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
'런닝맨', 시청자와 함께하니 재미도 두 배옛글들/명랑TV 2014. 1. 28. 10:06
의 진화, 시청자 참여로 가능해지나 본래 게임이라는 게 그렇다. 혼자 하는 것보다 같이 하는 게 더 재밌고, 하다가 조금씩 새로운 룰 같은 걸 만들어 변형시켜나갈 때 더 재밌다. 의 가장 큰 고충은 끊임없이 새로운 게임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이다. 제작진이 제 아무리 대단한 게임 매니아이고 아이디어 뱅크라 하더라도 수년을 반복하다보면 어떤 한계점을 보이기 마련이다. 이럴 때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이 오히려 그 아이디어를 시청자들로부터 받는 것이다. 한 사람의 아이디어보다 수백 수천 명의 아이디어가 더 좋을 수 있다는 것. ‘홍콩에서 온 편지’편은 그 훌륭한 사례다. 홍콩의 팬 아이린양이 제안한 게임은 장기를 응용한 게임이었다. 동양권에서는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기라는 게임에서 초와 한의 왕과 차,..
-
'1박2일', 의외로 괜찮은 유호진PD 셀프디스옛글들/명랑TV 2013. 12. 1. 12:18
, 기대감 뺄수록 기대되는 까닭 “우리의 장점은 다 고갈됐다.” 을 새롭게 이끌 유호진 PD는 시즌3 첫 방송을 앞두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장점을 묻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장점을 묻는 질문에 장점이 없다는 답변. 어찌 보면 황당하게도 느껴질 수 셀프디스다. 이라는 프로그램을 예능의 자존심으로까지 여기는 KBS와는 사뭇 다른 태도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의 셀프디스 분위기는 시즌3의 첫 촬영 예고편에서도 묻어난다. 차태현은 “죄송한데 이게 다인가요?”하고 물었고, 김준호는 “누구 한 명 데리고 와”하고 말했다. 자막으로 표기된 것만 봐도 ‘떠들썩한 섭외의 최종결과’, ‘저조한 인지도’, ‘저조한 자신감’ 같은 문구들이 전하는 ‘고개 숙인 ’의 분위기를 미루어 알 수 있다. 새롭게 시작하는 마당..
-
관상특집이 보여준 '무도'와 유재석의 의지옛글들/명랑TV 2013. 11. 19. 08:54
와 유재석의 낮은 눈높이에 대한 의지 이토록 다양한 아이템들과 기획의도가 어떻게 하나로 묶여질 수 있었을까. ‘관상 특집’은 이제는 하나의 역사가 되어가는 의 자신감과 위상을 보여주는 것이면서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도 늘 대중의 눈높이 아래에 자신들을 세우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특집이기도 하다. 이 한 편에는 지금껏 이 걸어온 역사가 자연스럽게 묻어있고 그 역사가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가에 대한 비법 또한 들어가 있다. ‘관상 특집’은 이 놀라운 시도를 통해 이 지금 현재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가를 정확히 보여주었다. 이 세계에는 지금껏 이 해왔던 무수한 아이템들이 한꺼번에 들어와 있다. 관상 전문가를 데려다 놓고 조선시대였다면 누가 양반이고 누가 상놈이며 누가 왕이고 누가 상놈 중의 상놈인 망나니인..
-
'무도', 밑도 끝도 없는 막 개그 언제까지옛글들/명랑TV 2013. 7. 29. 08:39
, 또다시 위기인가 최근 들어 의 재미가 반감됐다는 이야기들이 많다. 빵빵 터지는 큰 웃음의 빈도도 많이 줄어들었고 보는 것만으로도 땀 냄새가 느껴지는 노력의 흔적도 과거에 비하면 잘 보이지 않는다. 특히 봅슬레이나 댄스 스포츠, 프로레슬링 같은 실제로 다가오는 리얼 미션은 올해 들어서는 단 한 번도 시도하지 않았다. 최근 은 캐릭터 쇼를 바탕에 두고 즉석 상황극을 하거나 게임을 벌이는 것을 반복하는 중이다. 물론 그 아이템들 중에는 기발한 아이디어들도 있었다. 1년 전의 나와 내가 대결을 벌이는 ‘나와 나의 대결’이나 택시 체험을 했던 ‘멋진 하루’, 아이돌을 대상으로 했던 ‘역사 특강’ 같은 아이템들은 재미와 의미를 모두 충족시켰던 도전들이었다. 하지만 어떤 아이템들은 이제 새롭다기보다는 과거에 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