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주의 인물

김태리, 어떤 역경도 뚫고 나가는 청춘의 기세

728x90

‘정년이’로 또다시 청춘의 아이콘으로 돌아온 김태리

정년이

“참말로 고맙구만이어라. 하지만 받지 않겄습니다. 그 길은 제 길이 아니어라.” tvN 드라마 ‘정년이’에서 윤정년(김태리)은 자명고 대본을 내주며 오디션을 볼 수 있게 해주려는 매란국극단 스타 문옥경(정은채)의 호의를 거절하며 그렇게 말한다. 문옥경은 장터에서 윤정년이 소리를 하는 걸 듣고는 단박에 천부적인 재질이 있다는 걸 알았고, 그래서 그를 매란국극단에 들어올 수 있게 도운 인물이다. 그런 문옥경의 호의가 고맙지만 이를 거절하는 정년에게서는 보다 당당하게 제 힘으로 서고 싶은 청춘의 기세가 엿보인다. “안 그래도 다들 지가 지 실력으로 이 국극단 들어온 거 아니라고 떠들어 싼디, 여기서 또 쉬운 길을 선택해 불믄, 그 사람들 말이 맞다고 인정하는 꼴밖에 안 된께요.”

 

첫 회 4.8%(닐슨 코리아) 시청률로 시작해 단 4회만에 12.7%까지 급상승한 ‘정년이’의 저력은 바로 이 윤정년이라는 캐릭터의 매력에서 나온다. 목포 시장 바닥에서 아무런 미래에 대한 꿈도 없이 살아가던 이 청춘은 어느 날 별천지에서 온 대스타 문옥경을 만나고 국극의 꿈을 꾸게 된다. 엄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끝내 집을 떠나 매란국극에 들어온 윤정년은 거기서도 그를 시기하는 이들과 치열한 경쟁 속에서 갖은 역경을 마주하게 된다. 하지만 이 청춘은 물러서거나 좌절하는 법이 없다. 돌덩이 같은 단단한 역경을 피하지 않고 뚫고 나가는 기세. 이 청춘의 기세에 시청자들은 빠져든다. ‘정년이’가 파죽지세의 시청률을 기록하는 이유다. 

 

서이레 작가의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정년이’는 드라마 리메이크 이야기가 나왔을 때부터 우려의 목소리들이 적지 않았다. 워낙 유명한 작품이라 원작 캐릭터의 싱크로율을 감당할 배우가 과연 있을까 싶어서였다. 그 활달한 성격에 소리까지 연기해야 하니 만만찮은 역할이다. 하지만 김태리가 정년이 역할로 분한 첫 회가 등장하면서 이런 우려들은 씻은 듯이 사라졌다. 원작 웹툰에서 막 튀어나온 듯 싶을 정도로 발랄한 청춘의 캐릭터를 제 옷 입은 듯 소화해냈고, 소리를 하거나 국극의 무대에 설 때는 너무나 진지한 모습 또한 보여줌으로써 시청자들을 납득시켰기 때문이다. 

 

사실 김태리의 필모그래피를 보면 유독 ‘청춘의 초상’으로서의 역할들을 주로 해왔다는 걸 발견할 수 있다. 2016년 영화 박찬욱 감독의 ‘아가씨’는 김태리라는 배우가 가진 밝고 쾌활한 면모를 대중들에게 각인시킨 작품이다. 블랙코미디적인 요소가 담긴 이 작품에서 김태리는 막대한 재산을 가로채려는 사기꾼 백작(하정우)의 제안으로 귀족 아가씨(김민희)의 집에 하녀로 들어가게 되는 인물이다. 하녀라고는 하지만 자신의 감정에 솔직한 이 인물이 백작이 아닌 아가씨와 마음을 나누는 과정을 김태리는 특유의 밝은 에너지로 소화해낸 바 있다. 그 후 2017년 ‘1987’에서는 1987년 독재정권과 맞서는 대학생들의 민주화 운동에 회의적이었지만 차츰 그 대열에 참여하게 되는 이연희라는 청춘의 고뇌와 성장을 연기했다. ‘1987’에서 그랬던 것처럼 김태리는 하는 작품마다 당대의 청춘들이 겪는 아픔들을 공유하면서도 거기에 좌절하지 않고 뚫고 나가는 모습으로 대중들에게 각인됐다. 고향을 떠나 도시에서 저마다 성공하고픈 꿈을 꾸지만 그것이 청춘을 마모시키고 좌절하게 만드는 현실을 담은 ‘리틀 포레스트’에서도 그랬다. 김태리는 도시의 삶에 지쳐 고향으로 돌아와 거기 나는 식재료들로 음식을 챙겨먹으며 자신을 회복해가는 청춘 송혜원을 통해 당대의 청춘들을 위로했다. 

