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석규, 스산해진 가을이 오면 그가 떠오른다이주의 인물 2024. 11. 3. 13:53728x90
‘이토록 친절한 배신자’로 돌아온 한석규, 그 인간적인 얼굴
“내 기억 속에 무수한 사진들처럼 사랑도 언젠가는 추억으로 그친다는 걸 난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당신만은 추억이 되질 않았습니다. 사랑을 간직한 채 떠날 수 있게 해준 당신께 고맙단 말을 남깁니다.” 허진호 감독의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1998)’에서 정원(한석규)은 그렇게 조용히 다림(심은하)을 남기고 죽음을 맞이한다. 어려서 하나 둘 아이들이 돌아간 텅 빈 운동장에 앉아 모두 그렇게 떠나갈 것이라는 걸 묵묵히 받아들이던 정원은 시한부 인생이라는 판정도 그렇게 받아들인다. 하지만 그 담담한 체념을 뚫고 어느 날 갑자기 다림이 그의 삶 속으로 들어오고 평온했던 일상은 흔들린다. 더 그와 함께 웃고, 떠들고, 살고 싶어지는 것. 하지만 그는 결국 죽음을 받아들이고 다림에게 좋은 기억으로만 남게 하기 위해 아무 말 없이 떠난다. 그는 사라졌지만 그의 마음은 사진으로 남았다. 사진관 앞에 전시된 액자 속에서 수줍게 웃는 다림의 사진으로. 눈내린 어느 날 다림은 그 사진을 발견하고 환하게 웃는다.
다림이 정원과의 기억을 그 액자 속의 사진으로 기억하는 것처럼, 20년이 넘게 흘렀지만 한석규라는 배우는 이 영화로 여전히 기억된다. 너무나 평범하고 수수하지만 다정함이 묻어나는 얼굴에 부드러운 중저음의 목소리. 환하게 웃고 있지만 그 뒤편에는 죽음 같은 무거운 비극이 숨겨져 있어 보다보면 어딘가 마음이 촉촉해지는 그런 배우가 바로 한석규다. 특히 이런 따뜻한 웃음 속에 담긴 어딘가 쓸쓸한 삶의 비의 같은 것들은, 밝고 뜨겁던 여름을 지나 이제 슬슬 스산해져가는 날씨에 하나둘 낙엽이 떨어지는 가을을 닮았다. 그래서 가을이 오면 더더욱 그가 떠오른다. 그는 이렇게 말하는 것만 같다. 우리네 삶이 조금 스산해도 괜찮아. 서로 따뜻하게 웃어주는 우리가 있잖아.
그가 최근 주연을 맡은 MBC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의 장태수 역시 한석규 특유의 비감이 효과를 발휘하는 캐릭터다. 그는 범죄현장을 분석하는 일로 이력이 난 베테랑 프로파일러다. 그런데 그의 딸 하빈(채원빈)이 자꾸만 수상하다. 사이코패스 성향을 보이는 하빈에 대한 의심은 어려서부터 시작됐다. 캠핑을 갔다가 함께 산에 들어간 어린 동생이 절벽에서 추락사한 채 발견됐을 때 하빈은 피투성이였다. 가족이면 무조건 믿어줘야 한다는 아내 윤지수(오연수)와 달리 그는 프로파일러로서 하빈을 의심한다. 혹 어린 동생을 그가 죽인 건 아닌가 생각할 정도로. 점점 가족 사이에는 균열이 생기고, 결국 이혼한 아내가 자살하게 되면서 장태수와 그의 딸 하빈의 관계는 더 냉담해진다. 또다시 벌어진 살인사건 속에서 자꾸만 하빈의 흔적들이 발견되면서 장태수는 더더욱 괴로워한다. 진실을 향해 나가는 길이 그에게는 가시밭길이다. 어쩌면 딸이 살인자라는 걸 자기 손으로 밝힐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는 사건만큼 그 안에서 겪는 인물들의 감정과 심리가 중요한 작품이다. 한석규는 바로 이 장태수라는 인물이 가진 감정들을 고스란히 시청자들이 빠져들게 해주는 연기를 선보인다. 주름진 얼굴이 잔뜩 찡그러진 채 화면 가득 음영을 담아 전해질 때, 시청자들은 그의 고통을 공감하게 된다. 어떻게든 사건의 진실이 밝혀져 그를 미치게 만드는 의심(그것도 가족에 대한 의심이다)을 끝내주기를 시청자들은 바라게 된다. 