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명랑TV
-
정글에서도 웃을 수 있는 이유, 김병만옛글들/명랑TV 2011. 11. 1. 08:38
'정글의 법칙'과 김병만의 법칙 이것은 진짜 야생이다. 그저 하룻밤 길바닥에서 잠을 자는 그런 것이 아니다. 아프리카 오지, 악어가 출몰하고 뱀이 지나다니는 그 곳에서 집도 없고 텐트도 없고 먹을 것도 없이 살아남아야 한다. 이것이 '정글의 법칙'이 보여주는 야생이다. 제 아무리 야생에 익숙한 서바이벌 전문가라고 해도 얼굴이 굳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김병만이 말한 것처럼 이건 동물원 우리 바깥에서 안을 보는 게 아니라, 우리 안에 들어와 있는 것. 실제로 이 악어섬에 들어온 첫 날, 이들은 그 날카로워진 심경을 드러냈다. 김병만과 리키 김은 의견 충돌이 생겼고, 광희는 너무 힘겨운 상황에 웃음을 잃었다. 류담은 그 육중한 몸을 이끌고 허기에 지친 모습이 역력했다. 이런 상황에서 예능이 가능할까. 아..
-
김병만과 임재범, 연예인도 리얼리티쇼?옛글들/명랑TV 2011. 10. 28. 10:02
'정글의 법칙'과 '바람에 실려', 이 예능이 보여주는 것 본래 리얼리티쇼는 일반인들이 출연해 그 사생활을 드러내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일반인의 사생활 노출에 대해 갖는 우리 대중들의 정서는 예민한 편이다. 따라서 서구에서 한창 리얼리티쇼가 붐을 이룰 때조차 우리네 방송은 쉽게 그것을 시도하지 못했다. 그래서 대안처럼 등장한 것이 이른바 '리얼 버라이어티쇼'다. 일반인을 연예인으로 대체했고, 연예인의 사적이 부분들이 노출되지만 거기에 캐릭터쇼라는 안전한 가면을 씌웠다. '무한도전'이 성공한 것은 이 서구적인 리얼리티쇼의 형식을 우리네 정서에 맞는 리얼 버라이어티쇼로 코딩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 대중정서가 변한 것일까. 리얼 버라이어티쇼에 익숙해진 대중들이 이제는 좀 더 강한 리얼리티를 원하게 되었..
-
'짝'의 무엇이 예능을 술렁이게 하나옛글들/명랑TV 2011. 10. 27. 12:24
'무한도전'은 왜 '짝'을 패러디했을까 '짝'이 언제부터 이렇게 예능에 가장 '핫(hot)'한 프로그램이 됐을까. 시청률은 아직 10% 내외지만 이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은 뜨겁다. 남자○호, 여자○호라는 지칭은 유행어가 되고 있을 정도다. 뜨거운 관심은 끝없는 논란으로도 이어졌다. 방송 중간 애정촌을 뛰쳐나가는 해프닝을 일으켰던 출연자의 게시판 폭로는 뜨거운 조작 논란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아무래도 출연자들이 일반인인데다, 이런 본격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지상파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되고 있다는 점에서 여러모로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분명한 건 이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 관심은 대중들은 물론이고 방송가에도 그만큼 뜨겁다는 것이다. 이른바 잘 나간다는 예능 PD들 치고 '..
-
'애정남', 그 공감의 사회학옛글들/명랑TV 2011. 10. 25. 11:47
다른 사람들도 나와 같은 생각일까. 함께 음식을 먹다가 마지막 하나가 남았을 때, 그들도 누가 그것을 먹어야 할지 고민할까. 누군가를 사귈 때 스킨십은 언제부터 해야 할까. 또 지하철에서 할머니와 임산부가 동시에 탔을 때 누구에게 자리를 양보해줘야 할지 그들도 애매해할까. 영화관에서 팔걸이는 어느 쪽으로 해야 할까.... 어찌 보면 쓸데없는 고민한다고 생각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실상 현실에서 이런 상황을 맞닥뜨리게 되면 어떻게 해야 할지 애매할 때가 많다. 물론 그 남은 음식 하나를 누가 먹든, 팔걸이를 마음대로 한다고 '쇠고랑을 차거나 경찰이 출동하는' 건 아니다. 이건 몰라도 하등 사는데 지장 없는 소소한 일들이다. 그런데 궁금하다. 다른 사람들은 이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애매한 것을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