 

“나도 꽃이요. 다만 나는 불꽃이요.”라는 명대사를 남긴 ‘미스터 션샤인’은 또 어떤가. 구한말 사대부가의 영애로서 편안한 삶을 살 수 있었지만 이를 거부하고 힘겨운 의병활동의 길을 선택한 고애신 역할을 김태리는 특유의 발랄한 에너지로 소화해냈다.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분위기를 뚫고 나오는 드라마의 발랄함은 김태리라는 배우와 만나 기분좋은 시너지를 만들었다. IMF를 배경으로 그 힘겨운 시절 어른들로 인해 청춘들이 겪게 된 아픔과 성장을 담은 ‘스물다섯 스물하나’에서도 김태리는 나희도라는 인물을 통해 큰 위로를 줬다. 이러한 김태리가 써온 청춘의 초상을 담은 필모그래피는 심지어 오컬트 장르인 ‘악귀’에서도 이어졌다. 각박한 현실 앞에 좌절한 청춘들이 그 엇나간 욕망이 탄생시키는 악귀를 그린 이 작품에서, 김태리는 구산영이라는 공시생 역할로 악귀가 자신을 잠식하려는 위기와 맞서는 청춘을 연기했다. 

 

그래서 김태리가 나왔던 작품들을 들여다 보면 지금의 청춘들이 마주한 현실이 엿보인다. 수저 색깔로 미래가 결정되는 불공정한 사회 속에서도, 어떻게든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애쓰지만 번번히 좌절되는 현실 앞에 갑갑해 하는 청춘들의 초상이다. 그래서 연애도 결혼도 출산도 포기하는 이른바 N포세대라는 말까지 나오는 현실이 아닌가. 하지만 이러한 ‘포기’라는 단어가 익숙해진 건 청춘들이 원해서가 아닐 게다. 그들이 진짜 바라는 건 그래서 김태리가 해온 작품들 속 인물들이 보여주듯이 그 현실을 뚫고 나가는 그런 모습이 아닐까. 

 

김태리가 가진 청춘의 에너지가 빛나는 ‘정년이’는 한국전쟁이 막 끝난 1956년을 시간적 배경으로 삼은 작품이다. 한국전쟁으로 피폐해진 삶 속에서 하루 벌어 하루 살기도 고단한 삶을 살았던 시절이다. 그런데 ‘정년이’가 그리고 있는 건 그런 좌절과 포기의 이야기가 아니다. 여성국극의 꿈을 향해 달려가는 청춘 정년이의 성장드라마다. 그 고단했던 시절에도 그 힘겨움을 위로해줬던 건 다름 아닌 국극 같은 당대의 문화들이었다. 그 문화의 현장 속에서 민초들도 잠시 현실을 잊고 웃고 울며 다시 살아갈 힘을 얻었으니 말이다. 그 예인의 길을 그려낸 ‘정년이’가 주는 위로가 남다른 건 그래서다. 꿈을 꾸는 것조차 사치처럼 여겨지던 시절, 역경을 뚫고 꿈을 향해 나아가는 정년이의 모습은 큰 위로와 더불어 용기를 준다. 제 아무리 힘겨운 현실 속에서도 꿈꿀 수 있는 용기는 누구에게나 필요하다고, 남다른 청춘의 기세를 보여주는 정년이와 그 역할을 맡은 김태리는 말해주고 있다.(글:국방일보, 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