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니지먼트
-
'딴따라'는 한국판 '비긴 어게인'이 될 수 있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4. 22. 08:36
, 우리네 가요계 현실과 판타지의 조화 SBS 새 수목드라마 는 그 인물들의 관계 구조만 보면 영화 이 떠오른다. 물론 미국의 상황과 우리가 같을 수는 없다. 그래서 그 정서적인 느낌이나 드라마가 가져올 수밖에 없는 현실적인 이야기들도 완전히 다른 건 사실이다. 하지만 최고로 잘 나가던 매니저가 바닥으로 떨어지고 그 밑바닥에서 가능성 있는 가수의 목소리를 듣고는 마치 구원을 받은 듯한 표정을 짓는 장면은 에서 프로듀서 댄이 절망적인 상황에서 그레타의 노래로 구원받는 장면과 그리 다르지 않다. 사실 이건 음악이라는 소재가 동일하기 때문에 생겨나는 유사성일 수 있다. 즉 음악이란 실로 기적 같은 것이어서 진정 절망의 벼랑 끝에 선 이들을 다시 구원할 수도 있는 마력을 발휘한다. 그것이 미국이든 우리나라든 상..
-
김준호를 향한 루머가 안타까운 까닭옛글들/명랑TV 2014. 12. 24. 10:00
김준호와 소속 개그맨들의 신뢰, 문제해결의 열쇠 코코엔터테인먼트의 김우종 대표가 회삿돈을 횡령해 잠적하면서 이를 둘러싼 일부 추측성 보도와 루머들이 나오고 있다. 모 기업으로부터 수십억을 투자받을 것이라는 투자설, 청산 수순에 들어갔다는 청산설, 몇몇 인기 개그맨들만으로 축소할 거라는 축소설 등이 그것이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하면 모두가 루머에 불과하다. 말 그대로 ‘설’일뿐 실제로 벌어진 일이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연예인과 관련된 회사의 횡령사건이 벌어진 경우에는 그 문제의 불똥이 당사자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해도 해당 연예인에게 튀는 경우가 다반사다. 코코엔터테인먼트의 김준호는 김우종과 공동대표지만 경영 전반에 대한 것에 현실적으로 직접 관여했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 후배 개그맨들과의 커뮤니케이션..
-
유재석의 나 홀로 선언 왜 환영받을까옛글들/명랑TV 2014. 3. 31. 10:24
기획사들의 독식에 대한 대중들의 생각 에서 유재석은 “당분간은 혼자 간다”는 걸 공식화했다. DY엔터테인먼트와 전속 계약이 만료된 후 3년 넘게 JS엔터테인먼트라는 1인 기획사로 활동하던 그가 최근 새로운 기획사를 찾는다는 얘기가 나온 지 단 몇 주만의 일이다. 유재석이 소속사를 찾는다는 얘기 속에는 현재의 변화하고 있는 연예계의 환경이 바탕에 깔려 있다. 최근 연예계는 과거 연예인 중심으로만 흘러오던 분위기에서 이제는 콘텐츠 중심으로 재편되는 중이다. 즉 매니지먼트 회사들도 연예인 관리 단계에서 이제는 콘텐츠 생산으로 뛰어들었다. 물론 그렇게 생산된 콘텐츠에는 소속 연예인들이 포진하기 마련이다. 기획사들이 매니지먼트에 머물지 않고 콘텐츠를 생산해 납품하는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건 유재석처럼 어느 방송국이..
-
크레용팝, 콘셉트가 B급이지만 관리까지 B급이어서야옛글들/명랑TV 2013. 8. 29. 08:43
크레용팝의 아마추어리즘과 소속사의 아마추어리즘 크레용팝의 핵심은 ‘아마추어리즘’이다. 흔히들 B급 정서로 표현하는 것. 하지만 B급 정서를 담고 있다고 해서 그 콘텐츠 자체가 B급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크레용팝의 ‘빠빠빠’는 스타카토로 끊어지는 경쾌한 록 장르에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고 따라하고 싶게 만드는 중독성 있는 춤을 얹은 괜찮은 콘텐츠다. 무엇보다 기존 걸 그룹 시장에서 우리가 늘상 보았던 콘셉트들을 모두 뒤집었다는 데서 그 가치가 새로워진다. 완전체 걸 그룹과는 정반대 놓여있는 크레용팝은 하나하나를 뜯어놓고 보면 아마추어적인 냄새가 물씬 풍기는 걸 알 수 있다. 노래는 좋지만 이들의 가창력은 미지수고, 춤은 중독성이 있지만 그다지 테크닉이 뛰어나다 하기는 어렵다. 그렇다면 외모나 스타일은?..