히 이광수와 티격태격하는 모습과 발군의 요리실력에 귀여움을 독차지 하는 막내였던 도경수는 ‘재발견’이라는 말이 어울리는 매력을 보여줬다. 

 

처음에는 데면데면했지만 차츰 아버지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따뜻한 정을 보여주신 이웃 동근 아버님이나, ‘홍반장’처럼 우직하게 도움을 주고 재미도 줬던 망치 형님 같은 마을 주민들의 환대도 빼놓을 수 없다. 이들은 외지인들이 그 곳에 적응할 수 있게 드러내지 않고 도와줬고 그 마음은 고스란히 시청자들에게도 전해졌다. 

 

<콩콩팥팥>의 저력은 나영석 사단이 갖고 있는 균형감각을 다시금 발견하게 만든다. 힘 빼고 편안하게 볼 수 있는 예능의 맛을 밑반찬으로 내놓고, 그러면서도 출연자 구성과 그 케미만으로도 빈 틈 없는 재미를 채워넣은 것이 그렇고, 초보가 조금씩 농사를 알아가는 재미를 자연스러운 시간의 흐름 속에서 발견하게 해주는 ‘힘 뺀 연출’이 그렇다. 늘 그래왔듯이 <콩콩팥팥> 역시 한때는 금기로까지 이야기됐던 익숙함을 넘어 ‘뻔할 수 있는’ 소재 속에서도 새로운 재미를 찾아낸 예능으로 각별하게 기억될 것 같다. (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