부디 그가 두려워하는 일이 진실이 되지 않기를 바라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의 원리에 대해 쓴 ‘시학’에서 비극이란 한치 앞을 모르는 인간에 대한 연민의 감정에서 만들어진다고 했다. 한석규는 바로 이 지점을 정확히 알고 있는 배우다. 그래서 딸을 의심하는 프로파일러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네 삶의 비의까지를 담아내는 깊이있는 연기를 선보인다. 과연 우리는 그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운명 앞에서 어떤 모습을 보일 것인가. 미국의 정신과 의사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는 1969년에 쓴 ‘죽음과 죽어감’에서 사람이 죽음을 선고받고 이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5단계로 구분했다. 부정, 분노, 협상, 우울, 수용이 그것이다. 장태수가 처한 비극을 한석규는 이 5단계 감정들을 끄집어내 표현한다. 때론 부정하고 분노하다가 때론 타협하고 결국 절망 끝에 우울에 빠지고 수용하는 그런 감정들이 그의 얼굴 표정 하나하나에 새겨진다.
한석규를 영화계에서는 ‘90년대 한국영화의 페르소나’라고 부른다. 80년대의 페르소나가 안성기라면 90년대는 바로 그가 우리 영화의 곳곳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보였던 얼굴이라는 뜻이다. 보편적인 평범한 얼굴이지만 그래서 그는 ‘은행나무 침대’ 같은 사극으로, ‘닥터 봉’ 같은 로맨틱 코미디로, ‘초록물고기’나 ‘넘버3’ 같은 사회극적 요소가 강력한 장르물로, 또 ‘쉬리’ 같은 액션에서도 모두 작품에 잘 스며드는 연기를 선보이며 90년대를 구가했다. 그리고 그의 존재감은 최근에는 드라마에서도 빛을 발하고 있다. ‘뿌리깊은 나무’, ‘비밀의 문’ 같은 사극은 물론이고 ‘낭만닥터 김사부’ 같은 작품의 김사부 역할로 시대의 아이콘이 됐다. 특히 무려 시즌3까지 방영된 ‘낭만닥터 김사부’나 왓챠에서 방영됐던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 같은 작품을 통해 특유의 비감을 잘 표현해내는 저력을 선보였다. 어딘지 쓸쓸하지만 그 삶의 비극을 받아들인 자의 밝음이 담긴 비감이 그것이다.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는 암 투병을 해 점점 음식을 먹을 수 없게 된 아내를 위해 특별한 레시피를 찾고 준비하는 남편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으로, 한석규는 바로 그 남편 역할을 맡았다. 점점 죽어가는 아내를 보며 아파하고 안타까워 하면서도 단 한 숟갈이라도 먹는 모습을 보기 위해 애쓰는 이 인물에서도 저 ‘8월의 크리스마스’의 정원이나,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의 장태수가 겹쳐진다. 결국은 겨울을 피할 수 없는 운명이지만, 이를 담담히 맞이하는 자의 쓸쓸함 같은 것이랄까. 하지만 그 쓸쓸함이 지나고 나면 다시 삶이 만발하는 봄이 올거라는 걸 그 다정함과 따뜻함으로 전해주는 배우. 스산한 가을이 오면 그가 떠오르는 이유다.(글:국방일보, 사진:MBC)
'이주의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선규는 없다, 진심만 보인다 (0) 2024.11.18 오경화, 늘 응원해주는 든든한 존재가 있다는 것 (0) 2024.11.11 김태리, 어떤 역경도 뚫고 나가는 청춘의 기세 (0) 2024.10.27 백종원, 음식으로 세상을 바꾸는 (0) 2024.10.21 박신혜, 악마 역할도 러블리하게 (0)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