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명랑TV
-
골방에서도 '1박2일'은 가능하다옛글들/명랑TV 2011. 11. 8. 09:11
골방도 막을 수 없는 '1박2일'의 즐거움 여행 가서 비오면 뭘 할까. 어디 가볼만한 곳이 있어도 돌아다니기 뭐 하고 그렇다고 방구석에만 콕 박혀 뒹굴자니 어딘지 허전하고. '1박2일'이 떠난 영월 가정마을의 하룻밤은 그 답을 알려준다. 떠나는 과정에서 정확한 시간에 도착하는 미션을 치른 것을 빼고, 가정마을 편은 그들이 머문 베이스캠프를 떠나지 않았다. 심지어 비가 추적추적 내리자 카메라가 머문 곳은 다섯 사람이 누우면 꽉 차는 작은 방이 전부였다. 여기서 과연 예능이 가능할까? 가정마을편은 적어도 '1박2일'이라면 그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한 회였다. 작은 방에서 갑자기 떠오른 이수근의 아이디어는 즉석에서 올림픽(?)을 연출하게 했다. 코끼리 코로 열 바퀴를 돈 후 벽에 만든 과녁에 검지로 인주..
-
60초의 위력, '슈스케3'를 알겠네옛글들/명랑TV 2011. 11. 5. 11:56
광고시간도 기다림으로 채우는 '슈스케'의 힘 "60초 후에 공개됩니다." '슈퍼스타K'에서 김성주 아나운서의 트레이드마크가 된 이 멘트는 사실 광고 소개나 마찬가지다. 케이블 채널이라는 특성에 맞춰 중간 광고를 60초 넣게 되면서 생긴 것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도중 뚝 끊기고 광고가 나오는 것을 인식한다면 시청자들은 불만을 제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웬걸? 김성주 아나운서가 이 멘트를 던지는 순간, 불만보다는 기대감 섞인 웃음이 나오는 건 왜일까. 도대체 무엇이 불만을 기대로 바꾼 것일까. 이 멘트가 거의 유행어가 된 이유는 그 멘트가 사용되는 지점과 관련이 있다. 즉 이 멘트는 '슈퍼스타K'라는 오디션 경쟁에서 가장 긴장감이 높은 하이라이트 지점에 포진되어 있다. 이 멘트는 본선 이전의 예선에서는 출연..
-
나는 청중이다, '나가수'의 진면목옛글들/명랑TV 2011. 11. 3. 08:52
'나가수', 문제도 해법도 청중에게 있다 '나는 가수다'는 가수의 무대일까, 청중의 무대일까. 가수의 정체성을 묻는 제목을 보면 마치 이 무대가 가수가 주인공인 무대처럼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말해 '나는 가수다'는 철저히 청중과 대중이 주인공인 무대다. 이 무대가 특별한 것은 가수들보다는(그렇다고 그들이 특별하지 않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청중들 덕분이다. 아주 미세한 숨소리까지 긴장하며 들어주는 청중이 있기 때문에 가수들은 더 긴장하고 자신의 전력을 다하게 된다. 게다가 이 가수들은 지금껏 TV를 통해서는 '들어주는 귀'가 별로 없던 가수들이다. 그러니 이런 청중이 있는 무대가 주는 힘은 실로 크다고 할 수 있다. 제 아무리 가창력이 좋은 가수라고 해도 '들어주는 귀(이것은 양적인 문제가..
-
연예인 토크쇼 지겨워? '안녕'을 보라옛글들/명랑TV 2011. 11. 2. 09:10
'안녕', 토크쇼도 이제 일반인 출연 트렌드? '안녕하세요'에는 '대국민 토크쇼'라는 거창한 수식어가 붙어있다. 이 토크쇼는 물론 연예인들이 MC로 앉아있고, 연예인 게스트도 있지만 그들이 주인공은 아니다. '대국민 토크쇼'라는 수식에 걸맞게 이 토크쇼의 주인공은 일반인들이다. '전국고민자랑'이라는 코너는 특별한 사연들을 가진 일반인들이 자신들의 고민을 토로하는 장이다. 연예인들은 그들의 고민을 들어주고 함께 웃고 공감해주는 것으로 그들의 소임을 다한다. 일반인들이 주인공인 만큼, 그들에게 낯설 수 있는 스튜디오에는 그들을 좀 더 편안하게 해주려는 배려가 묻어난다. 일단 일반인들이 보내준 고민에 대한 사연을 MC가 맛깔나게 읽어주고 나서 기대감을 갖게 한 후, 출연자는 마치 놀이터에 들어오는 것처럼 미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