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와늑대의시간
-
반 발 앞선 장르의 즐거움, 개늑시옛글들/명랑TV 2007. 9. 7. 02:47
정체성이 만들어내는 관계의 느와르 부모의 원수를 갚는 복수극, 적의 심장부에 잠입해 스파이로 활동하는 언더커버, 자신의 정체성을 흔들어버리는 기억상실. 누가 봐도 ‘개와 늑대의 시간(이하 개늑시)’이 가져온 장치들은 액션 느와르에서 흔하게 사용되었던 것들이다. 여기에 원수지간인 부모를 가진 연인, 한 여자를 두고 우정과 사랑을 저울질하게 되는 형제 같은 캐릭터의 설정은 물론이고, 장르적인 허용을 한껏 활용하는 액션과 느와르의 관습적인 장면들까지를 각각 뜯어내서 보면 이 드라마는 기존 장르들의 종합선물세트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하지만 이 각각의 장치들의 총합이 만들어내는 것은 단순한 등가의 결과물이 아니다. ‘개늑시’는 이 장르가 가진 다양한 관습적 장치들을 모으는 반면, 보다 복잡한 인간관계의 거미줄..
-
‘개와 늑대의 시간’을 겪고 있는 이준기옛글들/명랑TV 2007. 8. 30. 09:59
예쁜 남자와 거친 남자 사이, 이준기 참 지독한 배역을 맡았다. ‘개와 늑대의 시간’ 속에서 이수현과 케이 사이를 오가는 연기를 펼치고 있는 이준기를 두고 하는 말이다. 연기자들과 캐릭터는 적어도 드라마를 찍는 동안에는 동일인물이다. 그렇게 감정이입이 되지 않으면 캐릭터가 살 수 없기 때문. 그런 면에서 보면 지금 기억과 관련해 자기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는 인물은 비단 ‘개와 늑대의 시간’의 이수현만이 아니다. 그 연기를 하고 있는 이준기 역시 똑같은 개와 늑대의 시간을 겪고 있다. 이준기라는 배우를 발굴해낸 멘토의 김우진 이사는 “이준기의 인기는 순정만화에서 막 튀어나온 듯한 중성적 매력에 있는 듯하다”고 말한 바 있다. 여기서 중성적 매력이란 여성적이란 뜻이 아니다. 여성적인 꽃미남의 외모를 갖추고..
-
아줌마 드라마? 이모 드라마가 뜬다옛글들/명랑TV 2007. 8. 12. 21:32
달라지는 아줌마 드라마의 패턴 ‘아줌마 드라마’ 하면 떠오르는 것은? 대기업 총수 아들과 그 아들에 낙점을 받은 신데렐라? 시어머니에게 구박받는 며느리? 해서는 안 되는 일도 자식사랑으로 치부하면 다 되는 모성애? 그것도 아니면 억척 아줌마의 눈물겨운 홀로서기? 물론 아줌마들이 트렌디한 가족드라마에 시선을 빼앗기는 건 과거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막연히 상정하는 ‘아줌마 드라마’라는 범주가 영원히 지속되는 건 아니다. 최근 들어 3,40대 아줌마들을 중심으로 시청하는 드라마의 패턴이 조금씩 달라지면서 과거 ‘아줌마 드라마’로 통칭되던 개념은 재정립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른바 ‘이모 드라마’의 출연이다. 아줌마요? 이모라 불러주세요 ‘커피 프린스 1호점’은 청춘을 다루는 드라마. 등장인물의..
-
연기자의 자기증명, 변신은 생존옛글들/명랑TV 2007. 8. 3. 13:11
윤은혜, 이준기, 수애, 그들의 변신에 박수를 연기자가 연기 변신을 하는 것은 자기 존재에 대한 증명인 셈. 하지만 이게 그리 쉽지 않은 것은 대중들이 바라는 이미지와 변신한 이미지의 간극이 클 경우이다. 너무나 강렬한 이미지로 고정되는 것은 그만큼 인기가 있다는 걸 의미하지만, 동시에 연기자들에게 그것은 족쇄로도 작용한다. 한번 가수출신 연기자라는 연기논란에 휘말린 이미지를 가지면 하는 역마다 연기논란을 일으키고, 한번 미소년 이미지로 강한 인상을 남기면 터프한 연기가 잘 먹히지 않으며, 청순 가련 이미지로 고정되면 명랑한 역을 맡기가 어려워지는 것이 그것이다. 하지만 시대가 자신이 가졌던 이미지와 다른 변화된 캐릭터를 요구한다면 어쩔 것인가. 그저 자신의 이미지가 먹힐 시대가 또다시 오기를 기다리기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