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명랑TV
-
'영광의 재인', 힘내요, 김영광 선수옛글들/명랑TV 2011. 11. 26. 08:25
투박한 진심의 드라마, '영광의 재인' 강은경 작가의 작품은 사필귀정, 권선징악의 드라마다. 그래서 현실성이 없어 보인다. 한 편의 동화나 만화 같은 느낌을 주는 건 그 때문이다. '제빵왕 김탁구'와 '영광의 재인'은 이란성쌍둥이 같은 작품이다. 어린 시절 주인공은 한 절대악에 의해 운명의 머나먼 여정으로 내쳐지고, 그 주인공은 마치 연어가 회귀하듯 제자리로 돌아온다. 그 과정에는 일련의 미션이 놓여져 있다. 선과 악은 미션을 두고 대결을 벌이고, 먼 여정을 끝낸 주인공이 제자리로 돌아올 때, 정의는 결국 승리하게 된다. 어찌 보면 지나치게 정형화되어있고 전통적이라고 할 정도로 이야기 구조는 눈에 보인다. 하지만 왜일까. 이 단순한 이야기 속에서도 마음이 꿈틀대고, 측은지심이 생겨나고 주인공을 결국은 응..
-
정치와 대중문화, 못 웃으면 지는거다옛글들/명랑TV 2011. 11. 24. 13:36
최효종과 '나꼼수'가 보여주는 대중정서 최효종은 '승승장구'에 나와 자신의 풍자 개그에 대해 명쾌한 한 마디를 남겼다. "풍자가 기분 나쁘면 진짜로 그런 사람이란 뜻"이란 거다. 즉 '사마귀유치원'에서 국회의원을 풍자한 자신의 개그에 고소로 맞선다는 것이 결국은 본인이 그런 국회의원이란 걸 자인하는 셈이란 얘기다. 이것은 풍자가 가진 힘을 제대로 표현한 것이다. 풍자는 말해지는 순간, 진영을 나누는 힘이 있다. 웃는 사람과 웃지 못하는 사람. 게다가 이것은 웃음을 매개로 하기 때문에 웃지 못하는 사람마저 웃고 싶은 욕망을 갖게 만들기도 한다. 최효종의 풍자 개그와 그것에 대해 한 국회의원이 제기한 고소에 대해 개그맨들은 일제히 "개그는 개그일 뿐"이라고 얘기했다. 대중들 역시 '웃자고 하는 말에 죽자고 ..
-
커밍아웃 토크쇼 '안녕', 공감은 치유다옛글들/명랑TV 2011. 11. 23. 09:28
'안녕', 자극적인 토크쇼들에게 묻다 커밍아웃이 갖는 힘은 자신의 고민을 드러낸다는 그 행위에 있다. 이 행위 속에는 그 자체로 타인과의 공감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혼자 끙끙 앓던 고민이 드러나고 공감되는 순간, 그것은 더 이상 고민이 아닌 것이 된다. 특별한 경우에는 그 고민은 그 사람만의 개성으로 장점으로 전화되기도 한다. 고 이주일씨가 첫 등장에 "못생겨서 죄송합니다"라고 말했을 때, 그 추남의 고민이 그만의 고유한 캐릭터가 되어 그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발판이 되었듯이. '안녕하세요'는 커밍아웃을 전면에 내세운 토크쇼다. '전국노래자랑'을 패러디해 만든 '전국고민자랑'은 매회 전국의 갖가지 희귀한(?) 고민들의 발언대 역할을 한다. 키가 너무 크고, 털이 너무 많고, 발이 너무 큰, 그런 신체..
-
'무한도전TV'가 생긴다면...옛글들/명랑TV 2011. 11. 22. 14:15
'무도-TV전쟁', TV의 욕망을 담다 '무한도전' TV전쟁 특집이 앞으로 다가올 종편시대의 시청률 경쟁이 가져올 풍경을 풍자했다고 해석될 수 있는 건, 이 코너가 하나의 생존게임의 형식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에 살아남은 유재석TV와 하하TV가 라이브 방송을 통해 누가 더 많은 시청자를 끌어 모으는가 하는 그 경쟁은 그 자체로 시청률 경쟁이 가질 수 있는 폐해를 떠올리게 하는 풍경을 애초부터 내포하고 있었다는 얘기다. 물론 '무한도전'은 결말을 세워두고 방송을 찍은 적이 없다. 흐름에 의해 만들어진 풍경은 그래서 자연발생적인 것이다. 처음에는 '개국방송'을 위해 나름의 야심찬(?) 기획이 세워졌다. 하하TV는 초호화 게스트를 초대하는 쇼로 주목을 끌려 했고, 유재석TV는 '개국 축하쇼', '무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