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원
-
'나 혼자 산다', 남자들의 수다와 놀이 왜 흥미로울까옛글들/명랑TV 2013. 4. 14. 08:11
, 잘 나가는 이유? 남자들에 있다 설 특집으로 방영된 가 정규편성 되면서 굳이 몇 번의 제목을 고치더니 가 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던 모양이다. 의 뉘앙스가 어딘지 소극적이고 궁상맞은 느낌을 주었던 반면, 는 좀 더 당당하고 즐기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기 모인 무지개 회원들은 구호를 굳이 이렇게 외친다. “나 혼자 산다! 자알-” 사실 혼자 사는 남자들의 이야기가 뭐 그리 재미있을까 한번쯤 의구심을 갖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하다. 지금껏 그런 이야기를 방송을 통해서(특히 예능에서) 본 적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방송이 조명하는 남자들의 이야기란 여행을 가거나(1박2일) 특별한 도전을 하거나(무한도전, 남자의 자격) 게임이나 스포츠를 하는(우리동네 예체능) 식이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방송..
-
'라스', 홍보성 게스트 나와도 재밌는 까닭옛글들/명랑TV 2012. 12. 28. 08:30
, 시청자들을 위한 인 이유 윤세아, 오연서, 한선화는 출연자다. 배종옥, 조재현, 정웅인은 이라는 연극을 올렸고, 이성재, 류수영, 서인국은 의 그 아들 3형제이며, 김태원, 김소현, 김연우, 용감한 형제는 의 멘토들이다. 그렇다면 이들의 공통점은? 알다시피 의 최근 출연자들이다. 최근 지상파 방송사들의 시청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자사의 토크쇼에 자사 프로그램의 출연자들이 게스트로 나오는 빈도가 과거보다 훨씬 많아졌다. 이것은 도 마찬가지. 많은 토크쇼들이 이른바 홍보성 게스트들을 출연시키는 것으로 때로는 시청자들의 빈축을 사기도 하고, 작금의 토크쇼 추락의 원인이 바로 이 홍보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그 유일한 예외가 있다. 바로 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차별된 결과를 낳는 것일까. 그 첫 번째는..
-
멘토 김태원과 프로듀서 박진영, 그 장단점옛글들/명랑TV 2012. 12. 17. 08:57
김태원과 박진영, 너무 다른 심사방식의 의미 가 지난 시즌보다 뜨거워진 데는 독특한 개성을 가진 참가자들 덕분이다. 의 박진영이 말한 이른바 스웨그(SWAG 자신만의 멋과 개성 스타일을 나타내는 신조어로 여유와 심지어 약간의 허세까지 느껴지는 것)를 에서도 느낄 수 있다. 가창력은 기본이고 그 위에 자신만의 독특한 음색과 스타일을 얹은 참가자들이 넘쳐나기 때문에 이 두 오디션 프로그램은 최근 오디션 홍수 속에서도 여전히 힘을 발휘하고 있다. 더 중요해진 건 심사다. 이른바 스웨그를 찾는 오디션에서 이제는 과거처럼 발성이나 박자, 호흡 같은 기본적인 심사 멘트는 거의 불필요해졌다. 시즌1의 유행어가 되었던 박진영의 ‘공기 반 소리 반’은 이제는 농담거리가 될 만큼 식상해진 표현이 되었다. 수없이 많은 오디..
-
'위탄3', 왜 용감한 형제가 희망일까옛글들/명랑TV 2012. 12. 2. 10:31
실질적인 멘토, 용감한 형제를 기대하는 이유 스티비 원더의 'Superstition'과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Rehab’을 부른 나경원 같은 존재는 에 확실한 새로운 에너지를 불어넣어주었다. 의 이은미 멘토가 음정과 박자, 나쁜 습관을 지적하며 가창의 기술을 강조했다면, 나경원 같은 개성적이고 매력적인 존재가 즐비한 이번 시즌에서는 멘토들 또한 가창의 기술보다는 그 독특한 그들만의 색깔과 개성에 더 집중하는 모양새다. 너무나 매력적인 목소리나 특유의 그루브감, 끼, 혹은 아티스트적인 작곡 작사 능력으로 똘똘 뭉친 저마다의 개성들을 어찌 가창 기술 하나로 평가할 수 있을까. 두 말할 필요 없는 리틀 임재범 한동근이나 제2의 이문세라고 불린 제이슨 구라즈 구현모, 완벽한 하모니를 들려주었던 소울 슈프림,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