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원
-
'검은 사제들'에 들어간 김윤석과 강동원의 지분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5. 11. 12. 08:56
, 밋밋한데도 이토록 몰입시킬 수 있는 건 영화 은 이야기가 복잡하지 않다. 전형적인 장르영화의 틀을 갖고 있고 거기서 크게 벗어나지도 않는다. 다만 특이한 건 오컬트라 불리는 이 영화의 장르적 특성이다. 과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초자연적 현상, 그 중에서도 악령 같은 주로 서구의 문화적 배경에서 자리를 잡은 장르다. 이나 같은 영화들이 그 범주에 속한다. 우리에게도 오컬트적 소재들은 어쩌면 서구보다 훨씬 가까이 있었다고도 볼 수 있다. 그 많은 무당들의 접신 이야기가 그렇다. 최근에 상영됐던 이나 같은 작품 속에서도 이러한 무당 소재의 오컬트적 요소들이 들어있었다. 하지만 이 다른 점은 악령을 퇴치하는 방식으로서 사제들의 활약을 거의 변형함이 없이 그대로 그려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한국이라는 특..
-
'두근두근 내 인생', 먹먹함이 설렘으로 바뀌는 순간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9. 4. 10:02
'두근두근 내 인생', 죽음이 대수인가 두근대는 가슴이 있는 한 조로증에 걸려 몸은 이미 팔십 세 노인이 다 된 아름이의 나이는 열여섯 살. 공교롭게도 그의 부모인 대수(강동원)와 미라(송혜교)가 아름이를 갖게 된 나이도 열여섯이다. 열일곱에 낳았지만 그들이 만나 서로에게 두근대는 마음을 가졌던 건 열여섯. 이른바 우리가 흔히 이팔청춘이라고 말하는 나이다. 왜 하필 이팔청춘일까. 부모는 그 나이에 사랑을 했고, 한 번도 이성과의 사랑을 해본 적이 없는 아름이는 그 나이에 생을 마감한다. 바로 이 이팔청춘이라는 설정은 이라는 영화에 중요한 메시지와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이팔청춘의 나이에 맞닥뜨리는 죽음이라니. 대개 병동에서 벌어지는 이야기, 그것도 아이가 먼저 저 세상으로 떠나는 이야기는 전형적인 신파 구..
-
흥행돌풍 '군도'에 대한 반응 왜 양극단으로 나뉠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7. 25. 09:52
, 민란을 웨스턴처럼 보는 즐거움 혹은 불편함 역대 최고 오프닝 기록을 갈아치우며 흥행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영화 는 제목이 주는 선입견이 있다. ‘군도’와 ‘민란’이라는 단어는 분명 우리가 처한 현실과 무관할 수 없다. 그것이 조선을 배경으로 한 사극이라고 해도 그것이 상영되는 건 지금 현재 우리가 사는 이 곳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구나 지금의 막막한 현실이 투영된 것으로 ‘군도’와 ‘민란’이라는 단어를 읽게 된다. 실제로 영화가 갖고 있는 이야기 설정 또한 지금의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백성들의 고혈을 짜내는 탐관오리가 등장하고 ‘정경유착’이 나온다. 그리고 지리산 추설이라는 의적들이 내뿜는 ‘세상을 바꾸자’는 목소리에도 현실의 울림이 들어가 있다. ‘뭉치면 백성 흩어지면 도적’이라는 반복되는 대사만..
-
부산국제영화제 어쩌다가 이 지경이 됐나옛글들/네모난 세상 2013. 10. 7. 09:30
진흙탕 싸움과 노출경쟁에 가려진 영화제 영화제로 부산이 들썩들썩하는 건 알겠는데 정작 어떤 영화가 상영되고 있는지, 어떤 행사가 어떤 의미로 치러지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부산이라는 특정한 지역에서 하는 국제영화제이기 때문에 부산까지 가지 못하는 일반 대중들에게는 인터넷이나 신문 혹은 방송에 잠깐씩 나오는 기사들이 영화제에 대한 정보의 대부분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지금 당장 인터넷에 들어가 ‘부산국제영화제’를 쳐보라. 거기에 정작 영화에 대한 정보들이 얼마나 있는지. 제일 많은 것은 역시 레드카펫의 여배우 노출 경쟁을 말 그대로 경쟁하듯 올린 사진들이다. 매회 그러하듯이 이번에는 등을 훤히 드러내다 못해 엉덩이골까지 드러낸 의상을 입고 레드카펫에 올라온 강한나와 가슴을 거의 드러내다시피 한 드레스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